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담수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온배수의 영향

        한중수 ( Jung-soo Han ),왕주현 ( Joo-hyoun Wang ),김정은 ( Jeong-eun Kim ),정진호 ( Jin-ho Jung ),배연재 ( Yeon-jae Bae ),이황구 ( Hwang-g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온배수란 발전소에서 사용한 냉각수 및 온천, 폐수처리장등에서 이용되는 방류수를 의미한다(Kim, 2000). 온배수의 방류는 하천과 호소 등의 수온을 상승시키며(Kim, 2000), 이러한 수온 상승은 겨울철에 하천이 얼지 않는 현상 또는 온배수 방류지역에 안개가 빈번해지는 현상 등이 일어난다(Waite, 1981; Whitehouse, 1971). 방류수 수온이 하천 생태계에 순기능의 역할을 하는 경우,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동·식물들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며, 반면에 역기능을 유발하는 경우에는 어류의 카드뮴과 납의 섭취가 증가하게 되고, 빠른 성장으로 인하여 조기 사망이 발생하게 된다 (Moore, 1958; Sin, 1995). 담수무척추동물은 하천에 서식하는 여러 생물군 중에서 하천 생태계의 주요 변화요인인 물리·화학적 요인 및 생물학적 요인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급격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 낮아수환경을 평가하는 지표생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Im, 2015). 본 연구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온배수의 영향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저수온기를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온배수 배출시설에서 온배수가 유입되는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에 위치한 부소천 일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온배수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혼합역과 혼합역을 기준으로 상·하류 지점을 선정하여 수질 분석 및 담수무척추동물의 종조성, EPT-group 개체 비율, 군집분석, 기능군 분석, 생물학적 수질을 평가하였다. 담수무척추동물의 정량채집은 Suber net (30㎝x 30㎝, 망목 0.2㎜)을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양한 미소서식처에 서식하는 담수무척추동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Bottom kick net 및 Hand net (지름 18㎜, 망목 0.5㎜)를 이용하여 정성채집을 병행하였다. 수질분석 결과 수온은 상류지점에서 평균 2.83(±1.89)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혼합역에서 평균 6.31 (±2.8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존산소(DO)는 상류에서 평균 14.61 (±1.8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COD는 조사지점별로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총 질소(T-N)는 평균 2.98 (±1.01), 총 인(T-P)은 평균 0.13(±0.14)으로 혼합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류지점 보다 하류지점에서 T-N, T-P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총 3문 4강 11목 30과 50종 4,015개체의 담수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종비율은 하루살이목이 6과 16종(32.0%), 출현비율은 파리목이 1,848개체(46.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하루살이목-강도래목-날도래목(EPT-group)은 총 17과 32종 1,876개체(46.72%)가 출현하였다. 하류지점에서 평균 65.66(±30.2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사기간 동안 혼합역에서 평균 19.05(±9.58)%로 가장 낮은 EPT-group 개체 출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평균 0.63 (±0.11), 다양도지수는 평균 1.82 (±0.24), 균등도지수는 평균 0.64 (±0.08), 풍부도지수는 평균 2.94 (±0.33)로 분석되었다. 우점종 및 아우점종 분석결과 혼합역에서는 비교적 넓은 수온대를 차지하는 실지렁이(Limnodrilus gotoi)와 깔따구류(Chironomidae spp.)가 조사시기별 우점하였으나 상·하류 지점에서는 민하루살이(Cincticostella levanidovae), 민강도래 KUa (Nemoura KUa) 등 냉수성종 및 민감종이 우점종으로 조사되어 혼합역과 다소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섭식기능군분석결과 상류와 혼합역에서 Gathering-Collectors, 하류에서는 Filtering-Collectors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Shredders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서식기능군은 Clingers와 Burrowers가 조사지점별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Clingers의 비율이 높아지고, Sprawlers와 Swimmers는 조사지점별로 유사한 출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시기별 한국오수생물지수(KSI) 분석 결과 상류에서 평균 1.12(±1.25, B등급), 혼합역에서 평균 2.73 (±0.41, C등급), 하류에서 평균 0.71 (±0.38, A등급)로 하류에서 가장 양호한 하천상태를 나타내고, 혼합역에서 가장 불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담수무척추동물과 수온과의 대응분석 결과 상류와 하류는 수온과EPT-group과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역은 높은 수온으로 인하여 EPT-group과의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냉수성 종인 애우묵날도래 KUa (Apatania KUa)와 녹색강도래(Sweltsa nikkoensis) 등은 낮은 수온과 관련성이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온과 개체수, 종수, 군집지수, EPT-group, 냉수성종과의 상관성 분석결과, 우점도지수 및 개체수, EPT-group 개체 비율, 냉수성종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종수는 수온과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온배수의 유입으로 인한 수온의 변화는 EPT-Group, 냉수성 종 및 민감종의 분포를 제한하는 중요 요인인 것으로 생각되며, 급격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낮은 담수무척추동물의 종 분포 및 군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보령호의 어류상 및 붕어 개체군 특성

        최원섭,한중수,최준길,이황구,Choi, Won Sub,Han, Jung Soo,Choi, Jun Kil,Lee, Hwang Go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보령호를 대상으로 어류상 및 붕어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2017년 10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류상 조사결과, 총 9과 15종 3,506개체가 출현하였으며, 한국고유종은 얼룩동사리 1종(6.6%), 외래종 및 생태계교란종은 떡붕어, 배스 2종(13.3%)이 조사되었다. 상대풍부도 분석결과, 빙어 1,706개체(48.6%), 붕어 1,021개체(29.1%)로 각각 우점, 아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량 분석결과 붕어가 246,130 g으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동자개 50,610 g, 떡붕어 14,730 g, 메기 11,560 g, 잉어 10,930 g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 0.87 (±0.2), 다양도지수 0.78 (±0.5), 균등도지수 0.47 (±0.2), 풍부도지수 0.99 (±0.5)로 분석되었다. 붕어 개체군의 전장 - 체중 상관관계 분석결과 회귀계수 b값은 3.06으로 나타났으며, 비만도 지수(K) 기울기는 양의 기울기로 분석되었다. 전장빈도분포 분석결과, 당년생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2년생으로 추정되는 170~190 mm 개체는 다수 출현하였고, 4~5년생으로 추정되는 230~280mm 개체는 낮은 출현을 나타내었다. 보령호의 저수량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평균저수량과 NDWI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3년에서 2014년에 급격한 연평균 저수량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웅천천이 유입되는 St. 4에서 수위변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ish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rassius auratus population in the Boryeong Reservoir in Chungcheongnam-do from October 2017 to June 2018. The collected fish were identified as 3,506 individuals of 15 species from a total of nine familie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H. nipponensis with 1,706 (48.6%) individuals and C. auratus with 1,021 (29.1%) individuals, respectively. The biomass of C. auratus (246,130g), P. fulvidraco(50,610g), C. cuvieri (14,730 g), S. asotus (11,560 g), and C. carpio (10,930 g)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community analysis showed a dominant index value of 0.87 (±0.2), a diversity index value of 0.78 (±0.5), an evenness index value of 0.47 (±0.2), and a richness index value of 0.99 (±0.5). The length-weight analysis of C. auratus showed a regression coefficient b of 3.06, and a condition factor (K) of 0.0004 with a positive slope.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total length analysis of the C. auratus population inhabiting the Boryeong Reservoir showed a high distribution of lengths between 140-160 mm and a low distribution between 230-280 mm. The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was analyzed over the Boryeong Reservoir water surface from 2013 to 2014 using Landsat 8 channel data. The areas where the NDWI was decreased were located at the inflow site of Ungcheon Stream.

      • 복원된 참갈겨니 개체군의 서식 실태 분석

        왕주현 ( Ju-hyoun Wang ),한중수 ( Jung-soo Han ),안채희 ( Chae-hui Ahn ),김정은 ( Jeong-eun Kim ),최준길 ( Jun-kil Choi ),이황구 ( Hwang-g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오늘날 인간 활동에 의해 수천종의 동·식물들이 멸종되고 그에 따라 개체군이 사라지며, 유전변이가 감소됨으로써 생태계 전체가 파괴되고 있는 상황에 이르렀다(Primack, 2008). 현재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도 생물다양성 및 환경문제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Kim et al., 2011). 다양한 생태계 구성요소 중 하천은 여러생물들의 이동 통로인 역할과 동시에 서식처를 제공하며, 에너지를 고정 및 순환시킨다. 또한 오염물질을 스스로 정화하는 자정작용 등 중요한 기능을 담당함으로서 하천생태계와 육상생태계의 연속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Byeon, 2013). 특히,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 중 어류는 이동성이 매우 크며, 서식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군 중하나로서 하천생태계 내에서 고차 소비자이자 수환경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생물이다(Song et al., 1995; Han et al., 2007). 또한 자연적 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위적 교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특정어류 개체군의 생물군집 분석을 통해 하천 및 호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Jang et al.,2007; Lee et al., 2014). 본 연구는 광릉숲 내에 위치한 봉선사천의 2008년 종다양성 복원사업으로 방류를 실시한 참갈겨니(Zacco koreanus)개체군과 origin 서식처인 조종천과 수동천에 서식하는 참갈겨니 개체군 간의 서식 실태 비교를 실시하고자 하며, 서식처 및 어류상 비교를 통해 향후 어류 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서식처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참갈겨니복원 개체군이 서식하는 봉선사천과 origin 개체군이 서식하는 조종천과 수동천에서 참갈겨니 개체군의 산란시기를 고려하여 2016년 6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봉선사천, 조종천, 수동천에서 각각 2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조사지 개황을 분석한 결과 유폭은 봉선사천에서 최대 27m로 가장 넓은 유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심은 조종천에서 최대 127cm로 가장 깊은 수심을 나타내었다. 하상구조는 조사 구간 모두 boulder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상류역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하상구조를 보였다. 조사지점별 수질항목 측정결과 수온은 수동천에서 평균 23.3(±2.3)으로 가장 수온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조종천에서 20.2(±1.0)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H는 평균 7.80(±0.07; 조종천)∼8.30(±0.98; 수동천)으로 중성에서 약알칼리성을 나타내었다. DO는 평균 6.63(±0.61; 봉선사천)∼8.45(±1.80; 수동천)로 어류의 서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BOD는 평균 2.25(±0.71; 봉선사천)∼3.52(±2.12; 수동천)로 나타났으며, 전기전도도는 평균 219.90(±5.52; 수동천)∼278.90(±1.13; 봉선사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동안채집된 어류는 봉선사천에서 총 3과 11종 530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조종천에서 4과 12종 293개체, 수동천에서 4과11종 361개체가 채집되었다. 한국고유종은 총 10종이 출현하였으며, 봉선사천과 수동천 6종(54.5%), 조종천 6종(50.0%)이 출현하여 일반적인 하천에서의 고유종 빈도인28.8% (Kim et al., 2005) 보다 높은 고유종 빈도를 보였다. 봉선사천에서 참갈겨니가 168개체(31.7%)로 우점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가 161개체(30.4%)로 아우점하였다. 조종천은 참갈겨니 146개체(49.8%)로 우점하였으며, 피라미 64개체(21.8%)로 아우점하였다. 수동천은 참갈겨니 164개체(45.4%)로 우점하였으며, 피라미 77개체(21.3%)로 아우점하였다. 조사하천별 참갈겨니가 우점하고 피라미가 아우점하는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었다. 조사하천별 군집분석결과 우점도지수는 평균 0.63(±0.05; 봉선사천)∼0.72(±0.01; 조종천), 다양도지수는 평균 1.55(±0.06; 조종천)∼1.78(±0.11; 봉선사천), 균등도지수는 평균 0.71(±0.03; 조종천)∼0.76(±0.02; 봉선사천), 풍부도지수는 1.61(±0.33; 조종천)∼1.73(±0.24; 수동천)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조사하천간의 군집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봉선사천의 군집구조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지점별 출현종과 개체수를 이용하여 지점간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75.4%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A와 B 2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B-group에 속한 봉선사천의 St. 1과St. 2 지점간 유사성이 83.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동천의 St. 2와 조종천 St. 2가 82.9%, 수동천 St. 1과 조종천St. 1이 78.9%의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공간적인 단점을 보완한 정량적 서식처 평가기법(QHEI)을 분석한 결과 조종천에서 평균 88.8(±12.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동천에서 평균 85.5(±3.5), 봉선사천에서 평균84.3(±13.8)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조사하천 모두 평균 S등급의 양호한 서식처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 평가지수인 FAI분석 결과 봉선사천 평균 87.5(±0.0), 수동천 96.9(±4.4)로 각각 A등급의 최상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종천에서 평균 84.0(±22.1)으로 B등급의 양호한 하천건강성을 나타내었다. 2008년 봉선사천에 복원된 참갈겨니 개체군과 복원개체군의 origin 서식처에 서식하고 있는 참갈겨니 개체군의 길이-무게분석 결과 봉선사천 참갈겨니의 성장도의 회귀계수b값은 3.1452로 분석되었으며, 조종천은 3.4392, 수동천은 3.3141로 분석되어 봉선사천에 복원된 참갈겨니 개체군의 회귀 계수 b값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지수 분석결과 봉선사천의 비만도 지수 기울기는 0.0035, 조종천 0.0050, 수동천 0.0080으로 분석되어 비만도지수 기울기 또한 봉선사천에 복원된 개체군의 기울기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봉선사천의 복원 개체군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먹이원을 이용하는 이용능력 또한 가장 낮으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식처별 참갈겨니 수컷과 암컷의 생식소 무게를 측정하여 복원 개체군과 origin 서식처개체군 간의 생식능력의 차이를 평가한 결과 서식처별 수컷생식소의 median 값은 봉선사천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수동천, 조종천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암컷의 생식소의 median값 또한 봉선사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동천과 조종천은 median 값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어 상대적으로 봉선사천의 참갈겨니 개체군의 생식소 크기가 비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갈겨니 개체군의 하천별 생식소중량지수(GSI)를 분석한 결과 수컷은 봉선사천이 평균 2.44(±1.75)로 가장 GSI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수동천 1.87(±1.20), 조종천 1.77(±1.03)의 순으로 나타났다. 암컷 역시 봉선사천에서 평균 4.50(±1.76)으로 가장 높은 GSI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조종천3.41(±3.08), 수동천 2.40(±1.33)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체군의 생육상태 및 먹이원을 이용하는 이용능력을 파악할수 있는 성장도와 비만도 지수에서는 origin 서식처에 서식하는 참갈겨니 개체군이 봉선사천에 복원된 참갈겨니 개체군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식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생식소 분석 결과에서는 봉선사천에 복원된 참갈겨니 개체군이 origin 서식처에 서식하는 참갈겨니 개체군보다 높은 생식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봉선사천에 복원된 참갈겨니 개체군의 경우 생태적 지위가 유사한 피라미의 개체수가 풍부하여 종간 경쟁(Interspecific competition)을 위한 참갈겨니 개체군의 수도(abundance)를 증가시키기 위해 생식능력에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에 반해피라미 개체군의 개체수가 비교적 적은 origin 서식처에서는 생식능력에 에너지를 소비하기 보다는 종내 경쟁(Intraspeci fic competition)을 위한 개체성장(Individual growth)에 많은 에너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노외기계시스템공학 ; 정유압-기계식 변속기의 성능 특성과 형식 선정을 위한 설계 변수

        심동국 ( Dong Guk Sim ),김경욱 ( Kyeong Uk Kim ),한중수 ( Jung Soo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1 바이오시스템공학 Vol.36 No.6

        Market demand for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HMT) for agricultural tractors has increased recently. To select a type of HMT satisfying design condition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12 HMT types must be underst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ractor engineers with a guideline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HMT type for their design requirements. Characteristics on speed reduction ratio,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power regeneration, lock-up angular velocity, output torque ratio and torque ratio of planetary gear train axis of the 12 HMT types were investigated and presented as either formula or graphical forms. A guideline to select proper HMT type was also presented using 2 parameter: lock-up angular velocity (ωL) and torque ratio of the planetary gear train axis. In addition, effect of gear ratio of the planetary gear train on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was investigated and a guideline to select the best gear ratio was also presented.

      • 서울 월드컵 공원의 어류군집 변동

        김정은 ( Jeong Eun Kim ),이황구 ( Hwang Goo Lee ),왕주현 ( Ju Hyeon Wang ),박영욱 ( Young Wook Park ),한중수 ( Jung Soo Han ),안채희 ( Chae Hui Ahn ),최준길 ( Jun Kil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월드컵공원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해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서울시계 한강 이북 서쪽 끝에 해당된다. 2002년 월드컵과 새 천년을 기원하기 위해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을 안정화시키면서 약 340 m2의 면적으로 대규모의 생태공원을 조성하였다. 월드컵 공원의 관리방향은 시민의 이용과 함께 쓰레기 매립지 내 생물다양성의 증가를 위한 생태적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태공원은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 공원, 평화의 공원, 난지한강공원 등 총5개의 테마파크로 조성되어 있다. 이 중 평화의 공원은 면적약 45만 m2로 한강으로부터 용수를 공급 받는 난지연못과 평화의 정원, 유니세프 광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난지천공원은 면적 약 30만 m2로 난지도의 북단을 돌아 한강으로 흐르는 작은 지류인 난지천과 오리연못이 포함되어 조성되어 있다. 쓰레기 매립지 당시에는 침출수의 유출로 인해서 하천으로서의 기능은 거의 상실하였지만 공원이 조성된 이후, 기존의 물길을 따라 하천을 인공적으로 복원시켜 자연하천과는 전혀 다른 생태계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마침내 쓰레기 더미로 뒤덮인 난지도에 한국과 서울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월드컵경기장이 세워짐으로써 난지도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고, 세계인의 관심이 모아지는 명소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계 재생 지역인 서울시난지도 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어류상에 기초하여 선행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한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변동을 파악하고자 하며, 다양한 분석을 통한 수생태계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지점은 서울 월드컵공원 내에 위치한 평화의 공원의 난지연못(St.1)과 난지천공원의 난지천(St.2)을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여름철과 가을철에 2회~3회 실시하였다. 물리 화학적 수환경 평가는 가장 최근조사인 2015년에 실시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지역의 수환경은 난지연못(St.1)의 유폭은 2~60 m, 수심은 퇴수 시0.5~2 m, 하상구조는 Boulder, Cobble, Pebble, Gravel, Silt/Sand의 비율이 1:4:3:1:1로 이루어져 있었다. 난지천(St.2)의 유폭은 1~10 m, 수심은 0.5~1.5 m 정도였으며, 하상구조는 Boulder, Cobble, Pebble, Gravel, Silt/Sand의 비율이 0:3:1:4:2로 이루어져 있었다. 용수공급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4월과 7월에 실시한 수질분석 결과, 난지연못은 COD (Chemical Oxygen Demand)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4월의 수질에 비해 7월의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난지천은 COD와 T-P (Total Phosphorus), CG(Coliform Group)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4월에 비해 7월의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2년에 월드컵공원이 개원한 후 현재까지 난지천과 난지연못에서 실시한 어류상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월드컵공원 어류상의 장기변동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3, 2004, 2011, 2014,2015년도를 제외하고는 출현 종수만을 파악하여 연도별 체계적인 분석은 불가능 하였으며, 전반적인 분석은 출현 종에 대한 개체수가 파악되는 연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15년도까지 총 10과 36종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과별 종수는 잉어과가 21종으로 전체 어종의 58.3%를 차지하였으며, 망둑어과 5종(13.9%), 미꾸리과와 동사리과 2종(5.6%), 동자개과, 메기과, 송사리과, 꺽지과, 검정우럭과, 가물치과는 각각 1종(2.8%)씩 출현하였다. 법적보호종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긴몰개, 몰개, 참몰개, 왜매치, 참갈겨니등 총 6종(16.7%)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구역에서 대두어, 쏘가리와 생태계교란종인 배스가 출현 하였지만 2006년 이후에 출현한 기록이 없어 안정적인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위적인 방류 또는 한강 용수공급 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국내 정수역에서 블루길과 배스와 같은 교란어종의 출현율 및 우점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 하천을 통한 교란종의 유입이 비교적 쉬운 시스템임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요구된다. 연도별 출현 종수는 2015년에 19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2004년에 8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으며, 2006년 이후 어종수가 감소하다가 2014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7회 이상 출현한 종은 버들매치, 미꾸리, 잉어 등 총 12종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종은 비교적 환경변화에 대한 내성 범위가 넓은 종으로 월드컵공원에 적응하여 안정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개체수가 파악된 2003년과 2004년, 2011년, 2014년, 2015년도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의 연도별 변화는 2003년과 2011년, 2015년에는 피라미가 우점하였으며, 2004년에는 몰개, 2014년에는 붕어가 우점하였다. 2003년과 2015년에는 붕어가 아우점하였으며, 2004년에는 참붕어, 2011년에는 긴몰개, 2014년에는 피라미가 아우점하였다. 2004년에 몰개의 개체수가 일시적으로 급증하여 나타났으며, 붕어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염에 대한 내성이 강한 어종들이 우점한 것으로 보아 일반적인 정수생태계의 어류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우점도지수,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를 산출하였다. 우점도지수는 0.67 (2003년) ~ 0.90 (2004년), 다양도지수는 0.81 (2004년) ~ 1.86 (2014년), 균등도지수는 0.39 (2004년) ~ 0.64 (2014, 2015년), 풍부도지수는 0.94 (2004년) ~ 3.5 (2014년)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상대적으로 2014년이 가장 안정적인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04년의 군집이 가장 불안정적인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과 2015년에 우점했던 붕어와 피라미의 생육상태를 파악하고자 전장-체중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014년의 우점종인 붕어의 전장범위는 22~206mm, 아우점종인 피라미는 72~122 mm로 다양한 연령군이 채집되었다. 붕어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은 2.91, 피라미는 3.37로 분석되었다. 비만도 지수 분석 결과붕어는 기울기가 음의 값인 -0.0018, 피라미는 양의 값인0.036으로 분석되었다. 2015년의 우점종인 피라미의 전장범위는 28~117 mm, 아우점종인 붕어는 23~233 mm로 다양한 연령군이 채집되었다. 피라미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은 2.87, 붕어는 2.93으로 분석되었다. 비만도지수 분석 결과 피라미는 기울기가 음의 값인 -0.0018, 붕어는 -0.0014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다양한 전장범위가 나타나 안정된 번식을 통한 생활사가 유지되고 있지만 매년반복되는 용수공급과 퇴수로 인해 생육상태가 비교적 불안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를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 지수(FAI) 분석결과 2003년과 2003년엔 보통인 C등급으로 분석되었으며 2011년, 2014년, 2015년은 양호한 B등급으로 분석되었다.

      • 급성 백혈병환아의 혈청내 변형 Ribonucleoside의 변동에 관한 연구

        한중수,이정국,고재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1993 한양의대 학술지 Vol.13 No.1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modified ribonucleosides in serum could be used as specific tumor markers for acute lymphocytic leukemia (ALL) and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analysis of serum samples from normal child hood controls and patients with the leukemia was performed using reversedphase HPLC. For this study, a rapid and precise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very small amounts of modified nucleosides in serum by HPLC has been developed. The ribonucleosides were prefractionated with boronate affinity gel column. 1. The concentration of total modified nucleosides in serum of patients with ALL was increased by 46% as compared to normal control level. Patients with ALL ha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s of pseudouridine (ø), 1-me-thyladenosine(m A), 4-thiouridine(sU), 1-methylinosine(mI), 1-methylguanosine(m G ), N,N-dimethylguanosine(m G ) and -methyl-adenosine( ) than normals. Among these nucleosides elevated, positive rates of ø, m A, m I, m G and N A as a marker for the leukemia were observed to be 79%,79%,64%,93% and 93%, respectively. 2. When compared to normal control value, total modified nucleoside content in serum of patients with AML was increased by 21%, Contents of , mA, sU, mI,mG and NA were significantly incresed in serum of patients with AML. Positive rate of mI, mG and NA were 83%, and that of mA was 67%, respectively in AML studied in this experiment. 3. In follow-up study for seven of fourteen patients with ALL, contents of , mA, mI and mG were decreased to normal value after effective chemotherap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rum levels of ø, m A,m I, m G and N A for ALL and those of m A, m I, m G and N A for AML could be used as diagnostic or biochemical markers. These markers might be useful to monitor the effectiveness of chemotherapy for leukemia.

      • 소아 급성 백혈병 환아의 혈청 Ribonuclease의 분리에 대한 연구

        김정환,한중수,고재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1986 한양의대 학술지 Vol.6 No.1

        In the present study activities of neutral RNase and positive rate of the enzyme as a marker for leukemia were determined in serum of patients (children) with acute lymphocytic and nonlymphocytic leukemia. The neutral RNase in the serum was isolated and fractionated by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nzyme proteins unique to acute leukemia were present in serum of the patients. 1. Activities of serum neutral RNase and positive rate of the serum enzyme as a marker for acute leukemi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 Of the protein peaks isolated by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in normal and patient with acute lymphocytic leukemia, four protein peaks exhibited RNase activity. Activities and specific activities of neutral RNase of each of four DEAE-cellulose peaks from the leukiemc serum were greater than those from normal serum especially in DEAE-cellulose peaks Ⅲ and Ⅳ. 3. Patterns of protein bands fractionated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in serum of patients with acute lymphocytic leukemia were similar to those of normal serum in DEAE-cellulose peaks, Ⅰ, Ⅱ and Ⅲ, but appeared to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in DEAE-cellulose peak Ⅳ.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termination of serum neutral RNase could be used as a marker for acute leukemia in children and suggested that RNase specific to leukemia might be present in serum of patients (children) with lymphocytic leukmia.

      • SCOPUSSCIEKCI등재

        허혈성 뇌부종으로 인한 뇌 Energy 대사변화에 대한 Methylprednisolone의 효과

        장일태,김성학,박동빈,신규만,한중수 대한신경외과학회 1987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hylprednisolone(M.P.) on the alterations of ATP,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adenylate energy charge (E.G.), glucose and lactate in the cats with acute focal ischemic cerebral edema. The acute occlusion of left middle cerebral artery (MCA) of forty cats for 1, 3 and 5 hours respectively were accomplished by applying Heifetz clip through the transorbital approach operating microscope. Twelve cats were not recirculated as a untreated group, twelve cats were recirculated for 2 hours as a recirculation group and twelve cats were recirculated for 2 hours and given M.P.(15㎎/㎏) at 30 minutes after occlusion initially, and then every one and a half hour as a treatment group.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1) In 1-hour untreated group, ATP was reduced to 34.0%,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reduced to 72.2%, adenylate E.C. reduced to 60.6%, glucose reduced to 67.3% and lactate increased to 156.6% of the control value. In the recirculation group, ATP was reduced to 42.0%,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reduced to 82.4%, adenylate E.C. reduced to 74.3%, glucose increased to 552.7% and lactate decreased to 79.8%. In the treatment group, ATP was increased to 143.9%,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increased to 153.9%, adenylate E.C. decreased to 92.9%, glucose increased to 3334.5% and lactate decreased to 74.6%. 2) In 3-hour untreated group, ATP was decreased to 24.9%,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reduced to 22.9%, adenylate E.C. reduced to 58.6%, glucose decreased to 45.5% and lactate increased to 161.3% of the control value. In the recirculation group, ATP reduced to 32.9%,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reduced to 28.6%, adenylate E.C. reduced to 71.4%, glucose rose to 520.0% and lactate to 135.3% of the control value. In the treatment group, ATP reduced to 99.5%,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increased to 103.5 %, adenylate E.C. decreased to 84.3 %, glucose rose to 1187.3% and lactate increased to 101.2%. 3) In 5-hour untreated group, ATP decreased to 5.3%,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reduced to 9.0%, adenylate E.C. reduced to 58.6%, glucose decreased to 25.5% and lactate increased to 187.9%. In the recirculation group, ATP decreased to 4.4%,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decreased to 5.8%, adenylate E.C. decreased to 57.1%. In the treatment group, ATP was reduced to 11.2%, sum of adenosine nucleotides and adenylate E.C. reduced to 70.0%, glucose rose to 103.6% and lactate to 157.2% of the control value. As the results shown above, the therapeutic beneficial effects of M.P. were observed in cats of 1 or 3-hour occlusion of MCA with 2-hour recir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