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기 토폴로지 기법을 위한 임의의 전자기 신호의 시간 영역 응답 도출

        한정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2

        Electromagnetic topology (EMT) technique is a method to analyze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magnetic propagation environment and combine them in the form of a network in order to effectively model the complex propagation environment. In a typical commercial communication channel model, sinc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s complex and difficult to predict, a probabilistic propagation channel model that utilizes an average solution, although with low accuracy, is used. However, modeling techniques using EMT technique are considered for application of propagation and coupling analysis of threat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electromagnetic pulses, radio wave models used in electronic warfare, local communication channel models used in 5G and 6G communications that require relatively high accuracy electromagnetic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method, algorithm, and program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topology (EMT) method analyzed in the frequency domain. Also, a method of deriving a response in the time domain to an arbitrary applied signal source with respect to the EMT analysis result in the frequency domain will be discussed. 전자기 토폴로지 기법은 복합적인 전파 환경의 모델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되는전파 환경 단위를 각각 해석하고 네트워크의 형태로 결합하여 재해석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상용통신 채널 모델에서는 전파 환경이 복합적이고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정확도는 낮지만 평균적인 해를 활용하는 확률 모델을 활용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의 전자파 전파 특성을 요구하는 전자기 펄스 등 위협 전자파의 전파 및 결합 분석, 전자전, 5G 및 6G 이상의 로컬 통신 채널 모델등에 사용되는 전파 모델 응용에서는 전자기 토폴로지 기법을 활용한 전파 모델링 기법 등이 활용된다. 본 논문은 주파수 영역에서 해석되는 전자기 토폴로지(EMT) 기법의 효과적인 수행 방안과 알고리즘, 그리고 프로그램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주파수 영역의 EMT 해석 결과에 대하여 임의의 인가 신호원에 대한 시간 영역에서의 응답을 도출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 KCI등재

        현대 사회의 소외된 죽음과 재현의 윤리 - OTT드라마 <무브 투 헤븐>을 대상으로

        한정훈 대중서사학회 2022 대중서사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OTT드라마 <무브 투 헤븐>을 대상으로 현재 한국 사회에서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소외된 죽음’에 대해 살펴보고, 드라마 콘텐츠가 죽음을 재현하는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윤리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죽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에게 불안과 공포,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근현대 사회는 죽음의 부정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방식을 동원해서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죽음을 유폐시키려고 했다. 이에 죽음은 어느 순간부터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관련이 없어야 하는 ‘타자의 사건’이 되면서 소외되기 시작했다. 근현대의 자본주의 사회는 사람들에게 끊임없는 성취를 요구한다. 이러한 성취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사람은 사회의 잉여자 또는 낙오자가 되어 주변화된 집단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삶뿐만 아니라 죽음에 있어서도 소외된다. 소외된 죽음은 현대 사회 체제가 지닌 결핍과 모순이 응집된 장소와 시간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사회의 헤게모니 집단은 소외된 죽음이 대중의 관심을 받거나 집단의 대항담론을 구성하는 대상이 되는 것을 기피한다. 과거 TV드라마는 예술 작품이라기보다는 사회적 공기(公器)로서 기능이 강했으며, 사회의 규정성을 생산해 내는 매체였다. 그래서 당대 사회 체제의 모순과 결핍을 드러내는 사건 등이 드라마의 소재로 활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발전, 이에 따른 OTT드라마의 등장은 기존의 드라마 제작 및 방영에 있어서 큰 변화를 주었다. OTT사업은 구독자 중심으로 수익이 발생하기에 양질의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를 위해서 콘텐츠 창작의 자율성 보장, 거대 자금의 투자 등이 이루어졌다. 이에 OTT드라마는 과거 공중파 드라마가 다루지 않은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양질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드라마 <무브 투 헤븐>은 한국 사회의 ‘소외된 죽음’을 이슈화된 사건으로 다루는 것을 지양하면서 유품정리사를 통해서 죽은 이의 ‘삶의 서사’를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드라마는 이를 통해서 소외된 죽음이 ‘개인의 죽음’이 아닌 ‘사회적 죽음’임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드라마는 죽은 이의 ‘삶의 서사’를 구성하면서 죽은 이가 누구인지, 현재 우리가 소외된 죽음을 대면하면서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소외된 죽음에 우리의 책임은 없는지 등을 시청자들에게 끊임없이 되묻고 있다. 드라마는 이 과정에서 현재 우리에게 요구되는 죽음에 대한 ‘애도의 윤리’를 구성해서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여말선초 공납자기 운송에 관한 재검토 -상주 공납자기를 중심으로-

        한정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4

        This thesis was prepared to suggest a new method of comprehension obtained while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he issues related to transportation of ceramic wares as tributes. In additio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of ceramic wares as tributes in the Sangju area, where two high-quality porcelain workshops were located, were exam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understood that ceramic wares as tributes began being transported by land in the 1370s, when the plundering of Japanese pirates started in earnest, until 1392, when th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However, through reinterpretation of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at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as in the first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ceramic wares as tributes were transported not only by land but also by sea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transportation-related conditions of areas where kilns were located. In current studies related to ceramics, there is a tendency to understand that the transportation location of the porcelain workshops that produced the ceramic wares as tri1butes was favorable. However, in contrast to such a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offering of the high-quality porcelain produced at the kilns built in areas with a favorable locations, such as places where kaolin and forests were present, as tribute utilized the transportation system and surrounding transportation facilities. Even in Sangju, a main area where porcelain was p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15th century, porcelain was transported utilizing a station nearby at an inconvenient location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the Baekdudaegan. However, Nakseo Station and Yongsan Station, which performed a constant role in the transportation of the ceramic wares as tribute of Sangju, were merged into Nakyang Station and Nakpyeong Station located nearby in the fifth year of King Sejo (1459), respectively, and thus disappeared. This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n effect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nearby stations and roads as the level of production activity related to the porcelain of Sangju was reduced and its status weakened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kiln in Gwangju in 1467. Upon referring to these exampl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roblem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of tributary goods including ceramics in terms of conducting studies related to the history of transporting goods in Korea. 이 글은 공납자기의 운송 문제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면서 새로운 이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작성하였다. 아울러 2곳의 상품 자기소가 위치하였던 상주지역 자기의 운송 문제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는 왜구의 약탈이 본격화하는 1370년대부터 조선이 건국하는 1392년 이전까지 공납자기가 육로로 운송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 사료의 재해석을 통해 고려 말엽에도 공납자기가 자기소의 교통 입지와 운송 여건에 따라 육로뿐 아니라 해로를 통해서도 운송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도자사 연구에서는 공납자기를 생산한 자기소의 교통 입지가 양호한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러한 시각보다는 토양·수림 등의 입지 조건이 양호한 지역에 조성되었던 자기소에서 생산한 자기를 공납하기 위해 운송제도와 주변의 교통시설을 활용한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15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자기 생산지인 상주지역에서도 백두대간의 산지로 인한 불편한 교통 입지 속에서 인근 역로를 이용하여 자기를 실어 날랐다. 그런데 상주 공납자기의 운송에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낙서역과 용산역이 세조 5년(1459)에 인근의 낙양역과 낙평역에 각각 통합되어 사라졌다. 이것은 1467년 광주 관요의 설치 이전에 이미 상주 자기소의 생산 활동이 줄어들어 그 위상이 약화함에 따라 인근 역·역로의 재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를 참고하면, 교통운수사 연구에서 자기를 비롯한 공납품의 운송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체성 구성과 장소성 형성에 대한 연구 - 반가(班家) 여성의 구술생애담을 대상으로

        한정훈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3

        This study examines identity construction and placeness formation through an oral life story of a woman from a Yangban family. Identity and placeness are not separated ideas. Those ideas keep changing based on what events the subject experience and how he or she signifies such experiences. Also, their qualitative meanings differ based on what places the past and later experiences are placed in. The teller had lived before her marriage in an environment of concealment and oppression. It was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and the old generation’s compulsion that caused such emotions to be formed. The teller however showed her own will of choice in such an environment constructing her identity. The teller experienced spatial movement after her marriage in which course she was given a new identity. She felt anxious and alienated in the strange environment, and such feelings were a cause that freshly defined the placeness of her original family that compelled concealment and oppression. However, her anxiety and alienation in her family-in-law did not remain constant. Responding to the new environment, she accommodated and reestablished her given identity. Her family-in-law was not a place she wanted to escape from. It was a place that guaranteed and proved her existence, and hence she should preserve it as the subject. The teller’s oral life story contained her identity that had been varied in the time flow, and showed with such variation of identity that space became a place, which in turn was diversified into various placenesses. 본 연구는 한 양반가(兩班家) 여성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정체성 구성과 장소성 형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정체성과 장소성은 분리된 개념이 아니다. 이 개념들은 주체가 어떤 사건을 경험하고, 그 사건의 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의미화 하느냐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변한다. 또한 이전의 경험과 이후 경험이 상대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서 질적 의미는 달라진다. 화자는 결혼 이전에 은폐와 억압의 환경에서 생활했다. 시대의 환경과 기존 세대의 강제가 이런 생활을 형성하게 한 원인이었다. 그러나 화자는 그 속에서 나름의 선택의지를 보이면서 정체성을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 화자는 결혼 이후에 공간의 이동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화자는 변화된 환경에서 불안과 소외를 느끼게 되고, 이 감정은 오히려 은폐와 억압을 강요했던 친정의 장소성을 새롭게 규정하는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시댁의 불안과 소외는 항상성을 유지하지 않는다. 화자는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며 자신에게 부여된 정체성을 수렴하고 재정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댁은 화자에게 더 이상 탈주하고 싶은 장소가 아니다. 시댁은 화자의 실존을 보장해주고 증명해주는 장소가 되었고, 자신이 주체가 되어서 보존해야 하는 장소가 되었다. 화자의 구술생애담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계속적으로 변주하는 정체성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고, 이러한 정체성의 변주 속에서 공간이 장소로, 하나의 장소성이 다양한 장소성으로 분기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