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무의식론에 관한 종교철학적 이해: 『안티 오이디푸스』의 다양체로서의 무의식을 중심으로

        한정헌(Han Jung H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9

        이 논문은 들뢰즈/가타리의 다양체로서의 무의식론에 관한 종교철학적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들뢰즈/가타리는 전통적인 일(一)과 다(多)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다양체의 사상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들에게 무의식 역시 다양체로서 이해되는데, 그것은 곧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성격을 갖는 실재로서의 욕망을 뜻한다. 그런 점에서 그들은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프로이트로 대표되는 오이디푸스 중심의 정신분석을 비판하고, 부분충동과 실재의 관점에서 무의식과 욕망을 재해석하였다. 필자는 이것을 정리하고 종교철학적으로 연관시켜 사유하고자 하였다. 다양체로서의 무의식을 인간 정신의 바탕으로서 상정할 경우 신화, 종교, 문명 등의 발생에 관한 보다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통적인 서구신학의 한계를 넘어 생성론적 관점에서 기독교신학을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하나의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at a religious philosophical search for Deleuze-Guattarian theory of the unconscious as the multiplicity. We could call Deleuze and Guattari thinkers of the multiplicity beyond the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the one and the many. Likewise, the unconscious, for them, is understood as the multiplicity, which means the desire as the real with positive and productive qualities. In Anti-Oedipus, they criticized the oedipus-centered psychoanalysis represented by Freud, and reinterpreted unconsciousness and desire from the viewpoint of partial instinct and the real. I tried to summarize this and to give a thought to it in a religious philosophical context. The origin of myth, religion, and civilization, ect could be understood more comprehensively and solidly, if we presume the unconscious the ground of human mind. And it is expected that a foundation will be prepared whereby we could surpas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Western theology and think afresh of Christian theology from genetical point of view.

      • Study for Application of Daylighting using Reflector

        한정헌(Han, JungHun),류성찬(Ryu, SeongChan),윤준호(Yoon, JunHo),김정환(Kim, JungHwan),조두용(Cho, DooYoung),박선규(Park, SunKyu)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The Solar Daylighting Technology is considered with the plan that will be able to embody the energy technology which is possible to continue. Daylighting has an considerable advantage of the high effectiveness and the various use because daylighting can use the infrared ray, the visible ray and the ultraviolet rays without energy transformation.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is tried of making the shape and an arrangement of the reflector different After establishing the reflector in the height(10m) which is fixed. It's also researched on the shape of the efficient reflector using the program(Trace Pro) at the time of the autumnal equinox and the winter solstice at fixed hours.

      • KCI등재
      • KCI등재

        들뢰즈 사상에서 본 안병무의 소수자신학

        한정헌(Jung?Hun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6 No.-

        이 논문은 안병무의 민중신학을 들뢰즈(와 가타리) 사상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나아가 양자를 ‘소수자신학’이라는 주제로 상호 연관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들뢰즈의 사상에 입각해 안병무의 오클로스론과 민중메시아론을 다시 읽음으로써 그의 신학을 ‘오늘의 민중신학’으로서의 ‘소수자신학’으로 재규정하고자 한다. 안병무의 신학과 들뢰즈의 사상은 여러 부분에서 강도 높은 교차로를 형성한다. 그중에서도 안병무의 오클로스론과 민중메시아론은 니체?베르그송의 생성존재론을 계승한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존재론의 구도에서 볼 때, 기존의 (동일성과 실체 중심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할 때 노정되는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또한 안병무의 민중메시아론에 함축된 민중의 자기초월, 자기해방, 자기구원 등의 개념들은 들뢰즈의 시간론과 연관될 때 ‘민중의 주체화’ 혹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로 변용 및 확장될 수 있다. 특별히 이 논문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에 천착한다. 다시 말해 ‘민중이란 누구인가?’ 혹은 ‘소수자란 누구인가?’라는 고정된 정체성에 대한 물음보다는 ‘소수자 주체성은 어떻게 (시간과 역사 속에서) 형성되는가?’라는 주체화의 물음에 관심을 둔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들뢰즈의 시간론인 ‘시간의 수동적 종합’을 통해 민중의 주체화 혹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들뢰즈에게 시간론은 곧 주체론(시간론=주체론)으로서, 이것은 시간 속에서 매듭지어지는 주체성의 형성을 뜻하기 때문이다. 이런 시간의 수동적 종합은 개인의 주체성 형성과 관련되지만, 이를 확장해 소위 역사의 종합과 (공통의 사건을 통한) 공통 주체성 혹은 집단 주체성의 형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안병무가 말하는 역사적 주체로서의 민중은 단지 초험적으로 주어지는 주체가 아니라 철저히 시간과 역사, (넓은 의미의) 경험 속에서 형성되는 주체성으로 이해된다. 그것은 민중의 고난이라는 시간적, 역사적 체험을 통한 민중의 자기초월, 자기해방, 민중의 역사적 주체 됨의 과정인 것이다. 이것은 또한 오늘날 다양하게 분기/발산하는(도래할 민중으로서의) 소수자 주체성 형성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신학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is an article that aims to reinterpret the Ahn Byung?mu’s minjung theology from a Deleuzian(and Deleuzo?Guattarian) point of view, and to link them under a theme, ‘minority theology.’ Rereading the ochlos theory and the minjung messiah theory by Ahn in the light of Deleuze’s thought, I have tried to redefine the theologist’s ‘minority theology’ as the ‘minjung theology of now.’ Ahn’s theology and Deleuzian thought intersect on several points intensively. Above all it could bring the idea of ochlos and of minjung messiah beyond certain limitations reached in the existing ontological perspective?founded upon the identity and the substance?to review them in the scheme of the plane of differentiation of Deleuze, who succeeded the Nietzschean?Bergsonian ontology of becoming. And such notions as the self?transcendence of minjung, self?liberation, self?salvation, ect. can, when linked to the time theory of Deleuze, be transformed and extended into the questions like ‘the subjectivation of minjung’ or ‘the subjectivation of the minority.’ This article pays attention particularly to an issue, the subjectivation of the minority. That is, it is concerned less with the questions on the fixed identity like ‘who is minjung’ or ‘who is the minority’ than with the one on the subjectivation like ‘how would the minority subjectivation be formed (in time and history)?’ The question of the subjectivation of minjung or of the minority can be approached to with the Deleuzian time theory, ‘the passive synthesis of time.’ For Deleuze, a theory of time is a theory of the subject as well, since the former means no other than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in time. Though the passive synthesis of time is about to the formation of individual subjectivity, it can be extended as well to the so?called synthesis of history, the formation of common subjectivity(with the common event), or collective subjectivity. In this sense, the minjung as a historical subject, asserted by Ahn, can be understood not simply as a subject transcendentally given, but as a subjectivity formed in time, history, and experience(in it’s broadest sense). It grows to be a process of the self?transcendence, self?liberation and becoming historical subject of minjung through the temporal and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suffering of minjung. This would also offer a theological standpoint with which we can approach to the question of formation of the minority subjectivity that variously diverges today.

      • KCI등재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저항성 토마토 유전자원 탐색

        한정헌(Jung-Heon Han),최학순(Hak-Soon Choi),이준대(Jundae Lee),김재덕(Jae-Deok Kim),이원필(Won Phil Lee),최홍수(Hong-Soo Choi),김정수(Jung-Soo Kim),윤재복(Jae Bok Yoon)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2

        Sw5-2 SCAR 분자표지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토마토유전자원 94종의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Sw5-2 SCAR 분자표지의 PCR 산물은 대략 574bp, 500bp, 462bp였는데, 크기가 가장 큰 PCR 산물이 Sw5-b 저항성 대립유전자와 연관되어 있었다. Sw5-b 저항성 대립유전자는 3개 수집종('Eureta', 10-318, 10-321)에서 관찰되었는데, 접종한 개체 가운데 이들 가운데 일부는 TSWV-pb1(토마토 분리주)에 일시적으로 감염되어 회복되거나 줄기에 괴사 병징을 보였다. ELISA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명된 수집종 당 1개체씩 총 35개체를 선발하여 병징 발현 및 바이러스 감염 유무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접종 5개월 이후에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26개체를 대상으로 RT-PCR을 이용하여 TSWV 감염유무를 조사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TSWV의 RT-PCR 산물이 약하게 증폭되었고, 이들 PCR 산물의 증폭수준은 'Eureta'와 비슷하였다. 선발된 유전자원의 저항성은 조직 내 TSWV의 농도를 낮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들은 Sw5를 포함한 여러 가지 유전자들에 의해 양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 total of 94 tomato accessions were evaluated for the resistance to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using a Sw5-2 SCAR marker and bioassay. PCR products of the marker were approximately 574 bp, 500 bp, and 462 bp, among which the longest was linked to TSWV resistance allele of Sw5-b. This allele was only found in three accessions (09-438, 10-318, and 10-321) in which some individuals showed apparent recovery or stem necrosis symptom to a tomato isolate of TSWV-pb1. Thirty-five individuals (one per each accession) which were non-infected by ELISA were selected for further observation. Among these, 26 individuals that did not show any symptom at 5 months after inoculation were confirmed for viral infection by RT-PCR. TSWV-specific PCR amplicon was weakly detected in all 26 individuals including 'Eureta', a commercial F1 possessing the resistance allele of Sw5-b. The resistant genes in the selected individua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for reducing the viral concentration in tissues of inoculated tomato plants and seems to be quantitatively controll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Sw5-b g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