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문화적응 프로그램 연구

        한광훈(Han, Kwang Hoon),김금희(Kim, Gum Hee)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2

        This research discusses the cultural adjustment program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wo focal points: first, cultural adaptation of the immigrant women from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perspectives; second, in-depth outlook on multicultural polic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personal interviews were used. Research has found that immigrant women that were currently enrolled at Nam-Gu Family Support Center were faced with substantial lack of economic opportunities. Furthermore, the center primarily focused o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smooth cultural adaptation, followed by giving guidance o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for economic adjustment.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the present cultural adaptation programs, primary focus has to be set on solving the fundamental issues faced by immigrant women. Three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First, implement employee training programs. Second, strengthen welfare programs for stable parenting. Third, enhance and differentiate benefit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s. This study, however,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mary research. 이 논문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인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프로그램에 관한연구이다. 본 연구는 행동적, 정서적, 인지적 문화적응의 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를 통해 남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등록되어있는 결혼이주 여성의 가장 큰 공통점은 경제적인 생활고가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적응을 위해 한국어를 우선적으로 교육하고, 그 다음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취‧창업에 동일한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기존의 문화적응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3가지 방안이 연구결과로서 도출되었다. 첫째, 취업매개자 양성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다. 둘째, 자녀 양육을 위한 복지시설 강화이다. 셋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을 보다 더 차별화하고 개선해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소형 실내 와이브로 기지국을 위한 무선 파라미터 최적화

        한광훈(Kwanghun Han),나민수(Minsoo Na),최영규(Youngkyu Choi),김동명(Dongmyoung Kim),최성현(Sunghyun Choi),한기영(Kiyoung Han),윤순영(Soonyoung Yoon)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7A

        본 논문에서는 소형 와이브로 기지국을 실내에서 운용하고자 할 때 중앙 관리 서버를 통해 기지국의 무선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운용요원에 의해 수동으로 기지국의 무선 파라미터가 설정되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원격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으로 무선 파라미터들이 설정된다는 점에서 소형 와이브로 기지국은 자가 설정 기지국 (Self-Configurable Radio Access Station: SC-RAS)으로도 명명된다. 이러한 실내 SC-RAS 망을 도입하는 주된 목적이 전송 전력의 세기를 높여 건물 안에서 발생하는 음영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지만, 동시에 한 가지 고려해야 하는 점은 SC-RAS가 기존 와이브로 망에 미치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SC-RAS의 전송 전력과 주파수 (Frequency Assignment :FA)를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SC-RAS의 무선 파라미터 최적화 문제를 혼합 정수 계획법 (Mixed Integer Programming: MIP)을 이용하여 풀고, SC-RAS 설치 전과 후의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한다. Compared with the existing cellular base station whose radio parameters are configured manually, the small base station named as self-configurable base station configures its radio parameters automatically by the central controller. When installing the self-configurable base st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primarily that the seamless coverage for the target area is secured while the signal interference to the existing cellular service area must to be minimized.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correct radio parameters, e.g., transmission power and working frequency. In this work, we formulate and solve the optimization problem by using mixed integer programming to optimize the air parameter for the self-configurable base stations.

      • KCI등재

        A Novel Idle Mode Operation in IEEE 802.11 WLANs: Prototype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진성근,한광훈,최성현,Jin, Sung-Geun,Han, Kwang-Hun,Choi, Sung-Hyun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2A

        IEEE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became a prevailing technology for the broadband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new applications such as Voice over WLAM (VoWLAN) are fast emerging today. For the battery-powered VoWLAN devices, the standby time extension is a key concern for the market acceptance while today's 802.11 is not optimized for such an ope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Idle Mode operation, which comprises paging, idle handoff, and delayed handoff. Under the idle mode operation, a Mobile Host (MH) does not need to perform a handoff within a predefined Paging Area (PA). Only when the MH enters a new PA, an idle handoff is performed with a minimum level of signaling. Due to the absence of such an idle mode operation, both IP paging and Power Saving Mode (PSM) have been considered the alternatives so far even though they are not efficient approaches. We implement our proposed scheme in order to prove the feasibility. The implemented prototype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legacy alternatives with respect to energy consumption, thus extending the standby time. IEEE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는 광대역 무선 인터넷 접속기술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WLAN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서비스(VoWLAN)와 같은 새로운 응용들이 등장하고 있다. VoWLAN서비스들은 휴대형 장치를 통해 서비스가 되며 베터리 전력을 이용해서 동작하는 휴대형 장치들을 위해 사용 전력을 최소화하여 대기시간을 최대화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IEEE 802.11 WLAN 규격은 VoWLAN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 전력을 최적으로 이용하는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 페이징, idle 핸드오프 및 지연 핸드오프로 구성되는 새로운 Idle Mode operation을 제안한다. Idle mode operation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모바일 호스트는 미리 정의되어 있는 페이징 영역내에서는 핸드오프를 하지 않는다. 모바일 호스트가 새로운 페이징 영역으로 진입할 때에만 최소한의 호처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idle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기존의 IEEE 802.11 WLAN은 idle mode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Power Saving Mode (PSM)과 IP paging 기법을 동시에 이용해 왔으나 전력소비 효율이 좋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구현을 통하여 새롭게 제안한 방식인 idle mode operation이 실현가능 함을 증명하고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여 전력소비 효율이 더 뛰어남을 보인다.

      • 무선 인지 기술의 분류

        황영우(Young woo Hwang),한광훈(Kwanghun Han),이해원(Hyewon Lee),김영수(Youngsoo Kim),최성현(Sunghyun Choi),장경훈(Kyunghun Jang)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Recently, Cognitive Radio (CR) techniques for effective usage of limited spectrum band have been research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two criterions, namely primary-user awareness and coordination, and hence classify CR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their combinations. For each category, we describe the functionalities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the network, and discuss the advantage/disadvantage expected in a sample scenario.

      • KCI등재

        일반논문 : 도서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언어문화 실태 조사 연구

        성상환 ( Sang Hwan Seong ),한광훈 ( Kwang Hoon H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도서지역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언어문화 실태와 언어 소통의 문제, 도서지역 언어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강화도외 3곳의 도서지역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양적 연구 대상자 128명과 질적 연구 대상자 7명과의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언어문화 실태를 보면 만족도 조사에서는 76.0%가 언어문화 생활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오기 전의 한국어 학습량은 약 3개월 미만으로 나타났고, 한국에 온 후약 70시간의 학습시간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육에는 71%가 참여하고 있고, 그 중의 76.5%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의 경험에 있어서는 13.2%만이 응시한 경험이 있고, 결혼이주민들이 모임 참여시 얻게 되는 가장 큰 장점이 한국어능력 신장을 위해서라고 응답 한 것으로 보아 이들에게 있어서 한국어능력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한국생활에서 갈등의 가장 큰 원인도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해서라고 37.9%가 응답한 것으로 보아 한국어에 대한 비중을 알 수 있다. 모어 사용에 있어서는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할 대상은 자녀로 답하였고, 가족 내에서 모어 사용의 어려움은 73.7%가 못 알아듣거나 사용할 대상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녀에 대한 모어전수에 대해서는 78.2%가 희망한다는 높은 의지를 나타냈다. 자녀교육에 있어서는 가장 어려운 점이 언어소통의 문제로 나타났고, 방과 후 자녀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학원 및 과외가 주로 나타났고, 자녀의 한국어 이외의 모어 능력에 대해서는 69.1%가 모어 능력이 없음을 나타냈다. 둘째, 한국생활의 가장 큰 갈등원인으로 언어소통의 문제로 답하였다. 환경적 측면에서 한국어 학습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 육아이고, 언어적 갈등의 문제로 부정확한 발음이 기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언어문화 실태와 언어소통의 문제 원인을 토대로 도서지역 언어문화 활성화 방안의 첫째로는 도서지역의 한국어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둘째로는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사회적 인식변화가 필요하고, 셋째로는 자녀에게 모어를 전수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하고, 넷째로는 결혼이주여성의 방과후 교사, 통?번역사 등으로 취업이 활성화되어야 하고, 다섯째로는 도서지역을 위한 특화된 다문화관련 제도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of the island region on their current language culture situation, their communication problems, and action steps to enliven the language culture in the island region. The research comprise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28 quantitative subjects and 7 qualitative subjects from Gang-wha island and 3 other island reg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looking into their current language culture situation, 76.0%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satisfaction in their current language culture lifestyle. The time spent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prior to coming to Korea turned out to be 3 months or less, and approximately 70 hours since their arrival. Secondly, the prevalent cause of conflict of living in South Korea is language communication problems. From a situational aspect, the major barrier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s child care, followed by their inaccurate pronunciation. Concerning child care, many mothers continued to rank communication problems as their biggest challenge, and 37.9% of the subjects expressed that the inability to speak Korean is their main obstacle in living in South Korea, which shows the level of impact of Korean language in their lives. Third, based on the reality of their language culture and root causes of their communication issues, 5 action plans are proposed to enhance the language culture in the island regions. First, strengthe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island regions; second, raising social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children to learn their mother language; fourth, enabling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to work as after-school teachers, interpreters, or translators; and fifth, implementing special multicultural standards for island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