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생경험에서 얻은 이득과 손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시간조망이 위험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희경(Ahn, Heekyung),한영지(Han, Youngjee),권미진(Kwon, Mijin) 한국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소비자의 위험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현재까지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앞으로 남은 삶의 길이에 대한 인식의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연구 1〉은 생물학적 나이와 시간조망이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기존 연구에 따라, 청년 집단과 중•장년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인생에서 전반적으로 잃은 것과 얻은 것 어느 쪽이 더 많다고 생각하는지 측정함으로써, 인생경험 인식과 시간조망, 두 요인이 위험회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장년 집단은 인생에서 얻은 것이 많다고 생각하는 경우 잃은 것이 많다고 생각하는 경우 보다 높은 위험회피 성향을 보인 반면, 청년 집단에서는 인생경험에 대한 인식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2〉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조망을 조작하여 인생경험 인식과의 상호작용이 위험추구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 1〉과 마찬가지로, 한정적인 시간조망 조건에서는 인생에서 얻은 것이 많다고 생각하는 경우 잃은 것이 많다고 생각하는 경우보다 낮은 위험추구 성향을 보였으며, 확장적인 시간조망이 조건에서는 인생경험 인식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위험추구 문헌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인생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시간조망이라는 두 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소비자의 위험선호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ve impact of consumers’ perception of lifetime experience and perceived limitations on time on risk-taking behavior. Based on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time horizon perspective, study 1 examined the effect of time horizons by recruiting a group of younger versus older adults. Participants’ perception of lifetime experiences was measured by asking them to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they think there were more gains than losses, or vice versa. The results of study 1 showed that among older adults, people who thought that there were more gains than losses in their life tended to avoid risks compared to those who thought that there were more losses than gains.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difference in risk-taking tendency among younger adults. Study 2 tested our hypothesis by manipulating time horizons within a group of undergraduate students. As a result, we obtained the same pattern of results: in the limited time perspective condition, participants who perceived more gains than losses in their life experiences showed a lower likelihood to take risks compared to those who perceived more losses than gains.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xpansive time perspective condition.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addressing two unexplored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risk-taking behavior.

      • KCI등재

        전자제품에서 검정 색상의 효과: 검정 색상이 제품에 대한 인식과 보상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전은미(Eunmi Jeon),한영지(Youngjee Han),남명우(Myungwoo Nam)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1 연세경영연구 Vol.58 No.1

        본 연구는 제품의 색상, 특히 검정 색상이 제품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색상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유채색 간의 차이가 제품의 선호도와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시장에서 가장 선호되는 색상인 검정이 소비자들의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는 외관을 돋보이게 하는 유채색의 전자제품 보다는 눈에 띄지 않는 검정 색상이 쓰인 전자제품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품이 검정 색상일 경우에 제조사가 제품의 외관 보다는 기능성과 같은 내적인 속성에 더 집중했을 것이라는 추론으로 인해 제품의 선호가 달라진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고가의 브랜드 제품에 대해서는 검정 색상의 효과가 감소하는 경계조건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 1A와 1B를 통하여 소비자는 여러 전자제품이 유채색일 때 보다 검정색일때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소비자가 검정 색상 제품의 가격을 높게 예상하는 근원적인 원인이 기능성 인식에 대한 추론으로 인한 것인지 검증한 결과, 검정 색상에 대하여 제조사가 기능성에 더 신경을 썼을 것이란 보상적 추론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3에서는 고가 브랜드의 경우, 제품의 기능성을 높게 예상함으로써 검정 색상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저가 브랜드의 경우에는 검정색상에 대한 평가가 더 높아졌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유채색의 전자제품보다 검정 색상의 전자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하고 그 원인이 제품의 기능성 인식에 대한 추론에 있음을 밝힘으로써 색상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제품의 색상을 주요한 전략 도구로 하고자 하는 마케터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black color on product evaluations. Past studies have focused more on the effect of chromatic colors such as red, blue and green. However, the current work explores whether black color can lead to more favorable onsumer responses than chromatic colors. Because consumers infer that the manufacturer cares more about functionality than appearance of product when the color of product is black. In addition, we found the boundary condition for when the brand is high-end (vs. low-end), decreased the effect of black color in the products. Specifically, study 1A and study1B investigated whether people prefer the electronics in black color compared to those in other colors.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 finding showed that the products in black color were positively evaluated than the products in chromatic colors. Study 2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o reveal the underying mechanism of the effect on black color in electronic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effect of black on product evaluation is mediated by perceived functionality through consumers’ compensatory inferences. Study 3 showed that the evaluation of black color was increased when the brand is low-end, wherea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lack and chromatic color when the brand is high-end. Black can be more effective in signifying the manufacturer’s dedication to functionality, which will lead to consumers’ favorable attitude especially in highly utilitarian categories such as electronics, machines and devices. Thus, companies should be careful and cautious when determining product colors. Our finding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ow black (vs. color) influences consumer’s evaluations.

      • KCI등재

        자아위협이 의인화 제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남달리(Dal ri Nam),한영지(Youngjee Han),전은미(Eunmi Je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22 소비문화연구 Vol.25 No.2

        사람들은 자아의 위협(Self-threat)을 경험하면 이와 관련한 문제상황을 극복하고 손상된 자아의 가치를 보상받기 위한 다양한 인지적, 행동적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자아 위협에 대한 반응은 개인이 가진 자아존중감(Self- esteem)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타인과의 다양한 관계적 욕구가 증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아위협을 경험한 소비자의 차후 행동적 반응이 제품의 선호에서는 어떤 반응을 불러일으키는지 조사한다. 즉, 자아위협을 경험한 소비자들 중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타인과의 교류를 연상하게 하는 사람의 특징이 강조된 의인화 제품에 대해서도 선호가 증가할 수 있다고 예상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욕구에 깊이 연관되어있는 외모에 대한 자기위협이 의인화된 제품 선호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외모에 대한 자기가치수반성(Appearance contingency of self-worth)에 따라 차이를 보기 위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가 외모에 대한 위협을 받은 후에 외모와 관련된 부분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들이 의인화된 제품에 대해 높은 선호와 구매의도를 보여주었다. 반면, 외모와 관련된 자아 위협을 받은 후, 외모와 관련된 부분에 높은 가치를 두는 사람 중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들은 의인화된 제품에 대한 선호와 구매의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인화된 제품을 선호하게 하는 선행변수를 밝히고 실생활에서 흔히 소비자가 경험하는 자아위협으로 인해 의인화된 제품에 다른 반응을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After experiencing an event or situation that is considered a threat to the self, people show various cognitive and behavioral reactions to overcome problems and compensate for the value of their damaged self. However, this reaction to self-threat is not the same for everyone and could depend on the self-esteem of the individual. A study by Park & Maner (2009) found that people with high self-esteem after self-threatening increased their desire to interact with close relationships, while those with low self-esteem rather avoided interaction with others and increased their desire to improve themselves. So, if we were to extend this behavioral response to the context of marketing, wouldn't it be possible to have similar reactions to products that are similar to humans, even though it doesn't include real people's interactions. This study extends the results of Park & Maner (2009) study into the marketing domain, suggesting products that are anthropomorphized. Specifically, people with higher self-esteem and high appearance contingency of self-worth tend to prefer anthropomorphized products after receiving an appearance self-threat. On the other hand, after being threatened by one's appearance, people with low self-esteem and high appearance contingency of self-worth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reference and purchase of anthropomorphized products.

      • KCI등재

        조절초점과 의사결정 어려움이 고려상표군 구성의 이질성에 미치는 효과

        박기경 ( Park Kikyoung ),류강석 ( Ryu Gangseog ),한영지 ( Han Youngjee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6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의사결정 상황에서 당면하는 두 가지 어려움(목적 간 갈등과 결정 방식의 적합성)이 고려상표군 구성의 이질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비자의 조절초점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두 개의 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실험 1의 결과에 의하면, 상위목적과 하위목적 간의 갈등 수준이 높은 경우, 예방초점 소비자는 상위 목적뿐만 아니라 하위 목적도 중시하고, 더욱 신중하고 도전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치게 되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대안들을 포함함으로써 더욱 이질적인 고려상표군을 형성하였다. 반면, 향상초점 소비자는 추상적이고 유연한 사고방식을 기반으로 목적 간 갈등 및 어려움을 잘 해결하고, 목적이나 대안 간의 유사성도 높게 지각하기 때문에 기존과 다르지 않은 고려상표군을 구성하였다. 실험 2에서도 일관된 결과가 발견되었는데, 예방초점 소비자는 배제 방식보다 포함 방식을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할 때 비적합성과 어려움을 크게 지각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더욱 이질적인 고려상표군을 형성하였다. 한편 향상초점 소비자는 의사결정 방식에 따라서 어려움을 다르게 느끼지 않고, 어려움이 증가하더라도 평소와 다름없이 반응함으로써 고려상표군 구성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려상표군 문헌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되어 온 두 요인의 결합효과를 탐구하였고, 의사결정 방식의 적합성이라는 새로운 요인을 제시하였으며, 제품의 차별성 수준에 따른 적합한 촉진전략을 제안하였다. We investigated how consumers with a prevention versus promotion-focus would respond to two types of decision difficulty (i.e., goal conflict and decision strategy fit) in their consideration set formation, We conducted two experimental studies. Experiment 1, which used a 2 (goal conflict: high vs. low) x 2 (regulatory focus: prevention-focus vs. promotion-focus) between- subjects design, revealed that as a conflict between consumption goals (a higher-order and a lower-order goal) increases,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formulated more heterogeneous consideration sets (Mhigh conflict = 0.52 vs. Mlow conflict = 0.33 ; F(1, 94) = 6.59, p < .05), whereas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heterogeneity in consideration set, regardless of a conflict between consumption goals (Mhigh conflict = 0.30 vs. Mlow conflict = 0.41 ; F(1, 94) = 2.49, p = .12). We expected that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would regard both higher-order and lower-order goals as important and would undergo more systematic and effortful decision making processes, which lead to inclusion of new and diverse alternatives. In contrast,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are good at solving goal conflicts and more likely to perceive similarities between goals and alternatives due to their abstract and flexible thinking style. Therefore, we assumed that such tendency would make promotion-focused individuals less sensitive to goal conflicts. Experiment 2, which used a 2 (decision mode: rejection vs. choosing) x 2(regulatory focus: prevention-focus vs. promotion-focus) between-subjects design, produced a similar pattern of results;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formed more heterogeneous consideration sets when they adopted a choosing approach than when they used a rejection approach (Mrejection = 0.24 vs. Mchoosing = 0.43 ; F(1, 101) = 6.57, p < .05). Prevention-focused individuals have been shown to perceive a lower degree of fit with a choosing strategy. Therefore, we presumed that prevention-focused individuals would perceive greater decision difficulties with a choosing strategy, which would lead them to consider new and diverse alternatives. In contrast, promotion-focused participant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heterogeneity in consideration set, regardless of the type of a decision strategy that they used (Mrejection = 0.41 vs. Mchoosing = 0.40 ; F(1, 101) = .03, p = .87). We speculated that promotion-focused individuals would perceive a similar level of difficulty in both decision strategies and thus show no differenc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research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combined effects of the two important factors in consideration set formation, whose impact has been studied in isolation. We also identified a fit between a decision strategy and a regulatory focus as a new factor that can influence consideration set formation. Our findings also suggest that promotion strategies should be adapted based the desired level of consideration set heterogeneity.

      • KCI등재

        소매상을 통한 한정판 출시가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백재은(Jaeeun Baek),류강석(Gangseog Ryu),한영지(Youngjee Han) 한국유통학회 2017 流通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한정판 신제품의 소비자반응에 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해서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브랜드 확장의 관점에서 한정판 신제품을 규정하여 모 브랜드와 신제품 간의 컨셉 유사성과 모 브랜드 컨셉 유형이라는 두 개념에 주목하였고, 한정 마케팅 영역의 주요 변수인 희소성 메시지의 조절작용도 고찰하였다. 실험 1에 의하면, 모 브랜드 컨셉과 유사할 때 보다는 유사하지 않을 때 소비자는 한정판 신제품 (vs. 비 한정판 신제품)을 더욱 호의적으로 평가하였고, 해당효과는 모 브랜드가 기능 컨셉 보다는 명성 컨셉을 지녔을 때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명성 컨셉 브랜드만 다룬 실험 2에 의하면, 한정판 신제품이 모 브랜드 컨셉과 유사할 때는 기회 제한 희소성 메시지에 대해 소비자는 더욱 호의적으로 반응한 반면, 한정판 신제품이 모 브랜드 컨셉과 유사하지 않을 때는 독특성 메시지에 대해 더욱 호의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희소성 마케팅 문헌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은 편인 한정판 제품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변수들을 제시하였고, 기존 변수와의 상호작용도 발견하였다. 더불어 한정판 제품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라이프로깅에 대한 고찰 및 향후 마케팅 연구에 대한 제언

        권미진 ( Kwon Mijin ),서정화 ( Seo Jeonghwa ),박혜연 ( Park Hyeyeon ),한영지 ( Han Youngjee ),김학균 ( Kim Hakkyun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1

        라이프로깅(lifelogging)은 개인의 일상을 기록해 나가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오늘날 스마트 환경과 웨어러블 기기의 발달로 소비자는 라이프로깅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정보를 끊김 없이 기록하고 정량화 하며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라이프로깅에 대한 기존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새로운 기술 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소비자의 라이프로깅 행태를 분석하며, 라이프로깅에 대한 향후 마케팅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라이프로그의 형태와 기록방식에 따라 라이프로깅의 유형을 분류하고 라이프로깅이 소비자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라이프로깅 기술의 활용이 현재 당면한 이슈에 대한 문헌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현재 국내 소비자가 건강․금융․쇼핑․기타 분야에서 스마트 기기를 통해 라이프로깅을 활용하는 행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로깅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라이프로깅 참여를 촉진하는 마케팅 방안, 그리고 소비자의 자아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그간 기술적 측면에 집중되어온 라이프로깅 연구를 소비자 관점으로 확장하여 마케팅 실무에서의 라이프로깅 기술 적용을 돕고, 라이프로깅에 대한 소비자 학계의 논의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Lifelogging refers to the recording of all activities in an individual's daily life. With the advancement of smart environments and wearable devices, consumers are now able to record and quantify their experiences and information without interruption through lifelogging and share it with others. This research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existing literature on lifelogging, analyze consumer lifelogging behaviors in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lifelogging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Specifically, this research reviews the types of lifelogging based on their forms and recording methods the effects of lifelogging on individual consumers and society, and current issues faced by lifelogging technology and its utilization. Additionally, we analyze consumer lifelogging behaviors through smart devices in the areas of health, finance, shopping, and other fields in South Korea. Finally, we discuss 1) future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lifelogging behaviors, 2) marketing strategies to promote lifelogging participation, and 3) impacts of lifelogging on consumers' self and society. We expect this research to expand the literature on lifelogging beyond its technical aspects, to provide practical applications for marketing professionals, and to promote academic discussions on lifelogging in the field of marke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