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한석영(Han, Seo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목적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의 관련변인과 영향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는데 있다. K 광역시에 소재한 간호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사용 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증진행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여 Scheffé test로 사후검증하였고,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건강증 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간호대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평균은 2.66점이었고, 건강증진행위와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이전 건강관련행위(r=.300, p=.000), 지각된 장애성(r=.178, p=.000), 행위관련 감정 (r=.106, p=.034), 행동계획수립(r=.195, p=.000)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년으로 2학년 이 전체 변이의 21.8%를 설명하였고, 이전 건강관련행위, 행동계획수립,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장애성, 연령과 함께 전체 변이의 36%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적인 특성에서 학년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학년 및 연령에 따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이전의 건강관리행위, 행동계획수립,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장애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related determinants affecting nursing college student’s health based on the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1996).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399 participants under the permission of data collection in at K metropolitan city. For data analysis, SPSS/ WIN 19.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for the HPBs, consisting of 6 subscales was 2.66. The highest mean score was 2.80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lowest one was 2.54 in ‘Physical activity’. The HPBs were positively associ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 (r=.300, p=.000),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r=.178, p=.000), and ‘activity related affect’ (r=.106, p=.034),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r= .195, p=.000).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HPBs was ‘2nd grade’. It explained 21.8 %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HPBs. ‘Prior related behavior’,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activity related affect’,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nd ‘age’ explained 3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considering the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o facilitate and maintain HPB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ust be mutually planned interactive health prevention programs.

      • KCI등재

        구조화된 다중매체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미래 간호전문직의 자기효능감, 극복력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석영(Han Seok Young),최금봉(Choi Keum B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structured multimedia on self-efficacy, resili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future nursing professional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 (n=31)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32).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es utilized x2-test, fisher s exact probability & t–test with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ore of self-efficacy(t=3.402, p=.015), resilence(t=2.047, p=.045) and clinical competence(t=2.128, p=.018) than the control group.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du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structured multimedia on self-efficacy, resil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future nursing professionals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nursing students. 미래 간호전문직인 간호학생은 임상실무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실습교육을 제공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된 다중매체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미래 간호전문직의 자아효능감, 극복력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전후 유사실험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두 개 간호대학 4학년 학생들로 구조화된 다중매체 활용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을 실험군으로,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육중재 직전과 후에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x2-test, Fisher s exact probability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조화된 다중매체를 활용하여 교육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아효능감(t=3.402, p=.015), 극복력(t=2.047, p=.045) 및 수행자신감(t=2.128,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조화된 다중매체 활용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은 미래 간호전문직인 간호학생의 자아효능감, 극복력 및 수행자신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 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전문직체계화 정착을 위해 간호학생에게 구조화된 다중매체 활용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은 필수이며 지속되어야 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과 공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석영(Han, Seo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ability, empathy abil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99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a informed cons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4.0.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fluency in speaking foreign languages and exchange of foreigne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 -tion skill ability(r=.49, p<.001), and empathy ability(r=.27, p<.05)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se factors explained 65% of the vari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ability(β=.45, p<.001), empathy ability(β=.37, p<.001), fluency in speaking foreign languages(β=.19, p<.001), and exchange of foreigners(β=.09, p=.011) in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s developing nursing educational programs using these influencing factors and providing diverse practicum to enhance cultur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문화 간 의사소통과 공감수준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 3개 간호대학의 간호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4월 5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관련 특성 중 외국어 구사능력과 외국인과의 경험 정도는 문화적 역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은 문화 간 의사소통(r=.49, p<.001) 및 공감(r=.27, p<.05)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의 영향요인은 문화 간 의사소통(β=.45, p<.001), 공감(β=.37, p<.001), 외국어 구사능력(β=.19, p<.001) 및 외국인과의 교류 경험(β=.09, p=.011)으로 나타났으며 총 65%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 간호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 시 문화적 역량의 하위 구성요소와 영향요인들을 수업설계에 포함하고, 문화 간 의사소통과 공감능력 증진을 통한 문화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연구

        한석영(Han Seok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양상과 중독 정도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K시 일 간호 대학교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간호대학생 345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자료분석 은 SPSS/WIN 19.0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스마트폰 사용양상, 스마트 폰 중독정도, 학습몰입, 학업성취도는 서술통계로 제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χ²-test, ANOV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학습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주로 하루 평균 3시간 이상(62.6%)이었고, 전공과목보다 교양 과목 강의시간에 2배 정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는 일반 사용군 (89.6%), 과다 사용군(5.8%), 중독군(4.6%)으로 대부분이 일반 사용군이었다. 스마트 폰 중독과 학습몰입은 역상관관계가 있었고(r=-.24, p=.008),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 는 순상관관계를 보였다(r=.25, p= .007).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 예방지침의 교육과 스마트폰 중독의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되고, 학습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학업성취도를 높여 대학생활의 적응, 진 로, 취업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mart phone using pattern, smart phone addiction, learning-flow, and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345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a informed cons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19.0 IBM program. The smart phone using pattern consisted of using time and purpose of use. The smart phone using time was over 3 hours(62.6%) in daily average, below 10 minutes(52.5%) per 1hour during lecture, and below 10 minutes (26.4%) per 1hour during practice hours. The purpose of smart phone using was messenger(30.2%), internet surfing(22.4%), SNS(19.0%) etc. The smart phone addiction level was average users(89.6%), heavy users(5.8%), and smart phone addicted(4.6%).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learning-flow(r=-.24, p=.008).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r=.18, p=.016). Therefore more positive and effective smart phone addiction management for nursing students is to considers, and developing programs of learning flow should be studied.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수준과 영향요인

        한석영(Han, Seo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15일까지이며, J도 및 K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재학생인 527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사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문화적 역량 정도는 중간수준이었으며, 각 영역별 점수에서 문화적 인식점수가 가장 높았다. 공감 정도는 정서적 공감 점수가 인지적 공감 점수보다 높았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는 학년, 외국어 구사능력, 외국인과의 교류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간호대 학생의 문화적 역량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 학년, 외국어 구사능력, 외국인과의 교류, 공감 등 4개 변수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이들 4개 변수로 구축된 회귀모 형의 문화적 역량 설명력은 19%였다. 따라서 문화적 역량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전략을 모색하고, 교과 외 과정에서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and the empathy and influencing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527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a informed cons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19.0 IBM program. The mean score for cultural competence was 3.04 points and empathy was 3.74 points out of a possible 5 in nursing student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ere grade, fluency in speaking foreign languages, exchange of foreigners, and empathy. These four factors explained 19% of the variance in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ultural competence is an important link with empathy in nursing students. To enhance cultur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school curriculums and empowerment programs regarding cultural competence needs to develop.

      • KCI등재
      • KCI등재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을 적용한 지체장애인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최금봉(Choi Keum Bong),한석영(Han Seok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목적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하여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위의 관련변인과 영향요인들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K광역시에 소재한 시설 및 재가 장애인 123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여 Scheffe test로 사후검증하였고,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위 평균점수는 2.44점(±.58)이었고, 건강증진행위와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건강증진행위와 이전 건강관련행위(r=.512, p=.000), 자아존중감(r=.578, p=.000), 지각된 유익성(r=.261, p=.004), 지각된 자기효능감(r=.324, p=.000), 행위관련 감정(r=.384, p=.000), 사회적 지지(r=.537, p=.000), 행동계획수립(r=.472, p=.000)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자아존중감으로 이는 전체 변이의 36%를 설명하였고, 이전 건강관련행위, 사회적지지, 행동계획수립와 함께 전체 변이의 51.1%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는 자아존중감을 고려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related determinants affecting to physically disabled person’s health based on the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1996).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123 participants under the permission of data collection in at G metropolitan city. In data analysis, SPSS/ WIN 19.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for the HPBs, consisted of 6 subscales was 2.44. The highest mean score was 2.69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lowest one was 1.91 in‘Physical activity’. The HPBs were positively associated to‘prior related behavior’(r=.512, p=.000),‘self-esteem’(r=.578, p=.000),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r=.261, p=.004), ‘perceived self-efficacy’(r=.324, p=.000), ‘activity-related affect’(r=.384, p=.000), ‘social support’(r=.537, p=.000),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r=.472, p=.000).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barriers of action’ and HPB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HPBs was ‘self-esteem’. It was explained 36%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HPBs. ‘Self-esteem’, ‘prior related behavior’, ‘social support ,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explained 5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for improving the physical activity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 To facilitate and maintain HPBs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 nurses may enhance and plan mutually interactive HPBs with physically disabled person.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다문화 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정향인(Cho Chung, Hyang-In),한석영(Han, Seok-Young),서성희(Seo, Seung-Hee) 한국간호행정학회 2017 간호행정학회지 Vol.23 No.4

        Purpose: With the increase of foreigners using Korea health facilities, it is important for nurses to be culturally competen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al program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42 participants from one school and for the control group, 40 from another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14 week multicultural nursing education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later after the experiment was finishe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prior to the intervention and right after the intervention,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² test, and independent t-test with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for cultural knowledge (t=3.99, p<.001), cultural awareness (t=3.92, p<.001), cultural acceptance (t=2.25, p=.027), and cultural competence behaviors (t=4.30,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is effective in raising the level of cultural knowledge, cultural awareness, cultural acceptance, and cultural competence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