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바일 폰 입력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한 사용자 경험 비교평가를 통한 디자인 적용방향 연구

        한상복(Han Sangbok),윤세균(Yoon Sekyun),김태균(Kim Taeky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터치패널을 탑재한 모바일 폰이 출시된 이후 모바일 폰 입력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는 기존 방식과 비교할 때 스마트폰의 SUI측면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변화가 가장 큰 변화의 핵심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는 기 출시된 터치패널 기반의 모바일 폰과 키패드 기반의 모바일 폰을 입력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비교평가하고자 했으며 둘째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방식의 경험에 따라 터치패널 방식과 키패드 방식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선에 활용하고자 했다. 실험의 비교평가 모델로는 키패드 방식으로 Black berry를 선정하였으며 터치패널 방식으로는 Iphone3G를 선정하였다. 이 모델들은 입력장치가 상이 하면서 자판입력방식은 동일한 QWERTY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입력방식 인터페이스 방식은 동일하면서 입력장치가 다른 실험조건에 부합한다. 본 연구에서 설문과 실험의 결과 데이터는 SPSS WINDOWS 12.0K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실험결과 사용자 경험 유형에 따른 평가에서는 터치패널 방식 사용자가 키패드 및 터치패널 방식 모두에서 높은 사용성을 나타내지만 키패드와 터치패널 방식의 비교평가는 터치패널 방식보다 키패드 방식이 사용성 측면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폰 입력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한 사용자 경험 비교평가를 통해 디자인 적용 방향을 찾고자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Since the release of mobile phone equipped with touch-panel there have diverse evolutions been made in input interface on mobile phone. This will be one of the biggest changes in input interface in terms of SUI of smart phon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As a consequence this research aims first to make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mobile phone based on touch-panel which was already released and the mobile phone based on keypad in terms of input interface. And for the secon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ouch-panel mode and keypad on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input interface mode it is intended to be used for enhancing the design of user's interface. Black berry was chosen as the model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 in the method of keypad and Iphone3G was selected in the method of touch-panel. These models meet the experiment condition of the similar method of interface and different input device since they use the method of QWERTY where input device is different but keyboard input method is similar. In this research the data from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nd experim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12.0K. The experiment showed that in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user's experience whereas the users of touch-panel method represent high-availability both in the method of touch-panel and keypad it was revealed that i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keypad and touch-panel method keypad method was more highly evaluated than touch-panel method in terms of the usability. This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in finding direction for the design application through comparative assessment of user's experience in regard to input interface on mobile phone.

      • KCI등재후보

        웹 광고에서 리치미디어 표출 유형별 경험디자인 모형 적용 연구

        한상복(Han Sangbok),윤세균(Yoon Sekyun),윤정식(Yoon Jeongshic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오늘날 인터넷은 광고주에게 중요한 마케팅 도구로 인식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한편 이제 웹 광고에서 배너광고와 같이 평범하고 식상한 광고로는 네티즌들의 반응을 기대하기 힘들어졌다. 이러한 온라인 광고 시장의 위기에 대처하고 기존 4대 매체 광고와 비교하여 월등히 차별화되고 특징적인 무언가를 보여 주어야 하는 급박한 현실에서 나온 대안이 리치미디어이다. 그간 웹 광고에서 리치미디어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해 네티즌들의 주목을 이끌어내고 보다 많은 클릭을 유도해 광고 효과를 높였다. 하지만 이젠 리치미디어의 전통적 표출 방법으론 늘 새로움을 추구하는 네티즌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엔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때문에 새롭고 특별한 그러면서도 사용자에게 거부감 없이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경험디자인 방법론이 최근 웹 광고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향후 리치미디어 광고는 단순히 정보전달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리치미디어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해 사용자에게 새롭고 독특한 경험 즐거움 재미와 감동 등을 제공하는 경험디자인 적용을 통해 웹 광고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리치미디어와 경험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리치미디어의 표출 유형별 특성과 경험디자인의 개념 경험창출 방법 그와 관련된 디자인 요소를 찾고 설문연구를 통해 단일 경험창출 요소와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리치미디어 표출 유형별 단일 경험창출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리치미디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험디자인 방법에 근거한 리치미디어 표출 유형별 경험창출 모형을 제안하였다. Only with creative users' demand already went in advance to go beyond click rates of the existing banner advertising. Therefore there are limits to satisfy their demand only with existing methods according to users' characteristics always pursuing the new so experience designs are required to provide proper experiences to every user newly specially and without aversion. The urgently emerged alternative is rich media in the present to prepare for the risk in the online advertising market and show something differentiated and special compared to existing four major media advertising. On the Web rich media aim to draw netizens' attentions by using various multimedia technologies and lead more click rate to improve the advertising effect. Acordingly the study was to look into its design factors based on understanding about factors of single experience in experience designs and examine the relations of single experience factors by different expression types. In addition it led users' active participation and proposed application models of experience designs to pursue users' true satisfaction.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