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V-TiO₂ 광촉매 기반의 공기 정화 시스템의 운전조건에 대한 연구

        한창석(Chang Seok Han),장혁상(Hyuk Sang Chang) 大韓環境工學會 200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0 No.3

        UV-TiO₂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에 운전조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시스템의 운영 조건이 바뀜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덕트 형태의 반응기를 제작하고, 스테인레스 격자망에 TiO₂를 코팅하였다. 또한 benzene을 이용하여 UV/TiO₂ 공정으로 유입농도를 변화시키고, 반응기로 들어오는 유량을 조절하여 TiO₂를 코팅한 스테인레스 격자망을 부착한 평판에서의 유속을 변화시켰으며, 코팅한 TiO₂ 광촉매량을 변화시키고, 일정한 양의 TiO₂ 광촉매를 코팅한 면적을 변화시켰으며, UV light intensity를 변화시켜 그에 따른 영향을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에서의 상대습도는 55%, 반응기 온도는 45℃를 유지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benzene의 유입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효율이 감소하였고, 유속이 느려질수록, 즉 농도 경계층 두께(concentration boundary layer thickness)가 증가할수록, 코팅한 광촉매량, 광촉매를 코팅한 면적, 조사한 UV 램프의 intensity가 증가할수록 benzene 제거효율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실내 공기 중 저농도의 VOCs를 대상으로 공기 정화 시스템을 설계할 경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 study on the operational variables of the UV-TiO₂ based photocatalytic air cleaning system was tried. In this study, to examine effects as various air cleaning system conditions, a duct-type reactor was made, and TiO₂ was immobilized on a stainless mesh. Benzene was chosen as a target compound. Removal experiments for benzene were done under different initial benzene concentration, air velocity, TiO₂ loading, area coated TiO₂ as the same TiO₂ loading, and UV light intensity conditions. During the experiments, relative humidity was 55%, and reactor temperature was 45℃. As a result,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benzene decreased as the inlet concentration increased. But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boundary layer thickness, amount of TiO₂, area coated TiO₂ as the same amount of TiO₂, and UV light intensity increased. Based on results of current study, they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air cleaning system over low level VOCs in the indoor air.

      • SCOPUSKCI등재

        원자력용 개량 9Cr-1Mo 및 9Cr-0.5Mo-2W 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연구

        김성호,송병준,한창석,국일현,류우석,Kim, Seong-Ho,Song, Byeong-Jun,Han, Chang-Seok,Guk, Il-Hyeon,Ryu, U-Seok 한국재료학회 1999 한국재료학회지 Vol.9 No.11

        액체금속로 전열관재료용 개량 9Cr-1Mo강의 특성에 미치는 텅스텐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개량 9Cr-1Mo강에 텅스텐을 2wt.% 첨가하여 템퍼링 온도에 따른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템퍼링시 전위회복에 의해 형성되는 셀 구조가 나타나는 템퍼링 온도는 개량 9Cr-1Mo강의 경우 $700^{\circ}C$인 반면, 텅스텐을 첨가한 9Cr-0.5Mo-2W강의 경우는 $750^{\circ}C$이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텅스텐 첨가는 전위회복을 지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텅스텐을 첨가하여도 템퍼링 온도에 따라 생성되는 석출물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텅스텐을 첨가한 강에 있는 석출물에는 텅스텐이 포함되어 있었다. 텅스텐의 첨가로 경도값, 고온 인장강도 그리고 항복강도가 증가하였다. 이것은 텅스텐 첨가로 인한 미세구조의 안정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충격시험에서는 항복강도가 낮은 개량 9Cr-1Mo강이 더 우수한 충격파괴특성을 가졌다.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od.9Cr-1Mo and W added 9Cr-0.5Mo2W steels were investigated for liquid metal reactor (LMR) heat exchange tube. The tempering temperatures at which cell structure was formed were $700^{\circ}C$ for Mod.9Cr-1Mo steel and $750^{\circ}C$ for W added 9Cr0.5Mo-2W steel. indicating the recovery of dislocation was delayed by the addition of W. 9Cr-0.5Mo-2W steel had the same kinds of precipitates with Mod.9Cr-1Mo steel, but the W was included in the precipitates in 9Cr-0.5Mo-2W steel. Micro-hardness and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9Cr-0.5Mo-2W steel were higher than those of Mod.9Cr-1Mo steel. The impact property of Mod.9Cr-1Mo steel was superior to that of 9Cr-0.5Mo-2W ste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