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중일전쟁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 법령과 조직의 특징적 양상(1937∼1941) -“과정”과 “관계”를 중심으로 일제말기 한국영화사 다시 보기-

        함충범 ( Chung Beom Ha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2 현대영화연구 Vol.8 No.2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Korean(Joseon of the Japan`s colony) cinema law and groups from the Chinese-Japanese War(1937) before the Pacific War(1941). The Chinese-Japanese War occurred in 1937. Korea and Japan wer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at that time. Japan rushed into the system of the war by the war outbreak, and Japanese Government managed goods and person necessary for the war. For this, the system and organization in Japan and Korea was concentrated on the war. Of course, this was reflected in the world of Japanese and Korean cinema at once. the low of cinema was introduced, and new groups of the cinema was established in Japan and Korea. So, Joseon Film Act was introduced and cinema groups(like the Joseon Association of Film Artist, Selection Committee of Film-Ability, Joseon Association of Film Producer, etc) were organized. It is very important that Korean cinema law and groups was closely related to Japanese cinema law and groups right after the Chinese-Japanese War broke out.

      • KCI등재

        북한식 사회주의 형성기 북한영화 연구(1958~1966)

        함충범(Ham Chung Beom) 한국영화학회 2008 영화연구 Vol.0 No.35

        North Korea in the North Korean socialism formation period, that is, from 1958 to 1966 started establishing the socialist economy system through the crowd mobilization, and overcoming diplomatic predicament through the independent path. Moreover, general public's of the people pains power is used and general public's of the people willpower is improved. And, the thought struggle and the cultural revolution were strengthened for that. The North Korean movie was located in the mass communication where the specific gravities existed most and developed a thought education and a cultural business actively at that time. And, the organization, the system, and facilities were maintained. At that time, the art film(film play) and the documentary film, the science film, the child film, and the educational film, etc. variously produced the movie in North Korea. Especiall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art film was strengthened more. The general public's of the people fight experiences were drawn in full scale through various turning points like 'the film of reality material' and 'the film of anti-Japan revolution material' and 'the film of Korean War material' and 'the film of country union material' and 'the film of chronicle material', etc. On the other hand, the North Korean movie presented an affirmative character, an exemplary case, and a typical appearance at that time. And, the person was shown through a movie leap, content, provision, and the emphasis, etc. Moreover, the conflict, the rhythm, and the tempo were adjusted and dramatic atmosphere was made. And, a North Korean socialist movie in that time to combine a nationalism form was created to a socialistic content about the movie style like the scene, taking a picture, the edit, and the sound, etc.

      • KCI등재

        1960년대 전반기 박정희 정권의 영화 정책에 대한 영화계의 반응 및 활동 양상 연구 -영화법을 둘러싼 영협과 제협의 입장과 태도를 중심으로-

        함충범 ( Chung Beom Ha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2

        본 연구자는 ‘한국영화인단체연합회-한국영화인협회(영협)’와 ‘한국영화제 작가협회/한국영화업자협회’(제협)가 영화법 제정과 개정을 둘러싸고 어떠한 입장과 태도를 보였는지를 중심으로, 1960년대 전반기 영화 정책에 대한 영 화계의 반응 및 활동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도출된 본 논 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5.16(1961) 이후 군사 정부는 ‘혁명’이라는 명목으로 국가 주도적 영화 정책을 신속하게 수립·실행하였다. 이에 영화계에서는 그것을 지지하는 입장과 태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영화법의 제정(1962)으로도 적용되었다. (2) 군사 정부의 영화 정책은 영화법 제정 및 개정으로 체계화되었고, 이는 영협과 제협 등 영화인 단체의 조직 및 구성에도 변화를 야기하였다. 영협과 제협은 영화계의 고질적 문제나 현 안의 대응 방식을 두고 대립하는 경우가 많았다. (3) 1963년 초 정부의 영화 법 개정에 대해 영화계는 반대 입장을 보였으나, 법의 공포와 시행을 이후 등록 제작업자 측의 태도는 찬성으로 돌아 섰다. 한편 민정 수립 직후 정치 권에서 영화법 폐기 주장이 제시되었고, 이를 둘러싸고 영화계는 영협을 주 축으로 한 찬성 쪽과 그것에 반대하는 한국영화업자협회로 양분되었다. 이처 럼, 영화법 제정, 개정, 폐기, 유지에 관한 상정, 도입, 처리, 건의, 찬성, 반대 등의 움직임은 영화계라는 한정된 영역을 넘나들며 다양한 벡터와 함수로 역사적 궤적을 그려 갔으며, 이에 대한 영화인 단체의 입장과 태도 역시 다 각적이고도 다층적인 성격을 드러냈다. Park Jung-hee military government put state-led film policy into effect fast by the name as ‘revolution’ after 5.16 Coup (1961). Filmdom showed viewpoint and attitude supported that. Such tendency was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film law (1962). Film policy of the military government was systematized by promulgation and change film law. Organiz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filmdom’s group also changed. Motion Pictures Association of Korea and Korean Film Producers Association are often in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around the problem of movie industry. The filmdom opposed to revision of film law in early 1963, but the attitude of registered manufacturer side changed to agreement that after revision of film law. On the other hand, insistences on the abolition of film law was raised by the political world just after establishment of civilian government. But filmdom was separated by the main supporter of Motion Pictures Association of Korea and the opponent headed by Korean Film Trade Association.

      • KCI등재

        초기 영화 속 속도의 테크놀로지, 그리고 기술 문명의 표상

        함충범(HAM Chung Beom)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2

        본 논문에서는 초기 영화 속 다양한 ‘속도 기계’들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근대 문명을 어떻게 표상하고 있는지에 관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의 기술적 전환기에 속도-시각 테크놀로지 발달로 인해 파급된 가속화 현상과 시계(視界)의 확장, 공간 분화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간의 시선과 태도, 테크놀로지와 사회 구조의 관계, 테크놀로지를 둘러싼 세계 공영의 문제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속도테크놀로지에 관한 당시 사람들의 양가적 관점과 감정, 경험과 상상 등을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도출하였다. 첫째, 자동차 경주를 촬영한 기록영화 또는 자동차의 폭발이나 통제 불능 상태를 다룬 트릭영화에는 가속화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불안이 반영되어 있다. 둘째, 보는 이로 하여금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선사하는 여러 종류의 ‘기차 영화’에는 서구 사회의 근대적 발전상과 함께 노동-계급 문제로 점철된 어두운 이면이 노출되어 있다. 셋째, 차별적이고도 위계적인 공간 분화 경향을 보이는 풍경 영화, 여행 영화, 보도 영화, <달세계 여행>로 대표되는 초기 극영화 등에는 자본주의, 내셔널리즘, 제국주의 등에 의한 인류 공존의 왜곡된 모습이 내재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자동차, 기차, 우주선 등 근대적 속도 장치들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태도, 심리적 반응 등을 통해서는 인간과 기계와의 관계를, 도로와 철로, 도시의 구조 등을 통해서는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세계 각지 및 우주 공간 등을 통해서는 인간과 타자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how numerous speed-machines in early cinema represented modern civilization which was a scientific technology-based world. It focuses on the aspects of acceleration phenomenon, expansion of visibility, and spatial differentiation through development of speed-visual technology at technological turn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With these aspects, I researched remarkable aspects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human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echnology, a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social structure, a coexistence issue. As a result, I found three aspects of contemporary people at this period; they have ambivalent perspective, experience and imagination for speed technology. First, documentary films shooting car race and trick films showing cars exploded or out of control reflected people’s desire and anxiety about acceleration by technology. Second, various kinds of ‘Train Films’ which gave a new visual experience to the audience revealed dark side of problems related with labor-class which was raised in modern western society. Third,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distorted by Capitalism, Nationalism, and Imperialism were inherent in landscapes films, travel films, newsreel films and early fiction films like showing spatial differentiation with hierarchy. Based on this research, we can learn a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s through people’s recognition, attitude and psychological response towards modern speed-machines such as cars, trains, and spaceships. Also, we can find a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hrough roads, railways, and city structures and a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he Other through world or space.

      • KCI등재

        방한준 감독의 영화 미학적 특징 연구: 1930년대 연출 작품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함충범 ( Chung Beom Ha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科學 Vol.99 No.-

        This study looks into the aesthetic attributes of the films directed by Bang Han-Joon who produced various films during late Joseon dynas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focusing on his works from the 1930s, <The sprinkler>(1935), <Han river>(1938), and <Alter for a tutelary deity>(1939). In cinematic history, his work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he popular films of the 1930s depicting the local culture of Joseon, and the propagandistic films of the 1940s created as part of the government effort to enlighten people of the time about military and production policies. The background, staff, purpose, and impact of work may be different each other, but all of them share common features of Bang Han-Joon films. He had a unique directing style of using long takes and tracking shots for meditative and tranquil objectification of characters, as well as humble and honest images of human amongst nature.

      • KCI등재

        1944년 식민지 조선영화계의 정책적 특수성에 관한 연구: “결전비상조치”에 따른 제도적 변화상을 통해

        함충범 ( Chung Beom Ha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5 동북아연구 Vol.30 No.2

        본 논문은 1944년 일본에서 채택되어 식민지 조선으로 적용된 이후 영화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 ‘결전비상조치’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이를 계기로 파생된 영화 제작, 배급, 흥행, 영사 부문에서의 제도적 변화상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였다. 1944년 2월 25일 일본 내각에서 결정된 ‘결전비상조치요강’에는 ‘고급향락 정지에 관한 건’이, 여기에는 다시 ‘흥행에 대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1944년 3월에는 일본에서 ‘흥행의 구체적 쇄신 실시 요강’이 결정되었는데, 이후 조선영화계는 대대적인 제도적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우선 1944년 4월 7일 사단법인 조선영화사로 영화 제작.배급 기구의 통합적 개편이 이루어졌다. 5월 8일에는 조선흥행등취체규칙 공포를 통해 극장 단속 및 흥행 규제 강화의 법률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어 7월 1일에는 사단법인 조선영화계발협회로 이동영사 조직이 일원화되었다. 8월 19일에는 기존의 조선흥행연합회가 사단법인 조선흥행협회로 재탄생하였다. 이를 통해 1944년 이후 식민지 조선영화계가 보다 직접적으로 일본과 연동되고 더욱 밀접하게 여타 분야와 연계되며 한층 강도 높게 부문 간 또는 부문 내 일원화가 이루어졌다. ‘The Emergency measure for decisive battle’ was enacted by the Japanese ministry on February 25, 1944. That included ‘The Prohibition of luxurious entertainment’, which included the ‘System for decisive battle of performance’. Subsequently, ‘The System for decisive battle of performance’ introduced in Japan and colonial Joseon in March, 1944. The filmdom of colonial Joseon faced big changes in the system from it. Fil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irms were integrated on April 7, 1944, legal foundation for control of theaters and regulation of performance was instituted on May 8. Tour projector organization was unified on July 1, all by the Joseon Film Corporation on April 7, 1944. Additionally the Joseon performance federation was re-organized as ‘The Joseon performance association’ on August 19.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에서의, 일제의 식민지정책에 따른 활동사진정책에 관한 연구 -1910년~1918년 ≪매일신보(每日申報)≫를 중심으로-

        함충범 ( Chung Beom Ha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08 현대영화연구 Vol.4 No.2

        The motion picture policy in the Korean peninsula of the 1910`s was made by the colonial policy and the assimilationism by Japan. And it consisted of the part of the press policy. The purpose of the invasion of Japan to Korea was on a military, economical side. However, it was not able to be shown in front of other countries and the Korea had one race, an independent nation, a peculiar emotion, and a peculiar culture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was not an easy thing to suppress Korean people`s antipathy and to obtain their agreement. Therefore Japan promoted the assimilationism. The control of the motion picture of the 1910`s worked out in a basic frame of the colonial policy. Of course, it was not systematic and not independent. It was administered by the police in region and it belonged to the control of other performance. However, being established the emperor`s colony rule and being influential the motion picture in Korea, the control of motion picture was led the control of other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the motion picture of the 1910`s worked out in a basic frame of the assimilationism. The use of the motion picture included the activity of screening and production. Imperial household`s event and national event, etc. were the object to the motion picture. And it is method to add politics there skillfully and `the reproduction of the reality`.

      • KCI등재

        1960년대 초 한국 뉴스영화와 문화영화에 관한 연구 (1961~1963) -국립영화제작소를 중심으로-

        함충범 ( Chung Beom Ha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7 No.-

        본고는 1960년대 초 박정희를 수반으로 하는 ``5·16 혁명정부`` 하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뉴스영화와 문화영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현대사의 정치적 과도기이자 사회적 혼란기였던 1961년부터 1963년까지 군사 정권이 ``영화``라는 대중 영상 매체를 통해 어떻게 권력의 정당성 및 국민의 동의를 확보하려 하였는지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립영화 제작소는 5·16 직후인 1961년 6월 22일 설립되었다. 당시 국립영화제작소에서는 <대한뉴스>라는 이름의 뉴스영화와 문화영화가 주로 제작되었다. 한편, 뉴스영화와 문화영화는 1962년 1월 20일 제정·공포된 영화법에 의해, 영화관에서는 프로그램의 메인이 되는 상업 극영화와는 별도로 의무적으로 상영되었다. 국립영화제작소는 군사 ``혁명``정부 시절 뉴스영화 제작을 통해 영상화된 ``새 소식``을 ``선별하여`` 전달하는 발신자로서의 한 축을 담당하였고 문화영화를 통해서는 ``바람직한`` ``영화 문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국립영화제작소에서 만들어진 문화영화에 대한 대중적 인기는 많지 않았으나, 뉴스영화의 대중적 파급력은 매우 큰 편이었다. 이에, <대한뉴스>와 문화영화는 전국 각지에서 관공부서 등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상영되었다. 그리고 이들 영화에 대한 제작 및 상영 시스템은 박정희 정권기 내내 유지되었다. In this paper, I set out to explore the emergence of newsreels and cultural films produced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in the early 1960s. Between 1961 and 1963 when modern Korean society was going through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the military government saw film as a way to grasp reality through legitimizing their power and securing the agreement of the people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screenings.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was established on June 22, 1962 just behind ``5·16``.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produced mainly <Korea News((Daehan News) newsreels and cultural films(Munhwa Yeonghwa) in the early sixties, which, in part,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screening of cultural films were mandatory, because this was part of a film law which was enacted and proclaimed on January 20, 1962. Newsreels and cultural films were shown along commercial feature films in the cinema, and while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wasn`t necessarily very popular, <Korea News> was highly influential. During this period <Korea News> and cultural films were shown by their respective government-and-the-public posts through various systems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producing and screening system for those films was successfully maintained throughout the Park Chung-hee regime.

      • KCI등재

        언택트 시대, 영화제의 변화상과 새로운 가능성 : 영상 테크놀로지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함충범(Ham, Chung Beom)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이 글은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언택트’로 대변되는 신문화적 현상이 크게 확산된 2020년 주요 영화제의 변화상과 가능성을, 영상 테크놀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탐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2020년 개최된 많은 영화제들은 코로나19의 확산 시기 및 방역 여건에 따라, 그리고 영화제의 성격 또는 운영 방침 등에 따라 그 대처 방식을 달리하였다. 그리고 이들 영화제는 오프라인을 통한 행사 진행을 추진하면서도 온라인 시스템과 영상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공통된 경향을 띠었다. 그 바탕에는, 이미 다양한 형태로 온라인 유통 및 관람 시스템이 저변을 확대해 가고 있던 최근의 영상 문화적 흐름이 자리한다. 따라서,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의 언택트 시대에도 영화제의 중심은 오프라인 행사가 차지할 확률이 높을 듯하다. 다만 영화제 개최 장소를 방문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의 구축은 갈수록 체계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2020년 이전에도 이미 선보여져 왔던 온라인 행사의 비중이 점차 커져 가리라 예측된다. 아울러, 그 기저에 영상 테크놀로지를 비롯한 제반 기술의 진보적 발전이 전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에, 영화제 관계자 및 영화계 종사자들은 코로나19의 진행 상황을 계속 주시하는 동시에 과거 ‘콘택트’ 시대와 향후 ‘온택트’ 시대의 양면적 경향과 흐름을 두루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rough this thesis, I have explored the changes and possibilities of various film festivals in 2020, in which the phenomenon of “Untact” greatly spread due to the pandemic of COVID-19,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visual technology. Many film festivals held in 2020 differed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spread of COVID-19, the quarantine situation by country and reg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festival. In addition, these film festivals had a common flow in that they used online system and visual technology while promoting events through offline. On the basis of that, there is an visual cultural trend, which has already expanded the base of online distribution and viewing systems in various forms. Therefore, even after the special situation caused by COVID-19 is over, it is likely that offline events will occupy the center of the film festival.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online services for those who cannot visit the festival venue is expected to become more and more systematic. Furthermore,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it is predicted that the proportion of online events that have already been presented before 2020 will gradually increase. Of course, the premise is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all technologies, including visual technolog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film festival officials and film industry workers to keep an eye on the progress of COVID-19 and to take into account the two-sided trends of the past “Contact” era and the future “Ontact” era.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