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재해보험의 생산량 및 가격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한성민,Han, Sungmin 한국개발연구원 2014 韓國 開發 硏究 Vol.36 No.4

        본 연구는 농업재해보험으로 인한 농업인들의 생산양식 변화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농업재해보험은 자연재해 발생 시 보험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함으로써 농가경영의 안정을 이루고자 함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생산자들의 경영안정을 도모하고자 시작된 본 사업은 생산자들의 작물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예기치 않은 생산양식의 변화를 발생시켰고,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 현상이 나타나면서 작물시장에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재해보험을 통해 생산자들이 자연재해 발생에 따른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도구변수를 이용한 2단계 최소자승법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재해보험 시행 여부를 도구변수로 이용한 이중차분분석 방법론 1단계 실증분석 결과, 재해보험 가입대상 작물의 경우 비가입대상 작물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평균적으로 약 80,000톤 정도의 생산량 증가효과가 발생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수요 공급 모형에서 발생하는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1단계 분석의 추정치를 이용한 2단계 분석에서는 생산량이 10,000톤 증가함에 따라 작물의 가격지수가 약 2.3% 정도 하락하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방법의 강건성 점검을 통해서 결과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가 정책 결정을 하는 데 있어서 생산자 측면뿐만 아니라 소비자 측면에 대한 분석도 포함하는 전체 경제 분석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예기치 않은 효과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changes in production patterns of farmers by agricultural disaster insurance. The aim of this project is to achieve stability of farm management by paying insurance in case of a natural disaster. However, it causes farmers to change production pattern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roduction, and leads the crop price to drop. This can be explained by producers' risk reduction through the disaster insurance. The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IV approach with using two stage least squares method. The first stage estimates by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ology indicate that the production of insurable crops increases more about 80,000ton on average than that of non-insurable crops. In addition, to solve the endogeneity problem caused by general supply and demand model, I use the first stage estimates and find that the price index of the crops drops about 2.3% according to the production increase by 10,000ton. The credibility of these results is also attained by various robustness check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analyze the whole economy which consists of producer and consumer welfare when it determines the policy. Besides, it implie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new market to cope with the unintended effect.

      • KCI등재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에서 세라믹 볼 헤드의 기계적 안정성 평가를 위한 유한요소 해석

        한성민,추준욱,전흥재,김정성,최귀원,윤인찬,Han, Sung-Min,Chu, Jun-Uk,Chun, Heoung-Jae,Kim, Jung-Sung,Choi, Kui-Won,Youn, In-Cha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0 의공학회지 Vol.31 No.6

        A ceramic articulating system in total hip replacement thought to be superior to metal-on-polyethylene due to its extremel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potential for high resistance to wear. But ceramic is brittle, which makes it mechanically and theoretically susceptible to fracture under certain mechanical conditions. In the current study, nine different models of ceramic ball heads were mechanically evaluated using 3D finite element(FE) analyses.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stress in all ceramic models was lower than ceramic flexural strength, and it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the FDA Gaudience for artificial hip implant. Thus, ceramic ball head models introduced in the current study could be mechanically safe for clinical applications.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민(Seong-min Han),방정수(Jung-Soo Bang)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19 지식융합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당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참여정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에 있다. 분석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2차 조사(2017년) 자료의 발달장애인으로 372명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은 사회참여정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참여정도는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만족에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에 대해 현재 운영되는 과정에 대해 논의를 하고 두 번째로,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을 높일 수 있는 사회참여정도에 있어 실천적 접근방법을 제시하며,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daily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372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2nd Wave 2nd Wave Survey (2017).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Second, the degree of social participa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test was Bootstrapp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current operation of the program to improve self-efficacy. Seoond, the society that can improv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suggested a practical approach to participation and suggested a policy to improv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국내 정밀의료의 현황과 방향성

        한성민(Seongmin Han)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밀의료에 대한 현황 고찰과 더불어 미래에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더불어 향후 정밀의료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위한 탐색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빅데이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결합한 바이오 의료 산업은 의료산업에서 고부가치적인 분야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의료 산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분야는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이다. 전 세계는 차세대 의료 산업에서 정밀의료를 1순위로 뽑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미국, 캐나다, 중국과 비교하면 첫 단계를 시작하는 수준이다. 현재까지 정밀의료에 대한 개념과 의미, 정밀의료의 기능과 활용 등에 대한 국내 정보가 제한적이다. 의료계에서는 정밀의료가 고평가되고 있으나 정밀의료의 현황과 방향성에 대해 조사한 문헌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밀의료에 대한 개념과 정밀의료 산업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였으며 향후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정밀의료는 우리의 건강과 건강 관리에 대한 생각과 사고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정밀의료가 보편화하기 전 우리는 의사와 의료 제공자는 최신 과학 및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를 이해하고 정확한 치료를 맞춤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배워야 할 것이다. 복잡한 생각을 환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할 것이다. 환자들은 유전학과 생물학에 대한 환자의 개인 데이터를 어떻게 보호되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하므로 개인 정보를 강화하기 위한 견고한 플랫폼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정밀의료 발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과학자들의 많은 연구와 정부와 민간의 파트너십, 시민 사회, 환자, 산업 및 정책 입안자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as an exploratory study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precision medicine. The biomedical industry, which combines big data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one of the high value-added fields in the medical industry. The field that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medical industry for the last three years is precision medicine. The world ranks precision medicine first in the nextgeneration medical industry. However, compared to the US, Canada, and China, Korea is at the level of starting the first stage. To date, domestic information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functions and uses of precision medicine is limited. Precision medicine is highly evaluated in the medical field, but the literature on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precision medicin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cision medicine industry,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realizing personalized precision medicine in the future. Precision medicine is likely to change the way we think and think about health and health care. Before precision medicine becomes prevalent, we will need doctors and healthcare providers to learn new technologies and tools that can use the latest science and complex data to understand patients and tailor precise treatments. You will need tools to communicate complex thoughts to patients. Patients want to know how to protect their personal data about genetics and biology and how they are being used, so they will need a robust platform to enhance their priv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advancement of precision medicine in the future, a lot of research by scientists,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civil society, patients, industry and policy makers will need cooper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화학수업에 적용된 교과 연계 독서 활동의 효과

        한성민(Han, Sung-min),신현철(Shin, Hyu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n students’ interest,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after application of content-area reading materials in the high school chemistry classes for 12 th grade students. The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for 12 consecutive sessions of chemistry classes. Both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have been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ub-criterion for the interest in science that were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he interest and enjoyment in science’. Particularly, from the sub-group of lower academic achievement, the interest was focussed on the sub-criterion ‘instrumental motivation’. A significant improvement within the sub-criteria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was ’the attitude toward the value of science’. Th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among the higher achevement sub-group only. Our results show clearly that the application of content-area reading activities in the science classes is highly effective to improve the learners’ affective domains and the performance. 이 연구는 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교과 연계 독서 자료를 선정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함으로 학생의 과학 흥미도,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총 12차시의 교과 연계 독서 활동을 도입한 후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과 연계 독서 활동이 도입된 실험 집단에서 과학 흥미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의 개선 결과가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보된 세부 과학 흥미도 요소는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이었으며, 특히 성적 하위 집단에서는 ‘도구적 동기유발’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은 과학의 ‘가치에 대한 태도(인지적 요소)’로 나타났다. 교과 연계 독서 활동에 따른 학업 성취도 변화는 흥미롭게도 성적 상위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 독서 활동을 연계할 경우 과학 학습의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과학 수업 내 체계적 도입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국내 정밀의료의 현황과 방향성

        한성민(Han Seongmin)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0 지식융합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밀의료에 대한 현황 고찰과 더불어 미래에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더불어 향후 정밀의료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위한 탐색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빅데이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결합한 바이오 의료 산업은 의료산업에서 고부가치적인 분야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의료 산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분야는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이다. 전 세계는 차세대 의료 산업에서 정밀의료를 1순위로 뽑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미국, 캐나다, 중국과 비교하면 첫 단계를 시작하는 수준이다. 현재까지 정밀의료에 대한 개념과 의미, 정밀의료의 기능과 활용 등에 대한 국내 정보가 제한적이다. 의료계에서는 정밀의료가 고평가되고 있으나 정밀의료의 현황과 방향성에 대해 조사한 문헌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밀의료에 대한 개념과 정밀의료 산업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였으며 향후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정밀의료는 우리의 건강과 건강 관리에 대한 생각과 사고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정밀의료가 보편화하기 전 우리는 의사와 의료 제공자는 최신 과학 및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를 이해하고 정확한 치료를 맞춤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배워야 할 것이다. 복잡한 생각을 환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할 것이다. 환자들은 유전학과 생물학에 대한 환자의 개인 데이터를 어떻게 보호되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하므로 개인 정보를 강화하기 위한 견고한 플랫폼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정밀의료 발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과학자들의 많은 연구와 정부와 민간의 파트너십, 시민 사회, 환자, 산업 및 정책 입안자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as an exploratory study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precision medicine. The biomedical industry, which combines big data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one of the high value-added fields in the medical industry. The field that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medical industry for the last three years is precision medicine. The world ranks precision medicine first in the next-generation medical industry. However, compared to the US, Canada, and China, Korea is at the level of starting the first stage. To date, domestic information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functions and uses of precision medicine is limited. Precision medicine is highly evaluated in the medical field, but the literature on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precision medicin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cision medicine industry,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realizing personalized precision medicine in the future. Precision medicine is likely to change the way we think and think about health and health care. Before precision medicine becomes prevalent, we will need doctors and healthcare providers to learn new technologies and tools that can use the latest science and complex data to understand patients and tailor precise treatments. You will need tools to communicate complex thoughts to patients. Patients want to know how to protect their personal data about genetics and biology and how they are being used, so they will need a robust platform to enhance their priv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advancement of precision medicine in the future, a lot of research by scientists,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civil society, patients, industry and policy makers will need cooperation.

      • 원형 T분기배관 내 누설유동의 열성층화와 난류침투에 관한 전산해석적 연구

        한성민(Seong-Min Han),최영돈(Young-Don Choi) 대한기계학회 200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3 No.4

        In the nuclear power plant, emergency core coolant system(ECCS) is furnished at reactor coolant<br/> system(RCS) in order to cool down high temperature water in case of emergency. However, in this coolant<br/> system, thermal stratification phenomenon can be occurred due to coolant leaking in the check valve. The<br/> thermal stratification produces excessive thermal stresses at the pipe wall so as to yield thermal fatigue<br/> crack(TFC) accident. In the present study, when the turbulence penetration occurs in the branch piping, the<br/>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s of fluid at the pipe cross-sections of the T-branch with thermal<br/> stratification are exam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