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와 우울 변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허만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4 No.-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와 우울 변화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17년12차부터 2020년 15차까지 4년간 동안 조사자료의 60세 이상 노인들(N=5727)을 대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와 우울 변화의 관계를 Bivariate Latent Change Score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기간 동안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변화 방향은 전반적으로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이전 연도의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으면 다음 연도의 만족도 수준의 증가가 낮아지는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 연도의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당해 연도의 삶의 만족도 수준의 증가가 낮아지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우울은 전반적인 수준에서 일정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지 않으며 단지 개인의 변동이 있을 뿐이고 삶의 만족도의 변화와도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함의를 본문에 논의하였다.

      • KCI등재

        Prospective Change in Symptoms and Social Functioning in Participants of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A Latent Growth Curve Model Analysis

        허만세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Reducing psychiatric symptoms is one of the goals of community 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although the primary focus of rehabilitative interventions is on improving clients' functioning rather than on reducing symptoms. Unlike many studies of functional improvement, there ar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studies focused on symptom reduction as a treatment outcome. These studies have not showed consistent findings that psychiatric symptoms are reduced in community 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c symptoms and social functioning with individual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receiving community 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lthough the hypothetical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c symptoms and social functioning has been suppor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wo theories: the stress vulnerability theory of schizophrenia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ories. This is a gap of knowledge in psychosocial interventio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rospective change in social functioning and in symptomatology as well as test whether the change in symptomatology would be related to the change in social functioning in adult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receiving community 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145 individual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at four community 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Los Angeles in the United States. All the study hypotheses were modeled statisticall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the hypothesized model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functioning was improved over a 12 month rehabilitative period. Second, ag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explaining individual difference in functional improvement while education was related to only individual difference in participants' social functioning at baseline. Third,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symptomatology at baseline was inversely related to both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social functioning level at baseline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their functional improvement. Fourth, symptomatology was improved in the 12 month rehabilitative period. Fifth, the rate of change in psychiatric symptoms was not related to the rate of change in social functioning.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re suggested.

      • CES-D로 측정한 우울증상의 종단적 변화궤적에 대한 재분석

        허만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6 No.-

        본 연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종단자료를 구축한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상의 종단적 변화궤적에 내재한 잠재계층(latent trajectory class)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19세 이상 성인 남성 8,900명을 최종 샘플로 선정하여 Growth Mixture Model(GMM) 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복지패널에 나타난 우리국민의 우울증상 변화 궤적에는 5개의 하위 집단이 존재한다. 둘째, 전체 사례를 일반가구와 빈곤가구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각의 분석에서 성별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가구에서는 4개의 잠재 우울변화 집단이 나타났고 빈곤가구에서는 3개의 잠재 우울변화 집단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 될 수 있다. 첫째, 우울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우울수준이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전체 인구 중에서 약12.1% 사람들의 우울 수준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기존의 연구에서 우울이 감소하고 있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보여준 두 가지 우울변화패턴(낮은 우울 수준유지 집단, 우울감소 집단)의 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우울변화궤적에는 우울 유지집단(약 77.4%), 우울 상승집단(약 12.1%) 우울 하락집단(약 12.9%)이 존재한다. 넷째, 빈곤가구의 경우 우울 상승집단뿐만 아니라 우울 감소집단(11.9%)에 특별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우울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적어도 우울, 연령, 빈곤상태의 상호작용에 기인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중년 여성의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 사이의 종단적 선후관계 분석

        허만세,김윤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

        최근에 중년 여성의 문제음주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여성의 문제음주는 낮은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문제음주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 사이의 종단적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는 없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두 변수 간의 종단적 선후관계 즉 인과 관계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효과적인 문제음주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구축중인 원자료를 cross-lagged panel design의 틀을 기준으로 분석 자료를 추출하였고, 두 변인의 선후관계를 분석하는 Latent Difference Scores 모델을 이용하여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복지패널의 1차년도와 2차년도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은 문제음주 변화의 원인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두 변인이 인과관계는 1차년도와 5차년도 사이에서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를 연구방법론적인 측면과 중년여성의 음주예방에 대한 실천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와 우울 변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허만세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nd changes i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nd changes i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ged 60 years or older (N=5727) from the survey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from the 12th in 2017 to the 15th in 2020.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Bivariate Latent Change Score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uring the survey period is showing an overall increase, but it has a pattern that if the life satisfaction level in the previous year is high, the increase in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next year decreases.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the current year was decreasing.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did not show a constant change at the overall level, only individual fluctuations,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와 우울 변화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17년12차부터 2020년 15차까지 4년간 동안 조사자료의 60세 이상 노인들(N=5727)을 대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와 우울 변화의 관계를 Bivariate Latent Change Score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기간 동안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변화 방향은 전반적으로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이전 연도의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으면 다음 연도의 만족도 수준의 증가가 낮아지는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 연도의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당해 연도의 삶의 만족도 수준의 증가가 낮아지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우울은 전반적인 수준에서 일정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지 않으며 단지 개인의 변동이 있을 뿐이고 삶의 만족도의 변화와도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함의를 본문에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문제음주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의 종단적 관계에 대한 빈곤의 효과 검증

        허만세,손지아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Problem drinking in middle-aged women has been largely increased, but there are lack of research on the ma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in middle-aged women had been changed from 2006 to 2009; to examine if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hange of problem drinking and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to test the effect of poverty on the correlations. Data was extracted from Korea Welfare Panel Dataset, which began to be collected since 2006. Subjects were 724 women with age of 40 to 60 at 2006.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which were repeatedly measured every year from 2006 to 2009, were analyzed using B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 drinking in middle-aged women was changed over time from 2006 to 2009. Second,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in middle-aged women was changed over time from 2006 to 2009. Lastly, correlations between change rates as well as between initial status of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were both significant for poverty family women while were not both significant for non-poverty family women This findings appear to confirm that poverty influences the change of problem drinking as well as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their longitudinal relationship. Stud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lcohol prevention programs are needed for middle-aged women. Second, gender-responsive treatments should be delivered to middle-aged women. Lastly, self-help improvement programs for poverty family women should be developed. 중년기 여성의 문제음주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만 40세-60세)의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이 2006년에서 2009년까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 이 두 변수의 변화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를 검사하였으며, 문제음주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 및 이 두 변화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빈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자료에서 기준 시점인 2006년에 만 40세에서 60세에 해당하는 여성 724명이었다.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을 2006년에서 2009년까지 해마다 반복 측정한 자료를 이원잠재성장곡선모형(B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문제음주는 연도별로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은 연도별로 증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빈곤가구의 경우 문제음주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 사이의 초기값뿐 아니라 변화율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빈곤가구의 경우에는 모두 다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에 대한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에게 특화된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빈곤가구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개입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상태 변화의 연관성 분석

        허만세(Hoe, Maans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2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원자료를 cross-lagged panel design에 따라 분석자료를 추출하고 인과관계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음주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빈곤이 음주문제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 상태의 변화가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한국복지패널의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자료에서 반복측정된 3,976명의 성인 남녀였으며, 인과관계 분석은 McArdle and Hamagami (2001)에 의해서 정립된 Latent Difference Scores (LDS)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먼저 음주문제 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밝힌 후에, 이러한 인과관계가 빈곤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4개의 하위집단 (빈곤 지속 집단, 빈곤 탈출 집단, 비빈곤 지속 집단, 빈곤시작 집단)에서 유지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전체를 이용한 LDS모델의 결과는 우울이 음주문제의 변화를 예측할 뿐 아니라 음주 역시 우울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 대상자를 빈곤 상태 변화에 따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 집단에서는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빈곤 시작 집단과 비빈곤 지속 집단에서는 우울의 음주 변화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빈곤 탈출 집단에서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빈곤상태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새로운 결과로서 기존의 횡단연구들에서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서로 상충하는 다양한 결과들에 대한 종합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possib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if poverty status transition is associated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976 adults who have participated i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wave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causality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was analyzed using Latent Difference Scores (LDS) model, which was established in McArdle & Hanagami (2001). Furthermore, it was examined if poverty status transition (represented by four subgroups: poverty-sustained group, poverty-escaping group, non-poverty-sustained group, poverty beginning group) would influenc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a LDS model analysis using the entire sample shows that depression at the first wave predicts significantly the change of drinking problem between the first wave and the second wave and also drinking problem at the first wave predicts significantly the change of depression between the first wave and the second wav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re is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n poverty status transition subgroup analyses,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s held in the poverty-sustained group while depression is a cause of drinking problem both in the poverty beginning group and in the non-poverty-sustained group.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n the poverty-escaping group. Al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rection of causality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can be varied according the poverty status change, which provides a comprehensive explanation to inconsistent research findings from previous cross-section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 KCI등재

        한국어판 CES-DC 11의 개발

        허만세(Hoe, Maanse),이순희(Lee, Soon Hee),김영숙(Kim, Young So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CES-DC(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hildren)의 축약판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 552명을 임의표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분석, 내적 일치도 분석, 준거타당도를 위한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적 요인구조 분석결과, 한국어판 CES-DC 11 척도는 4요인모형이 통계적으로 더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판 CES-DC 11 척도의 내적 일관성은 Cronbach’s α 지수가 .90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준거타당도 검사 결과 동일한 심리속성을 측정하는 척도(CES-DC 20, CES-D 11)와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이론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속성을 측정하는 척도(PANSI-NSI)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론적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속성을 측정하는 척도들(RES, SWLS, PANSI-PI)과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어, 한국어판 CES-DC 11의 준거타당도가 일정수준에서 잘 유지됨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어판 CES-DC 11 척도가 국내에서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함에 있어서 그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은 척도임을 보여 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후속연구를 본문에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11-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for Children(the K-CES-DC 11), examin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consisted of 552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Various data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including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ronbach’s α index was .94, showing high level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CES-DC 11. Second, the results of the criterion validity analyses showed that the K-CES-DC 11 showed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s measuring the same psychological attributes (CES-DC 20, CES-D 11); a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s measuring the theoretically similar attributes(PANSI-NSI); high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 measuring the theoretically negative-correlated attributes (RES, SWLS, PANSI-PI), suggesting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K-CES-DC 11 to some degree. Lastl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correlated 4-factor model of the K-CES-DC 11 fitted best to the dat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CES-DC 11 would be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measuring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Korea. Stud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