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한제준,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해 알아보 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이 무엇인 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자는 지구의 공전을 학습할 수 있는 8가지의 실험 방법을 조사 또는 개발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6명에게 이 실험을 실시하고 토의하도 록 한 후,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을 선택하고 이유를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 서는 계절별 별자리가 달라지는 실험, 중·고등학교에 서는 계절별 별의 스펙트럼을 비교하는 실험, 대학교에서 외행성의 역행운동이 효과적이라고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직접 체험의 가능 여부, 교과 내용과 연계 되는 정도, 배경지식과 고차원적인 사고의 정도를 실 험 선택의 이유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experiments of Earth’s revolution and which experiment is effective by school level. Researcher investigated and developed eight experiments for students to learn Earth’s revolution. Twenty six pre-service teachers did these experiments, discuss about them, chose an effective experiment of Earth’s revolution and wrote the reason why. As a result, they thought that an experiment of seasonal constellations is effectiv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experiment of seasonal star’s spectrum is effectiv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an experiment of the superior planets’ retrograde motion is effective for university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gave reasons such as hands-on experience, connection with textbooks, background knowledge and higher-level thinking.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천체관측 경험 실태 분석

        한제준,임성만,양일호,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is purposed to survey on astronomical observation experienc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Survey samples are 182 elementary students and 51 elementary teachers, and 8 students and 2 teachers among them a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elementary students are not interested in observing constellations, planets, and moon. Also most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are not taught to observe astronomical objects. Finally, regarding the difficulty of astronomical practice, teachers pointed out that lack of knowledge about astronomy.

      • KCI등재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학습 내용의 적정성 분석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한제준,권유지,오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3 현장과학교육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equacy of content elements and systems in the earth and universe domain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main stages suchas comparative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In the comparative analysis stage,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e literature review, the adequacy of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analyzed. We established three analytical perspectives such as selection, organization and the quantity and level of educational content by considering NGSS, KSES, TIMSS, and learning progressions. This research showed three results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as follows. First, we figured out learning contents were relocated, reduced, newly introduced, merged and transformed as compared to the 2015 edition. Second, the learning contents were reorganized. Third, the new section titled ‘Earth and Sea’ was introduced reflecting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lines of 2022 revi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orporate feedback from teachers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의 내용 요소와 체계의 적정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는 크게 비교 분석 단계와 문헌 연구 단계로 진행되었다. 비교 분석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 단계에서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선정과 조직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내용의 조직,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이라는 세 가지 분석 관점을 설정하였으며, NGSS, KSES, TIMSS, 학습발달과정 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이 이동, 축소, 신설, 병합, 변형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학습 내용이 재조직되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의거 생태전환교육이 반영되어, ‘지구와 바다’ 단원이 신설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 급별에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한제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해 알아 보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이 무 엇인지 연구하는데 있다. 초등 예비교사 24명과 함께 계절별 별자리 실험을 정리하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 인 실험이 무엇인지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에서는 역할놀이를 통한 직접적인 체험활동을 통한 별 자리 학습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중·고등학교에서는 stellariu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실적으로 계절별 별 자리의 변화를 관찰하고 추리해보는 활동을 효과적인 실험으로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초등학교에서는 직 접적인 체험과 구체적인 조작활동이 강조되는 실험을, 중·고등학교에서는 사실적인 자연현상의 관찰과 이를 통한 추리 활동이 강조되는 실험이 효과적이라고 인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s and to find out what are effective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s according to school salary. we organized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s with 24 elementary preparatory teachers and asked them to what effective experiments are for each school class. As a result, constellation learning through direct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role play is the most effective in elementary school, and in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the stellarium program to realistically observe and reason about seasonal changes in constellations was selected as an effective experimen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experiments in which direct experience and specific manipulation activities were emphasized in elementary school, and experiments in which observation of realistic natural phenomena and reasoning activities were emphasized were effective in middle and high schools.

      • KCI등재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모양’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한제준,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2

        지구의 모양을 아는 것은 지구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성취기준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모양 실험을 조사하여 학교 탐구실험에도움을 주고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지구의 모양을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 방법을 제시하고, 예비교사 26명에게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학생들에게 적절한 실험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그결과 효과적인 지구의 모양 실험에 있어서 학교 급별로 차이가 있었다. 예비교사는 초등학생들에게는 ‘항구로 돌아오는 배의 돛 관찰하기 실험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지구의 위도에 따른 북극성 고도 비교하기 실험, 대학교 학생들에게는 지면의 높이에 따른 시야의 차이비교하기 실험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예비교사는 학교 급별 효과적인 지구의 모양 실험을 선택할 때에는 실험 방법의 난이도, 추상적인 사고와 배경지식의 깊이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To learn the Earth’s shape is a very important achievement standard in the earth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helping school experiments by investigating effective experiments of the Earth’s shape of each stage of school. Researchers suggest various experiment methods to learn the Earth’s shape and investigated appropriate experiments to stage of elementary school, secondary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for 26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schools in effective experiments of the Earth’s shap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o observe a sail of ship to come back to a harbour is effectiv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responded that to compare the altitude of the polar star by latitudes is good for the secondary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compare difference of sight according to height of the ground is effective for university students. They thought that level of the experiment method, abstract thinking and depth of background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when teachers choose an effective experiment of the Earth’s shape.

      • KCI등재

        How Can We Improve the Lesson on Seasonal Change?

        한제준,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7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0 No.3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con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Beliz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evise experiment to understand a cause of seasonal change.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91 6th grade students who didn't learn seasonal change and 10 Belizean teachers to find out preconception of seasonal change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using inductive analysis. They thought that the Earth's rot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n and the Earth, the Earth's revolution,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cause seasonal change. And it found out that these misconceptions come from difficulty in awareness of space and impreciseness of textbooks and books and so o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correct inaccurate preconception and to improve lessons of seasonal change. It is to measure a meridian altitude and a length of daytime and nighttime and to compare them. This experiment can help to understand the cause of seasonal change by measuring natural phenomenons like the meridian altitude and the change of length of daytime by model.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천문 개념에 대한 오개념 분포 분석

        한제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천문 관련 개념을 조사하여 오개념의 분포를 분석하는것이었다.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초등교사 양성 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43명을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천문 개념에대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오개념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특히 많은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계절의 변화와 관련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은 여전히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천문 개념에 대해 단순 암기 수준의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사례에 알고 있는 개념을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천문 관련 교육이 단순 암기가 아닌 다양한 사례의적용과 응용을 통해 천문 현상을 이해하는 방향으로이루어져야 하며, 교사 양성 과정이나 교사 연수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천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tronomy-related concepts form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of misconcep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on 43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second year of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college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isconceptions about astronomy concepts showed a diverse distribution. In particula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ill had misconceptions regarding seasonal changes, which were pointed out in many previous studies.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formed concepts at the level of simple memorization of astronomy concepts and were having difficulty applying the concepts they knew to various cas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uture astronomy-related educa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 understanding astronomical phenomena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pplication of various cases rather than simple memorization, and astronomy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teacher training should also reflect this content.

      • KCI등재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자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한제준,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9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st school science class by investigating effective Earth’s rotation experiments of districts by school leve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or developed nine experiments for learning Earth's rotation, and conducted and discussed these experiments with 26 elementary school teachers. Each teachers chose an effective Earth’s rotation experiment for the district and wrote the reason.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ose the experiment that is easy to prepare and to do.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experiments by conducting them on their ow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chose more difficult experiments that could be connected with other concepts. University teachers chose effective experiments based on application of knowledge, active exploration, computer literacy, and difficulty.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자전실험을 조사하여 학교 과학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자는 지구의 자전을 학습하기 위한 실험 9 가지를 조사 또는 개발하였으며, 초등 예비교사 26명을대상으로 이 실험을 실시하고 토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자전 실험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는 실험 준비가 간단하고 실험 과정이 쉬우며, 학생들이 직접체험해 볼 수 있어 흥미를 느낄만한 실험을 선택하였고, 중·고등학교는 좀 더 난이도가 높고 다른 개념과 연계될수 있는 실험을 선택하였다. 대학교는 지식을 응용, 능동적인 탐구, 컴퓨터 활용 능력, 어려운 난이도 등의 이유로 그에 맞는 효과적인 실험을 선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