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가구 생애주기와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만족도 및 영향요인 차이

        한수정 ( Han¸ Soojeong ),전희정 ( Jun¸ Hee-jung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3

        본 연구는 가구 생애주기와 주택점유형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거만족도와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주거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구 생애주기와 주택점유형태에 따라 거주가구의 주거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가구 생애주기과 주택점유형태에 따라 거구가구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의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가구 생애주기를 가구 형성기, 확장기, 축소기, 해체기의 4단계로 구분하고, 주택점유형태를 자가, 민간임대, 공공임대주택으로 구분하여 총 12개 집단의 주거만족도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2017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생애주기와 주택점유형태에 따라 분류한 집단 간 주거만족도와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주거복지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considering both family life cycle and housing tenure. We set two research questions: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y family life cycle and housing tenure? (2) If so, what are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when considering both family life cycle and housing tenure?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used the 2017 Korea Housing Survey as the principal dataset. We divided the households into the phases of family formation-expansion-contraction -dissolution in family life cycle and into homeowners, renters, and public housing residents in housing tenu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groups as classified by family life cycle and housing tenur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each group. The findings suggest that research and policie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need to consider both factor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 성향점수매칭 및 이중·삼중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

        한수정 ( Hee-jung Jun ),전희정 ( Soojeong Han ) 한국정책학회 2018 韓國政策學會報 Vol.27 No.4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공공임대주택의 입주를 선택하는 개인은 시장에서 보다 더 나은 주거의 질, 주택비 절약, 주거안정성 향상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하며 입주를 선택한다. 그러나 공공임대주택의 거주는 사회취약계층의 밀집으로 인한 지역슬럼화, 사회적 배제, 심리적 차별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공공임대주택 입주 초기에는 주거안정 등의 기대를 가지고 입주하지만, 거주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기대효과가 줄어들고 새로운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질문은 “거주기간에 따른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정신건강은 차이가 있는가?”이다. 본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제 4차, 8차, 12차 자료를 활용하여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삼중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임대주택 단기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 거주집단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공공임대주택 거주로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간 거주한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65세 이상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공공임대주택에 단기간 거주한 집단의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장기간 거주한 집단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50세 미만의 비고령층의 경우, 공공임대주택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났으며, 장기간 거주 시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임대주택 정책 및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mental health change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ile public housing meets the housing needs of low-income households, it also results in problems such as slumming, social exclusion, and stigmatization. These problems can lead to mental health change among public hosing residents over time. In this regard, we ask if there is a difference i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depending on residence period. We analyzed the 4<sup>th</sup>, 8<sup>th</sup>, and 12<sup>th</sup>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and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 Difference-in-difference, and Difference-in-difference -in-difference methods. The empirical results as follows: first, overall,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second, there is a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women and men, respectively,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both the women and men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third,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and fourth, mental health among the non-elderly who lived in public housing in a shorter period got worse and it was further aggravated after living in public housing in a longer period.

      • KCI등재

        정책네트워크와 정부 간 갈등 -KTX 오송역 입지정책을 둘러싼 공공갈등을 중심으로-

        권향원 ( Hyangwon Kwon ),한수정 ( Soojeong Han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2

        본 연구는 ‘KTX 오송역’ 입지를 둘러싼 정부 간 갈등과정에서 갈등주체인 ‘지방정부’가협상력에서 우위에 서기 위하여 어떠한 ‘관계형성 전략’을 수행하는지를 ‘정책네트워크’의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언론보도, 정부보고서, 학술연구, 전문가 및 관련자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원으로부터 취합된 질적자료를 바탕으로 갈등단계별 행위자 네트워크의 변동을 분석한 결과, 지방정부들이 마치 기업의 ‘전략적 제휴’와 유사한 ‘전략적 관계맺기와 관계파기’ 행태를 보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에 비하여 관계전략의 구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자유도를 보였으며, 협상력의 측면에서도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에 비하여 열세에 처해 있는 모습을 보였다. 더하여 지방정부들의 네트워크가 주로 특수한 지역의 이익을 매개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스스로의 명분을 국가 공공성이라는 대명제에서 찾고 있는 등 ‘정당성 관리’의 양상을 보이고 있음이 아울러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ynamics of networking strategies that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public conflicts on the placement of a local KTX station in South Korea. Particular focus was given to strategic network behaviors of local governments as primary conflict participants based on the conflict phases. Using media coverage, governmental reports, academic researches, interview results from experts and stakeholders, this study employed an inductive-qualitative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the networking behavi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central government was relatively weaker than the local governments with regard to bargaining power accrued from strategic networks, and the networking behaviors of the local governments had a tendency that is similar to those of business enterprises who attempt to gain network benefits from strategic business-to-business alliance.

      • KCI등재

        `숙의 거버넌스`의 저해요인 연구: 한국의 사례들의 메타분석

        권향원 ( Kwon Hyangwon ),김성민 ( Kim Sung-min ),한수정 ( Han Soojeong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에서 `숙의 거버넌스`가 어떠한 `저해요인`에 의하여 마찰을 겪고 있으며, 이에 의도한 효과를 달성하고 못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자들은 약 66개의 `한국의 숙의 거버넌스 사례들`에 대한 연구논문, 신문기사, 정책보고서 등을 대상으로 탐색적인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공통의 요인들에 대한 범주화를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숙의 거버넌스`의 사례로부터 (a) 거버넌스가 다루고자 하는 문제의 속성, (b)참여체의 구조와 구성, (c)참여체의 운영과 관리, 그리고 (d)결정방식 및 피드벡의 네 가지 범주들이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하부 저해요인들이 아울러 식별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기존의 사례적 경험에 담겨 있는 `실패(론)`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향후 `숙의 거버넌스`의 실효적 운영을 위한 `교훈적 앎`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 론적-실무적 차원 모두에서 함의를 갖는 연구방법과 산출물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plored whether `deliberative governance` is undergoing friction by some `impeding factors` in Korea. Specifically, the researchers attempted an exploratory categorization by analyzing the meta-analysis of the impeding factors from about 66 cases of `deliberative governance` that were considered to be ineffective in Korea. For this purpose, various data such as existing research papers, newspaper articles, and policy reports surrounding the cases were collected as `textual data`, and the factors of inhibition were extracted through the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for theoriz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a) the nature of the problem to be addressed by governance, (b)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governance, (c) the process of governance operation and communication (D) Four categories of derived decisions and feedback were derived, and the lower inhibitory factors in each category were also identified.

      • 유아용 미디어의 개발 방향

        한수정 서울神學大學校 2005 교수논총 = (A)collection of treatises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Children's media as the current trends for the edutainment. Presently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Children's media is divided for use education into entertainment because the fact that to import or change than development by many reasons. specially, it is bring about malfunction that loss of studying motivation and educational value and to be inadequate our country's feelings. So development in Children's media should be to develop as edutainmnet that be mixed for us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it will make of active child rather than passive child. Also, it is desirable to develop go through the PROFILE and ADDIE course and participate in development course as for an expert of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