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화법 향상 프로그램 개발

        허순향,김항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공감화법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진행은 4단계로 이루어졌는데, 첫 단계는 공감에 중심을 둔 공감화법향상을 위한 강의모형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요구조사를 통하여 집단상담기반 공감화법향상 모형을 구축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설계된 모형을 실제 강의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최종적인 공감화법향상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이 연구가 제안하는 공감화법향상모형은 긍정화법, 해결화법 및 소통화법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삼위일체를 이룰 때, 공감화법이 신뢰와 만족, 및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연구는 대전/세종/충남에 거주하는 10대부터 60대까지 510명을 대상으로 공감화법, 신뢰 및 행복척도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을 이용하여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 공감화법에 따른 신뢰와 행복의 차이를 분산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였다. 둘째, 공감화법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감화법을 잘못 사용하는 사람들보다 신뢰가 더 높았다. 셋째, 공감화법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감화법을 잘못 사용하는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였다. 실험연구는 40명의 대학생과 24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공감화법향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전후의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에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effective program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The study consist of four phrases, first phase was development of lecture model for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based on empathy. Second phase was building of model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based on group counseling through demand survey. Third phase tested effect of the model apply to lectures. Last phase completed final program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As a suggestion, the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model consists of positive talk, solution talk, and dialogue talk. When these components form trinity, the effects of empathic talking will be the highest and power to empathic talking will makes people more trustable, more satisfactory and happier. In order to test suggestions, survey and experiment were conducted. Survey was collected 510 people from 10 to 60 residents in Daejeon/Sejong/Chungnam province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empathic talking, trust, and happines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were analyzed and were tested differences of trust and happiness according to empathic talking using SPSS2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good in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Second, those who have high empathic talking are at a higher level of trust than those who have low empathic talking. Third, those who have high empathic talking are happier than those who have low empathic talking. Also, experiment conducted 40 undergraduates and 24 graduates to participate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program. Findings show participants feel more satisfactory in life than before particip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감의 구성요소와 심리적 기제

        허순향,남승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이 논문은 공감의 특성과 구성요소 및 심리기제를 밝히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공감은 다차원적인 심리적 구성개념이다. 공감의 다차원성을 반영하고 공감개념을 학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감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공감의 특성과 구성요소 및 심리적 기제를 살펴보았다. 이론적인 제안의 검토를 위하여, 대전/세종/충남에 거주하는 10대부터 50대까지 473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공감능력을 구성하는 것으로 논의된 하위요인들을 포함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을 감정이입적인 감성적 공감과 감정공유적인 이성적 공감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공감의 구성요소를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에 행동적 차원을 포함하여 3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공감을 “상대방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하고,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느낌이나 감정을 이해하며, 상대방에 대해 이해된 것을 언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이고 능력이다.”라고 새롭게 개념적으로 정의하였다. 넷째, 체험과 조절적 적합성에 기초하여 공감의 심리적 기제를 논의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is a exploratory study that reviewed characteristics, components and psychological mechanism of empathy/sympathy based on a lot of antecedent studies about empathy/sympathy in various domains in order to use and apply interdisciplinary and empathy is as a multi-dimensional and psychological construct. In order to test theoretical suggestions, data were collected 473 people from 10 to 50 residents in Daejeon/Sejong/Chungnam province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o sub-factors related to empathy based on antecedent studie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of empathy/sympathy were conducted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First of all, we classified empathy/sympathy into affective empathy and rational sympathy. Second, we constructed components of empathy/sympathy as tri-dimensional concept that includ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imensions. Third, we suggested new definition of empathy/sympathy as “skill and capability to recognize and accept reality of counterpart as it was, to understand feeling and emotion of counterpart in the counterpart’s shoes, and to communicate to counterpart as language that understood about counterpart’s feeling and emotion. Fourth, we discussed psychological mechanism of empathy/sympathy based on the experience and the regulatory fit. Finally, in addition to future studies, we discussed implica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공감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허순향,남윤주,남승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is survey is to newly develop the multi-dimensional 'empathy capability' scale that was consisted of cognitive/emotional/behavioral empathy factors and to test generalizability of the scale, discovering differences of sex and the ages. Data were collected 590 people from 10 to 50 residents in Daejeon / Sejong / Chungnam province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o sub-factors related to empathy based on antecedent studie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for development of empathy capability scale using SPSS and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for validation of the scale using AMO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First, there is the difference of empathy capability according to gender. Empathy capability of Women was higher than Men’s. Second, we confirmed the difference of empathy capability according to ages. Empathy capability were highest in 20s and lowest in 50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mpathy may change according to sex and the ag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help for men in their 30s and 50s who are busy in life. Third, the factor structure of empathy capability was composed of 3 factors including cognitive/emotional/behavioral empathy factors and 2 sub-factor of the factor, respectively. Cognitive empathy can be grouped into 'view acceptance factor' and 'thinking control factor', emotional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factor' and 'emotional commitment factor', and behavioral empathy can be grouped into 'relationship formation factor' and 'communication factor' Respectively. Finally, we confirmed the fitness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 that suggested 3 dimensional empathy capability scale was go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a closer examination of the refined multi-dimensional aspects of empathy is needed. 이 연구는 공감의 성차와 연령차를 밝히면서, 인지적/정서적/행동적 공감요인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공감능력’ 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의 일반화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대전/세종/충남에 거주하는 10대부터 50대까지 590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공감능력을 구성하는 것으로 논의된 하위요인들을 포함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거쳐서 공감능력 척도를 개발하였고, AMOS를 사용하여 공분산구조모형분석으로 타당화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공감능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보다 여성의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령대에 따른 공감능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20대 이하가 가장 높고 50대 이후가 가장 낮은 경향성을 보이면서 연령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는 공감반응이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며 삶에 바쁜 30대와 50대 남성의 공감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능력은 인지적/정서적/행동적 공감을 포함하여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고, 각 하위요인은 다시 2개의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졌다. 인지적 공감은 ‘관점수용요인’과 ‘사고조절요인’, 정서적 공감은 ‘감정표현요인’과 ‘감정몰입요인’, 행동적 공감은 ‘관계형성요인’과 ‘의사소통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끝으로, 3개의 다차원을 제안한 공감능력의 공분산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공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공감의 세분화된 측면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 가족기능, 부부갈등, 및 폭력노출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허순향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6 社會科學論文集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충청남도에 위치한 3개 시․군에 있는 4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53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성별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t검증을 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검증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였고, 성별에 따른 가족기능과 폭력노출경험의 차이를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은 폭력노출이 가장 높고, 그 다음에 부부갈등, 가족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설득커뮤니케이션과 공감커뮤니케이션

        김항중,허순향,남승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persuasive and sympathetic communication,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nd advertising responses, as well as trust construction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according to persuasive and sympathetic messages. In two experiments, data was taken from 80 undergraduates who were exposed at persuasive and sympathetic stimuli. The differences testings were performed on psychological responses such as satisfaction and happiness, advertising responses such as message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trust construction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used, data was analyzed with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 analysis, and t tests were conducted for hypotheses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Hypothesis Ⅰ(Sympathetic communications will produce more favorable psychological responses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Hypothesis Ⅱ(Sympathetic communications will produce more favorable advertising responses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and Hypothesis Ⅲ(Sympathetic communications will produce more trust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were all supported. These findings showed that sympathetic communications are more effective on psychological and advertising responses and on trust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In order, therefore, to raise advertising effect, it is suggested to focus more on sympathetic communications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을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공감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분하고, 설득 메시지와 공감 메시지에 따라서 소비자의 심리반응과 광고반응뿐만 아니라 신뢰 및 심리자본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8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득메시지와 공감메시지가 담긴 실험자극을 제작하여 집단간 설계로 노출시킨 후에 만족과 행복과 같은 심리반응과 메시지태도와 구매의도와 같은 광고반응 그리고 신뢰반응 및 심리자본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통계분석은 먼저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계수를 확인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은 t검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감커뮤니케이션이 설득커뮤니케이션보다 더 호의적인 심리반응을 일으킬 것이다.”라는 가설 Ⅰ과 “공감커뮤니케이션이 설득커뮤니케이션보다 더 호의적인 광고반응을 일으킬 것이다.”라는 가설 Ⅱ 그리고 “공감커뮤니케이션이 설득커뮤니케이션보다 더 많은 신뢰감과 심리자본을 일으킬 것이다.”라는 가설 Ⅲ이 지지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설득커뮤니케이션보다 공감커뮤니케이션이 심리반응, 광고반응, 그리고 신뢰감 및 심리자본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고, 광고효과를 제고시키고자 한다면 설득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지만 공감커뮤니케이션에 그 관심과 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중등학교 집단상담의 연구동향과 과제

        이영아,김춘희,허순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4 놀이치료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정신건강과 관련하여 학생정서행동검사가 시행된 2007년 이후의 초중등학교 집단상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초중등학교 집단상담 연구는 주제 및 방법 면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을 위한 양적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의 운영 측면에서는 학생 정신건강 증진 및 위기 학생의 조기 발견과 개입을 위해 개발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결과를 프로그램 운영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심리검사 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이면서 학교 현실을 충분히 반영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학교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ur research group analyzed the outcom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group counseling sessions regarding students' emotional behavior related to students' mental health since the year 2007. After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data, we found two major problems with the existing program. The current elementary/secondary school group counseling program mainly focuses on quantitative study for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in terms of topic and method as opposed to qualitative. Another problem is that the results of the emotional behavior test made for mental health improvement do not recognize students at risk in early stages. Our research is based on grounded statistics of psychological test results from schools executing the current group counseling program. After investigating the matter we aspire to make improvements for a more successful outcome of the rudimentary education group counseling system. We also hope that our research is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promoting qualitative outcomes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김민숙,엄미아,허순향,남승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0 No.2

        이 연구는 행복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교사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대전광역시 공립유치원 및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하여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이 그들의 직무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료는 공감모듈,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 및 행복에 대한 척도들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내적일관성계수와 요인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포함된 4가지 변수의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과 행복의 차이는 이원분산분석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감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는 교사집단이 이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는 교사집단보다 직무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I과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교사집단이 낮은 교사집단보다 직무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II는 지지되었지만, ‘감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고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교사집단이 다른 교사집단보다 직무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III는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감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는 교사집단이 이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는 교사집단보다 행복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IV와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교사집단이 낮은 교사집단보다 행복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V는 지지되었지만, ‘감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고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교사집단이 다른 교사집단보다 행복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VI는 지지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직무만족과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류와 소통과정에서 감성형 공감모듈을 더 많이 사용하고,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감성형 공감모듈을 더 많이 활용하고, 긍정심리자본을 제고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 실무방안을 마련하여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