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현대화 전략의 가능성 및 시사점

        한종만(Han, Jong-Ma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2 슬라브학보 Vol.27 No.4

        This study is roughly classified into four parts - the concepts, causes and developments, possibilities and barriers of Russian modernization strategy,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The idea of modernization strategy has deep historical roots in Russia: From Peter the Great’s dream of Europeanized Russia to the Soviet attempt to cause to move forward with force a peasant society into an urban one. The definition of modernization can be interpreted in two ways. On the one hand, it is understood as a purely economic and technological process, with the aim of achieving competitiveness at the global level. On the other hand, modernization can refer to a development of social and political institutions like developed western democraci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Russian President Dmitry Medvedv made modernization the important feature of the policy agenda. Above and beyond all other, modernization meant diversifying the Russian Economy to become less dependent on natural resources revenues. Russia needs to make up for a significant technological and innovation lags. Russia needs to develop a new knowledge-based economy. In my view, modernization is essential if Russia is to successfully completed its full potential and engage without reserve with global economy. Foreign technology, capital, and expertise have a crucial contribution to make a genuine modernization of the Russian economy. Successful Russian modernization requires a climate of economic and institutional predictability in order to attract and to keep foreign investors and domestic capital (both human and financia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러시아연방 아시아지역의 경제 현황과 개발 전망

        한종만(Jong-man Han)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8 OUGHTOPIA Vol.23 No.2

        1991년 러시아아시아지역은 개방되기 이전까지 이 지역은 러시아 중앙지역을 위한 자원채굴기지와 안보기지의 역할만 강조되어 섬처럼 폐쇄된 지역으로 외국인은 물론 러시아인들조차도 통행이 힘들었다. 이 지역은 정치범의 수용소로 한 번 가면 돌아오지 못하는 죽음의 땅으로 인식되거나 혹은 자원채굴을 위해 광부와 그 가족 그리고 안보 목적을 위해 일방적으로 건설된 군수산업의 종사자와 군인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었다. 1990년대 체제전환 과정에서 대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아시아 지역까지 투자할 여력이 거의 없었다. 고르바쵸프와 옐친의 극동?자바이칼 연방 프로그램도 종이 상으로만 작동할 수밖에 없었다. 그동안 이 지역은 안보와 러시아 유럽지역을 위한 자원채굴 기지의 역할만을 담당해왔다. 또한 이 지역은 구소련의 부정적 유산(시장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방위산업과 원료-연료 채굴산업 입지 등)과 중앙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리적 원격성, 혹독한 기후 조건뿐만 아니라 중앙정부로부터의 예산지원이 대폭적으로 감소하거나중단되면서 높은 체제전환 비용을 지불해왔다. 그 지표로써 러시아 아시아지역, 특히 극동과 동시베리아 지역의 심각한 인구감소(마이너스 인구증가율과 인구 유출) 등을 들 수 있다. 자구책의 일환으로써 러시아아시아지역, 특히 극동 및 동시베리아 지방정부들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동북아국가들과의 인적?물적교류의 활성화를 통해 아태지역으로 경제편입을 원하고 있다. 푸틴 총리와 메드베데프 대통령도 전통적으로 중요한 유럽과 대서양 국가들과의 교류뿐만 아니라 그동안 경시해왔던 아시아지역(중앙아시아의 근외국가와 인도 등)과 태평양(한, 중, 일 등)국가와의 교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러시아의 아시아지역은 러시아 국토의 4분의 3을 점유하는 거대한 대륙으로 자원의 보고지역이며 육해공으로 대륙간 혹은 대양(태평양과 대서양)간 가교역할을 담당하는 지경학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러시아연방의 ‘교통전략 2020(2030)’과 ‘에너지전략 2020(2030)’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유럽으로의 에너지 수출뿐만 아니라 동북아와 아태지역으로의 수출 루트와 수출시장의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재정적 여력을 갖춘 러시아 연방정부는 극동ㆍ자바이칼 연방 발전프로그램도 2013년까지 연장하면서 이 지역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2012년 11월에 블라디보스토크의 APEC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사회간접자본의 대대적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러시아연방 아시아지역의 잠재력이 21세기에 더욱더 구체화될 것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 지역에서의 협력 사업은 이 지역의 발전은 물론 러시아의 경제력을 배가시킬 뿐만 아니라 동북아와 아?태지역 경제발전의 기관차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한국은 다가오는 시베리아?극동 시대를 맞아 그 잠재력을 현실화하는 데 적극 참여할 의사가 있음을 분명하게 밝히고 한반도의 국운을 유라시아 대륙으로 확장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러시아연방 아시아지역의 지역적 특성, 경제현황, 개발정책의 전망 그리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analysis of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and development prospects of Russian Asian region. In this region economic indicators have been changing positively since 2000. The main reason for the positive growth dynamics in Russian Asian regions is high level of oil and gas prices and the sharply rouble d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ources potential of Russian Asian territories and deduce specific business opportunities and methods of cooper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Russia. Russian Asian region has the world's largest storage of natural resources including oil, natural gas, coal, fishes, woods, and etc. The development of Russian Asian region requires time and the effort ofneighbouring countries since it is a handful of the Russian government alone to handle. Korea has both geographical proximity and ideal complementary economic relationship with Siberia & the Far East of Russia. If Korea wer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Siberia & Far Eastern territories, then there would be an increase in economic activity between two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러시아 경제현황과 투자 환경 변화

        한종만(Han Jong-Man) 한국정치정보학회 2006 정치정보연구 Vol.9 No.1

        러시아는 체제전환 이후 5년 만에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 등으로 국내총생산은 거의 2분의 1로 하락했으며, 몇 천%가 넘는 초 인플레이션(hyper-inflation), 높은 실업률, 경화 부족 그리고 지역 격차와 사회안전망의 붕괴와 부익부 빈익빈 현상의 가속화와 임금 및 연금 체불, 빈곤층의 증가 등으로 정치, 경제, 사회적 총체적 위기를 경험했다. 결국 러시아는 1998년 8월에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면서 사실상의 국가파산 상태에 봉착했다. 경제회복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러시아는 예상과는 달리 1999년부터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안정을 구가하면서 모든 거시경제지표는 청신호로 달리고 있다. 푸틴 집권 이후 안정을 찾으면서 정치적 위험도와 투자 리스크는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황을 고려할 때 한국정부와 기업은 러시아와 시베리아ㆍ극동지역의 중요성을 인식해야만 하며, 대 국민홍보와 국민적 공감대 형성은 물론 러시아 및 시베리아 지역과의 협력과 진출 그리고 지역 전문가 양성에 대한 중장기적 방안책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s in the macroeconomic indicators, investment climate, and investment potential in Russia since the 1988 moratorium. The second section examines the Russian macroeconomic indicators (e.g. GDP growth rate, unemployment rate, inflation, trade account, foreign currency reserves, etc.), and thus shows that these indicators have been changing positively since the moratorium. The third section investigat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which helped encourage the foreign investment in Russia. Besides, the causality of favourable investment climate and investment potential is analyzed.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of the article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Korean-Russian relations in the light of Russian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A Study on the Quality of Language in Text-Based CMC Tasks

        한종임(Jong-Im Ha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5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generated by six different text-based CMC tasks in terms of the amount of language output, diversity of lexical use, complexity, accuracy of language, and the turn-taking and topic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6 EFL learners enrolled in a freshman English class at a university in Korea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total of 24 chat scripts were analysed.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e talking task was the most significantly effective in triggering the amount of language output, whereas the decision making task was the least effective. Secondly, the free talking task was the most significantly effective in triggering the diverse and rich lexical use of language, whereas the decision making task was the least effective. Thirdly,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accuracy of language across the six different types. This indicates that the students performed the tasks, mainly focusing their attention on the meaning while paying little attention on the forms of language. Lastly, incoherent and interwoven topic developments were persistently observed in the text chat scripts, which often led to communication breakdown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are made on the effective use of text-based CMC tasks in Korean English classroom settings.

      • KCI등재
      • KCI등재

        첨단 영어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전자교재 콘텐츠 개발 및 평가

        한종임(Han Jong-Im)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8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5 No.1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Elementary English Digital Textbook (MEDT)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nglish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evaluation of MEDT contents.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firstly presents relevant theories about the instructional design, e-learning strategie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English teaching theories to investigate on what theoretical foundation the MEDT was developed. It then examines how the MEDT integrates and incorporates new technologies such as speech recognition, automatic writing scoring system, games, flash animation, and digital storytelling into a wide variety of English learning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rdly, the study reports the learners" and experts" evaluations of MEDT with respect to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interest, levels, and technological functions. Last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MEDT, some suggestions are made on the effective use of MEDT for the implementation of enhanced, high-technological, and motivating English learning environment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한국 영어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의성 교육기법 기반 영어 교수ㆍ학습 활동 개발

        한종임(Han, Jong-Im),오혜진(Oh, Haejin),김영숙(Kim, Youngsook)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3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 ways to introduce creative thinking skills development in the English learning classroom, specifically, focusing on questioning techniques and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e study explores selected creative-thinking techniques which are in accordance with English teaching methods and goals in the Korean context. The techniques highlighted were deemed adequate for enhancing creative and analytical thinking skills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include the following: Brainwriting, SCAMPER, Lotus Blossom Technique, Forced Relationships/Analogy, Wishful Thinking Technique, Six Thinking Hats, SWOT, PMI technique, Flat Stanley Project. The study attempts to outline examples of and procedures for implementing such techniques in English education. The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insight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like and shall thus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of integrating creativity education with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