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일치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하여진(Ha Yeo ji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직무일치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화경향점수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직무일치도는 교육일치와 기술일치 두 측면에서, 직무만족은 내적 직무만족도와 외적 직무만족도 두 측면에서 살펴보아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은 교육 및 기술수준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감소시키며,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은 교육 및 기술수준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은 교육ㆍ기술수준은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은 기술수준도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낮은 교육수준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일치가 외적 직무만족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적 직무만족도를 통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기술일치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불일치가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관계를 완화하기 위해 직무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난 외적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정한 인사체계와 기술수준에 맞는 보수 체계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직무일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드러난 기술일치를 높이기 위한 대학에서의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과 직장에서의 적응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 및 멘토링 제도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To achieve this, 2013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pplying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inverse probability metho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education mismatch and over-skill mismatch decrease the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o this, the under-education mismatch and under-skill mismatch increase the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Second, the over-education mismatch and over-skill mismatch directly affect on increasing the intention to leave. The under-skill mismatch also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but the under-education mismatch does not directly affect on intention to leave.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ex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s both of external and in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kill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roving job stability, welfare system, and personnel management fairness are needed to improve external job satisfaction which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mismatch and the intention to leave. Second,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infra and job training which can improve job match and job adjustment are required to reduce the frequent turnover.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정서 발달의 종단매개효과분석: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행복감을 중심으로

        하여진 ( Ha Yeoji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3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3-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종단매개효과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자기회귀계수 동일성 제약모형, 교차지연 계수 동일성 제약모형, 잔차분산 동일성 제약모형과 잔차공분산 동일성 제약모형을 순차적으로 검증하였을 때, 잔차분산 동일성 제약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낙인감에서 행복감으로 가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행복감으로 가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잔차분산 동일성 제약을 가정한 완전매개모형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자기회귀계수검증결과, 이전 시점의 사회적 낙인감/자아존중감/행복감은 다음시점의 사회적 낙인감/자아존중감/행복감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교차지연계수 검증결과, 이전시점의 사회적 낙인감이 높으면 다음시점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낮아지며, 이전시점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다음시점 행복감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붓스트랩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결과,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종단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longitudinal mediation of out-of-school youths’ social stigma through self-esteem on their happiness. For this purpose, the 3rd, 4th, and 5th waves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 Youth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by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First of all, it showed that the structural residual model was the best fit. Also, the direct effect of social stigma into happiness was not significant, which represented that social stigma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happiness of out-of-school adolescents through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complete mediating model on the basis of the structural residual model showed that first, out-of-school youths’ social stigma, self-esteem, and happiness in the previous time positively significantly predicted out-of-school youths’ social stigma, self-esteem, and happiness in the later time.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when social stigma in the previous time became high, self-esteem in the later time became significantly low. In addition, when self-esteem in the previous time became high, happiness in the later time became significantly high. Third, it was found that out-of-school youths’ social stigma through self-esteem played a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n happi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그릿(Grit)수준이 인지, 정서, 사회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하여진(Yeojin Ha)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5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9-11년차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아동들의 인지, 정서, 사회발달에 대한 그릿의 평균적 효과와 이타적 인생목표, 소득수준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지발달은 국어와 수학성취도, 정서발달은 행복감,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사회발달은 친구관계와 교사와의 관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릿은 끈기와 열정 두 하위구인을 구별하여 살펴 보았으며, 그릿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공변인의 효과를 통제한 분석을 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릿(끈기)에는 행복감, 자아존중감, 주의집중,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그릿(열정)에는 부모와의 대화정도, 친구관계에서의 소외감, 컴퓨터 및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전공변인의 영향력을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그릿(끈기, 열정)은 행복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타적 인생목표, 소득수준에 따른 차별적 효과가 일부 유의하였다. 그릿(끈기)이 친구관계에서 소외감을 낮추는 효과는 이타적 인생목표를 가진 아동의 경우 더 크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의 아동인 경우 소득수준이 중간수준 집단의 아동보다 그릿(끈기)이 친구관계에서 소외감을 낮추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 of Grit on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ial effect accroding to the type of student's life-long goal, and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To do this, 9th to 11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2018) were utilized, and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method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ppiness, self-esteem, concentratio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tudents’ grit score(perseverance of efforts).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the smart phone and PC utilization, and the sense of alienation affect students' grit score(consistency of interest). Second,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happiness,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s. Third, Grit showed differential effects on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s life-long goal, and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방과후 생활시간 활용양상의 잠재전이유형과 학습자특성에 관한 연구

        하여진(Ha, Yeoj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방과후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른 잠재집단을 구분하고,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중학교 2-3학년 시점에서 방과후 생활시간 활용양상의 잠재집단 전이양상과 학습자특성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 4-6차년도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방과후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른 잠재집단 수는 3개로 나타났으며, 소속비율은 놀이집단, 사교육집단, 자기주도학습집단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집단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학생의 성별, 사전학업성취도, 휴대폰의존도, 방과후 자기보호시간, 어머니 취업유무, 부모학력, 가구소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2학년 시점에서 중학교 3학년 시점의 잠재집단의 이행을 살펴본 결과, 중학교 2-3학년 시점에 유사한 생활시간 활용 집단에 소속할 확률이 가장 높았으며, 집단소속에 변화가 있는 학생들 중에서는 자기주도학습집단으로의 이행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교 2-3학년 시기 잠재집단 소속과 이행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학습습관(성취가치, 통제력)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중2-3학년 동안 지속적으로 자기주도학습집단에 속하였던 학생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도와 학습습관을 보였으며, 중2-3학년 동안 지속적으로 놀이집단에 속하였던 학생들이 가장 낮은 수준의 학업성취도와 학습습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subgroups depend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patterns of after-school time usage and to test the effects of factors on determining these subgroups. The transitions and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achievements were also analyzed by apply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in middle school was three; a ‘private education-oriented group’, a ‘self-directed learning group’, and a ‘recreation-oriented group’.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se groups were gender, pre-achievement, phone dependency, self-care, mother’s work, and SES. More than three quarters (77.2%) of the students remained the same latent group, whereas others made the transition to a different group. To explore the features of latent transition and stability, their relationships wit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s were compared. The self-directed learning group presente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while the recreationoriented group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a number of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와 진로장벽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하여진 ( Ha Yeoji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들의 진로태도와 진로장벽에 따른 하위 잠재집단을 구분하고, 집단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정, 사회 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다문화청소년들의 진로태도(진로준비성, 진로결정성)과 진로장벽(자기이해부족, 진로 및 직업정보부족, 경제적 어려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한 결과, 네 개의 유의한 하위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진로장벽(자기이해부족, 직업정보부족)이 두 번째로 높고, 진로준비성은 가장 낮고, 진로결정성은 두 번째로 낮은 집단으로 ‘진로미성숙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두번째 집단은 진로장벽이 가장 높지만, 진로준비성은 가장 높고, 진로결정성은 가장 낮은 집단으로 ‘진로미결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세 번째 집단은 진로태도와 진로장벽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평균 수준에 가까운 집단으로 ‘평균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네 번째 집단은 진로장벽이 가장 낮고, 진로준비성은 두 번째로 높으며, 진로결정성은 가장 높은 집단으로 ‘진로결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다문화청소년들의 진로태도와 진로장벽에 따른 하위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정, 사회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개인차원에서는 우울, 사회적위축과 성취동기 수준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차원에서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사회차원에서는 사회적 지지자의 존재유무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들의 심리ㆍ정서지원과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attitude and career barrier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ecological determinants. Data from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collected in 2018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subcategories of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and career barriers(lack of self-understanding, lack of career/occupational inform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career immaturity group, the career indecision group, the average group, and the career decision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individual aspect. Parents' neglect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er in the familial aspect were also significant factor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attitude and career barriers. Based on these result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supporting methods to enhance the social supporting system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여가 활용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예측요인과 진로정체감의 차이

        하여진(Ha, Yeoj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하위 잠재집단을 도출하고, 각 집단에의 소속을 결정하는 생태학적 체계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한 후, 하위집단 별 진로정체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여가 활용형태에 따라 독서위주 여가활용 집단, 저여가 집단, 놀이위주 여가활용 집단과 게임위주 여가활용 집단의 네 가지 하위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먼저 각 여가 활용 형태에 따른 하위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정, 학교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성별, 통제력, 부모학력, 부모학대, 학교적응, 교사관계와 친구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인 경우, 통제력이 낮은 경우 게임위주의 여가활용 집단에 소속될 승산이 높았으며, 부모학력이 높은 경우 저여가 집단에 속할 승산이 높았다. 학교생활 적응수준이 낮은 경우 독서위주의 여가활용 집단이나 저여가 집단보다 놀이위주의 여가활용 집단이나 게임위주 여가활용 집단에 소속될 승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관계가 나쁠 때 놀이위주 여가활용 집단보다 게임위주 여가활용 집단에 소속될 승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가 활용 형태에 따른 하위 잠재집단 별 진로정체감 수준을 살펴본 결과 독서위주 여가활용 집단의 진로정체감이 가장 높고, 게임위주의 여가활용 집단의 진로정체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subgroups amongst high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patterns in their use of leisure time and to test the effects of factors which determining these subgroup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mixture modeling was applied to data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use of leisure times: a reading-oriented leisure time group, a low level leisure time group, a playing with friends-oriented leisure time group, and a playing game-oriented leisure time group. Second, the results of mixed regression analysis reported that gender, self-control, parents’ academic background, parenting style, school adaptation, and relationships with the peers and the teacher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Third, the reading-oriented leisure time group presented the highest level of career identity. Conversely, the playing with friends-oriented leisure time group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career identity.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

        하여진(Ha, Yeoj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2

        이 연구에서는 학업중단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라 유의한 하위잠재집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잠재집단별 차이와 집단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잠재프로파일분석결과, 우리나라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라 두 개의 서로 다른 하위잠재 집단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하루 중 7시간 이상을 일이나 아르바이트에 할애하는 집단으로 ‘직업형’ 학교 밖 청소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집단은 하루 중 일이나 아르바이트에 할애하는 시간이 1시간 미만이며, 학교나 대안학교, 학원, 직업훈련기관 등에서 지내는 시간이 첫 번째 집단보다 약 2.5시간 많고, 숙제, 시험준비, 자격증을 따기 위해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시간이 약 1.3시간 더 많은 집단으로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른 하위잠재집단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기대교육연한, 부모의 물질적 지원, 지역사회의 통제수준에 대한 인식, 진로탐색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교를 그만둔 이유, 필요로 하는 정책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직업형 학교 밖 청소년 집단보다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 집단에서 여학생 비율이 높았으며, 기대교육연한이 길고, 부모의 물질적 지원수준이 높고, 지역사회의 통제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진로탐색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우리나라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기대수준, 부모의 경제적 지원수준과 지역사회통제수준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기대수준과 부모의 경제적 지원수준이 높고, 지역사회의 통제수준을 높게 인식한 학생들이 직업형 학교 밖 청소년 집단 보다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 집단에 소속될 승산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in out-of-school youths’ time usage patterns and to test the effects of factors which determining the latent group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applied to data taken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 Youth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wo latent subgroups according to the time usage patterns of out-of-school youths. The first group spent a lot of time in work related activity; they worked seven hours more than the other group. The second group spent more time in study related activity than the first group; they studied in educational institutes about 2.71 hours and studied alone about 1.73 hours. Second, these two latent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expected education level, parents monetary support level, level of local control and degree of career exploration. Their needs for political support were also differ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 지지유형 분류 및 인지·정서발달 차이 분석

        하여진(Ha Yeoj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 지지유형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및 하위집단별 인지, 정서발달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다문화 청소년들을 둘러싼 가정, 학교,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을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및 정책지지로 설정하고 하위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시점에는 가족지지, 친구지지 및 교사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정책지지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두 축으로 4개의 집단이 도출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시점에서는 모든 지지수준이 가장 높은 집단, 중간수준집단과 하위집단의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학년의 변화에 따른 하위 잡재집단의 전이형태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별, 학생의 한국어 능력, 부모학력수준과 거주지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유형에 따른 인지정서발달 상 차이를 학업성취도, 성취동기, 자아존중감, 우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지지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수록, 특히 가족, 친구, 교사지지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더 높은 학업성취도, 성취동기, 자아존중감을 나타내며 우울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 사회지지체계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atent sub-group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social support to Korean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ransition of supporting pattern over time was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of factors on determining these subgroup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 in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subgroups were compared by us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data in 5th and 6th gra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class model in 5th grade and 3-class model in 6th grade were supported. Second, the significantly affected factors in determining these groups were gender, students’ Korean ability,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Seoul resident. Third, the highly supported groups showed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self-esteem, and lower level of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과매개모형을 활용한 영어 사교육 참여의 학업성취도 향상효과 분석

        하여진(Ha Yeo jin),박현정(Park Hyun Je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에 인과매개모형을 적용하여 서울시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사교육 참여의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의 선택편의만 조정하여 분석했을 때,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를 매개로 중학교 3학년 시기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와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음으로,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의 선택편의만 조정하여 분석하면,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를 매개로 중학교 3학년 시기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만,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와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의 선택편의를 모두 조정한 인과매개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를 매개로 중학교 3학년 시기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전체효과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사교육 참여의 선택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일반매개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verage causal mediation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seoul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o achieve the purpose, causal mediation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Imai, Keele, & Tingley(2010) is applied.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comprise the first to third year SELS(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and direct effec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year were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the selection bias of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year.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year was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the selection bias of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third year.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year was significant, but the direct and the total effect were not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both of the selection bias of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and third year.

      • KCI등재

        아동 · 청소년의 인권수준의 변화양상과 영향요인분석: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하여진(Ha, Yeoj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2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의 인권실태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인권교육 이수 및 만족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의 인권실태는 발달권, 보호권, 생존권, 참여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인권교육은 인권교육 경험여부와 만족여부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 · 청소년인권실태조사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3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들의 인권교육 참여도는 해마다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낸 반면, 인권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들의 인권교육 경험과 만족도에는 학생의 성별, 학교급, 학업성취도와 가구소득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다른 학교급 학생들보다 인권교육 참여도와 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학업성취도가 낮은 집단, 가구소득이 낮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인권교육 참여도와 만족도가 낮은 양상을 보였다. 셋째,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들의 인권수준을 발달권, 보호권, 생존권, 참여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보호권 측면에서 부모방임 및 사이버폭력 정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 보완이 필요한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의 인권교육에 따른 인권수준의 차이는 인권교육 경험여부에 따라서는 혼재된 결과를 보였으나, 인권교육 만족여부에 따라서는 인권교육에 만족한 집단이 인권교육에 불만족한 집단보다 모든 영역에서 인권보장에 대한 인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human right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and to understand such differences and changes within the context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the Korean Youth Human Rights Survey data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3 to 2015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in human rights education has increased every year. In contrast, the level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have decreased annually. Second, these levels of participation in human rights education and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by students’ gender, the level of school, the level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Third, the level of human rights analyzed in terms of the aspects of the survival, protection,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in such rights revealed the following; that the protection of such rights should be reinforced.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with human rights education on the level of human righ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