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무인 항공영상을 이용한 심층학습 기반 녹피율 산정

        한승연 ( Seungyeon Han ),이임평 ( Impyeong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6

        녹피율은 행정구역면적 대비 녹지가 피복된 면적의 비율로, 실질적인 도시녹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녹피율은 토지피복지도를 기반하여 산출되는데, 토지피복지도의 낮은 공간해상도와 일정하지 않은 제작시기는 정확한 녹피율 산출과 정밀한 녹피분석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녹피율 산출방안으로 항공영상과 심층학습을 활용한 방안을 제안한다. 항공영상은 높은 해상도와 비교적 일정한 주기로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심층 학습은 항공영상 내 녹지를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다. 지자체는 매년 다양한 목적을 위해 유인항공영상을 취득하여 이를 활용해 신속하게 녹피율을 산출한다. 하지만 미리 취득된 유인항공영상은 취득 시기와 해상도, 센서와 같은 세부사항을 선택할 수 없어 정밀한 분석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다양한 센서의 탑재가 가능하고 낮은 고도의 비행으로 인해 고해상도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보완될 수 있다. 이에 두 가지 항공영상으로부터 녹피율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 모든 녹지 유형으로부터 높은 정확도로 녹피율을 산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유인항공영상으로부터 산출된 녹피율은 복잡한 환경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고자 활용한 무인항공영상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의 녹피율을 산출할 수 있었고 추가밴드 영상을 통해 더 정밀한 녹지 영역 탐지가 가능했다. 추후 기존 유인항공영상에 새로 취득한 무인항공영상을 보완적으로 사용해 녹피율을 효과적으로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green coverage ratio is the ratio of the land area to green coverage area, and it is used as a practical urban greening index. The green coverage ratio is calculated based on the land cover map, but low spatial resolution and inconsistent production cycle of land cover map make it difficult to calculate the correct green coverage area and analyze the precise green coverag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to calculate green coverage area using aerial images and deep neural networks. Green coverage ratio can be quickly calculated using manned aerial images acquired by local governments, but precise analysis is difficult because components of image such as acquisition date, resolution, and sensors cannot be selected and modified. This limitation can be supplemented by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mount various sensors and acquire high-resolution images due to low-altitude fligh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o calculate green coverage ratio from manned or unmanned aerial images, and experimentally verified the proposed method. Aerial images enable precise analysis by high resolution and relatively constant cycles, and deep learning can automatically detect green coverage area in aerial images. Local governments acquire manned aerial images for various purposes every year and we can utilize them to calculate green coverage ratio quickly. However, acquired manned aerial images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analyze because details such as acquisition date, resolution, and sensors cannot be selected. These limitations can be supplemented by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that can mount various sensors and acquire high-resolution images due to low-altitude flight. Accordingly, the green coverage ratio was calculated from the two aerial images, and as a result, it could be calculated with high accuracy from all green types. However, the green coverage ratio calculated from manned aerial images had limitations in complex environments. The unmanned aerial images used to compensate for this were able to calculate a high accuracy of green coverage ratio even in complex environments, and more precise green area detection was possible through additional band imag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ust rate can be calculated effectively by using the newly acquired unmanned aerial imagery supplementary to the existing manned aerial imagery.

      • KCI등재

        A Case Study of Equitable Access to Quality Technology Uses in a Low-Resourced Rural Elementary School

        Seungyeon Han(한승연),Insook Han(한인숙)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의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한 초등학교 1인 학급 환경에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이 학습의 향상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수업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인과 교사 1인이었으며 교사 및 학생 인터뷰와 교실 수업 관찰, 학생 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할 뿐 아니라 1인 학급 상황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존 도구의 창의적 활용과 다양한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활용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적응적 학습의 제공, 다른 지역 학생과의 협력학습, 교육과정의 재설계 등 학습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을 통해 디지털격차를 극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원과 예산부족, 학생 수 경감에 따른 농촌 지역 학교의 위기에서 새로운 대안과 효과적 학습경험 제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w a teacher used technologies to improve underserved student’s learning in a low-resourced rural elementary classroo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s’ use of technology. The in-depth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 one-student classroom setting that isolated the fifth grader from social and collaborative learning opportunities. Th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in forms of classroom observation field notes, teacher interviews, student interviews and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partakes an import role in a one-student classroom to support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Second, to overcome a digital divide, the teacher created a technology-enhanced environment with alternative methods of her own and supplemented teacher-created resources. Third, the teacher used technologies to support adaptive instruction based on student’s needs.

      • KCI등재

        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활용수준 분석

        한승연(Seungyeon Han),이경순(Lee Kyungso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0 평생학습사회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usion strategy for blended learning in K-12 settings.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teachers' actions in blended learning practic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CBAM(concerns-based adoption theory).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LoU(Levels of Use)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In terms of LoU, while leading teachers are over IVB level (refinement), non-user teachers are I level(orientation). Leading teachers employed various methods for blended learning but they were not willing to collaborate with colleague yet. Non-user teachers were interested in blended learning but were not ready to practice in their classrooms.

      • KCI등재

        IPTV의 교실 수업 활용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승연(Seungyeon Han),임정훈(Junghoon Leem),김세리(Seri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IPTV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총 15차시에 걸친 수업 관찰과 교사 및 학생 대상 인터뷰를 실행하여 IPTV의 교실 수업 도입과 활용 현황 및 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IPTV의 활용현황을 수업 단계별로 살펴본 결과, 준비단계에서는 점검 및 자료 준비, 도입에서는 동기유발, 선수지식 확인, 학습목표 및 주제 확인에 활용되고 있었다. 전개단계에서는 사례 및 예시의 제시, 연습 및 적용, 스토리·서사의 제공, 학습 활동 관리 및 지원 등에, 마무리단 계에서는 요점 정리에 활용되고 있었다. IPTV를 교실수업에 활용하였을 때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학습내용 제시의 다양화, 흥미와 동기유발, 집중력 향상, 이해력 신장 등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입장에서는 학습내용 제시의 다양화, 흥미와 동기유발, 이해력 신장, 상호작용의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기존 콘텐츠와 차별점이 없는 점, 자료의 양적 부족과 질적 수준, 유용성 결여, 상호작용의 기회 감소, 편의성 부족, 교사의 업무 부담 초래 등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기존 자료와 다른 점이 없다는 점, 기술적인 오류, 수동적 시청, 자료의 유용성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1) IPTV was used in the classroom and 2) how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d the application of IPTV in the classroom. The researchers observed 15 classes and interviewed teachers and students from seven IPTV initiative schools. The result of study indicated IPTV was used in various ways in each phase of instruction. In preparation, teachers check equipment and prepare teaching materials. In introduction phase, IPTV was employed for induction of motivation, review of prerequisite, presentation of learning objectives. In development phase, IPTV was used for providing examples, practice, application of theory, storytelling, and managing class activities. In finish phase, teachers used IPTV for summary of classes. In terms of positive effect of IPTV, teachers believed that IPTV was beneficial for a variety of contents, students' motivation, students' concentration on classes, and enhancement of comprehension. Additionally, students indicated that increase of classroom interaction. In terms of negative effect of IPTV, teachers indicated no difference from traditional ICT materials, lack of high quality contents, lack of utility, reduce of classroom interaction, lack of usability, increase of responsibilities. Students also indicated no difference from traditional ICT material, technological problems, passive participation, lack of utility of materials as negative effect of IPT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