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낱말 길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조음 정확도

        하승희,하승희,피민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1-2-3음절 검사를 이용하여 언어학적 증상에 따른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로 낱말 길이에 따라 조음 정확도가 어떠한지 자세히 살펴보고, 정확도를 바탕으로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을 구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3세에서 9세 11개월의 161명의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1-2-3음절 검사를 실시하였다. 말소리장애는 조음 장애, 음운 지연, 일관적 음운장애, 비일관적 음운장애 4가지 하위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2-3음절 과제의 정확도는 낱말, 음운, 모음, 자음, 목표음절 수준에서 측정하여 말소리장애 하위집단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낱말, 음운, 자음, 목표음절 정확도는 말소리장애 집단과 낱말 길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과 낱말 길이에 따른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말소리장애 하위집단 중 음운지연과 비일관적 음운장애는 낱말 길이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비일관적 음운장애 아동은 낱말의 음절이 증가할수록 오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1-2-3음절 검사의 정확도와 낱말 길이 효과를 바탕으로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을 구별할 수 있으며 비일관적 산출과 일련의 소리를 배열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확인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1-2세 일반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하승희,하승희,권지윤,정유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erbal imitation of words and nonwords in children aged 1 to 2 years old. Methods: The study involved four age groups, each six months apart, ranging from 1 to 2 years of age. The children were asked to repeat 12 real words and 12 nonwords, with corresponding reference materials. The responses were classified as correct, incorrect, or no responses. The incorrect responses were further analyzed to identify patterns, including whole-word errors, segmental errors, babbling, and different vocabulary responses. Verbal imitation performances were compared in terms of age and word types. Results: The ratio of no responses in verbal imit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ratio of correct responses in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the late 1-year and early 2-year age group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word types and age in the correct responses of verbal imitation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1-year-old and early 2-year-old childre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ords and nonwords, whereas late 2-year-old children exhibited better imitation performances for words compared to nonwords. Children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ratios of incorrect responses in verbal imitation for nonwords compared to words. Babbling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incorrect responses produced by the early 1-year-olds, which dramatically decreased in older children groups and was seldom observed among 2-year-olds. The late 1-year-olds and 2-year-olds primarily demonstrated whole-word error patterns in both word and nonword imitation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verbal imitation abil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growing stage of phonological and lexical development.

      • KCI등재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처리기술

        하승희,하승희,피민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음운인식, 음운기억, 음운인출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음운처리능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이 음운처리 영역에서 보편적인 어려움을 보이는지, 또는 특정 영역에서만 어려움을 보이는지 살펴보면서, 음운처리능력으로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이 서로 구별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말소리장애 아동 27명, 일반 아동 20명으로, 말소리장애 아동 중 음운지연 아동은 10명, 음운장애 아동은 17명이었다. 음운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음운인식, 음운기억, 음운인출에 대한 과제를 실시하였다. 음운인식은 단어, 음절, 음절체-종성, 음소 수준에서 말소리를 조작하는 과제를 이용해 평가하였으며 음운기억은 무의미낱말과 문장을 따라말하는 과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음운인출은 숫자 빠른 자동 이름대기로 측정하였다. 결과: 음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단어 수준에서 음운인식능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음운지연 및 일반 아동에 비해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 수행력도 유의하게 낮았다.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비해 음운인출 수행력도 유의하게 낮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음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이나 음운지연 아동에 비해 음운처리능력에서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음운기억을 확인하는 무의미단어 따라말하기에서의 결함이 더 두드러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5-6세 한국 아동의 음운기억

        하승희,하승희,홍예봄,이라연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9 No.2

        배경 및 목적: 음운기억은 말-언어 발달에 중요한 역할로,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습득할 때 주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는 5-6세 한국일반 아동의 음운기억을 세 과제 유형으로 살펴보고 세 유형 간 관계, 그리고 음운기억과 어휘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만5-6세 일반 아동 42명을 대상으로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문장 따라말하기, 그림 지적 검사, 그리고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아동의음운기억수행력을분석하여두연령집단을비교하였다. 문장따라말하기는조음오류를포함하거나제외하는점수체계로 구분하여 채점하였으며 오류 유형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결과: 세 음운기억 과제에서 문장 따라말하기의 문항별 정반응률을 제외하고는, 5세보다 6세의 정반응률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문장 따라말하기에서의 오류 유형을 분석한 결과 5세는 첨가 오류, 그중에서도 문법형태소 첨가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세 음운기억 과제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용 및 표현 어휘는 세 가지 음운기억 과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5-6세 사이에 일어나는 음운기억의 발달을 확인하였다. 세 음운기억과제가 각각 활용하는 말처리 모델의 요소를 확인하였으며 음운기억과제와 어휘능력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Objectives: Phonological memory plays a crucial role in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stages when children learn new vocabula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honological memory using three different tasks believed to tap into phonological memory in 5 to 6 year-old Korean children,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tasks and between phonological memory and vocabulary skills. Methods: Forty-two typically developing Korean children aged 5-6 years completed nonword repetition (NWR), sentence repetition (SRT), and picture pointing tasks, as well as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Children’s correct responses were analyzed from each memory task and compared to examine whether the two age groups show different performances. Children’s responses from SRT were examined by two scoring systems including or excluding articulation errors and their error responses in SRT were analyzed in detail. Results: Significantly higher correct response ratios were observed in 6-year-olds compared to 5-year-olds in the three phonological memory tasks, excluding correct item ratios of SRT. The results from error analysis of SRT showed that 5-year-olds had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additions, particularly additions of grammatical morphemes. The three phonological memory task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lso,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exhibit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three phonological memory tasks.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d activ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memory between ages 5 and 6. We addressed the components in the speech processing model that the three phonological memory tasks tapped into, and discussed their relationship with vocabulary.

      • KCI등재

        자동 언어 환경 분석치로부터 18-20개월 말-언어 발달 예측 연구

        하승희,하승희,김호,이유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6-8개월과 12-14개월의 언어 환경기 (LENA) 자동 분석치가 18-20개월 말-언어 발달을 예측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일반 아동 18명으로부터 6-8개월, 12-14개월, 18-20개월에 하루 동안 아동의 가정에서 수집된 LENA 녹음자료를 수집하였다. 6-8개월과 12-14개월의 녹음자료에서는 LENA 자동 분석치인 성인 낱말 수(AWC), 대화 주고받기 수(CTC), 아동 발성 수(CVC)를구하였다. 18-20개월 녹음자료에서는 서로 다른 낱말 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를 구하였다. 이를 통해 6-8개월과 12-14개월 LENA 자동 분석치가 18-20개월의 말-낱말 측정치를 예측하는지 상관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CTC와 CVC는 18-20개월의 모든 말-낱말 측정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6-8개월의 CTC는 18-20개월의 서로 다른 낱말 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12-14개월은 CTC, AWC, CVC가 18-20개월의 서로 다른 낱말 수를 예측하였으며, 12-14개월의 CTC는 추가로 18-20개월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도 예측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영유아와 주양육자 간 상호작용이 이후 말 언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조기 언어 환경이 아동의 말-언어 발달에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아동의 발성을 촉진시키는 성인의 반응

        하승희,하승희,이라연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9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아동과 성인 간의 일련의 상호작용에서 아동 발성 이후 성인 반응의 특징과 아동 발성을 촉진시키는 성인의구어 반응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2-18개월 된 일반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환경 분석기(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를 통해 수집된 녹음자료에서 차례 주고 받기 수가 높게 나타난 상위 20개의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아동발성은 비음절성 옹알이와 음절성 옹알이로 구분하였으며 발성 유형별 하위 범주로 분류하였다. 성인의 구어 반응 유형은 10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의 비음절성 옹알이와 음절성 옹알이 이후 성인은 다른 유형의 반응을 보였다. 모방하기, 재구성하기, 확장하기는 음절성 옹알이 중 2음절 이상의 음절성 발성 이후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성인 반응 전후로 아동 발성을 살펴본 결과 성인이 인정하기, 재구성하기와 같은 구어 반응을 보였을 때 아동은 이전 발성에 비해 보다 더 진전된 발성 형태를 산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연구는 아동과 성인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상호작용 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양방향적인 관계는 아동의 발성 및 초기 말-언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dults in the vicinity of children respond differently to various child vocalization types within three-event sequences of “child vocalization-adult verbal response-child vocalization” occurring in everyday life.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adult verbal responses that facilitate child vocalizations within the series of three-event sequential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Methods: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LENA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from 30 children aged 12 to 18 months and their families. Three-event sequences of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ere selected from twenty 5-minute recorded segments with the highest conversational turn counts. Child vocalizations before and after adult verbal responses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canonical babblings and non-canonical babblings, and then coded into subcategories for each babbling type. Adult verbal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pragmatic types. Results: Adults responded differently depending on children’s non-canonical and canonical babblings. Among pragmatic types of adult verbal responses, imitation, recast, and expansion were prominently observed following canonical babblings with more than two syllables. Adult verbal responses such as acknowledgment and recast facilitated children in producing more advanced vocalization forms.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bi-directional relationships in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and provides insights into which child-adult vocal exchanges facilitate child vocalizations and early speech-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말 늦은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하승희,하승희,정유림,권지윤,심성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oken language imitation abilities of 18 to 29 month old late-talking children to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rough the imitation of words and nonword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5 late-talking children and 1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age and gender. The test words were 12 words and 12 nonwords, and spoken imitation was elicited by providing corresponding toys or references. Responses were categorized as correct, incorrect, or no response. Incorrect response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whole-word errors, segmental errors, babbling, and different vocabulary responses. Whole-word errors and segmental errors were again classified into developmental and non-developmental error patterns. Results: Late-talking children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correct response ratios and higher no response ratios in verbal imitation of words and nonword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Late-talking children had approximately 50% of their responses as no response, whil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low ratios of no response. Both late-talking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emonstrated better verbal imitations of words than of nonwords. Although whole-word errors were the most frequent in both groups during the verbal imitation of words, but late-talking children had higher rates of babbling responses for both words and nonwords imit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late-talking children exhibited limited verbal imitation abilities. Responses made by late-talking children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ir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status. Implications for research,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ate-talking children are discussed.

      • Empirical Study About ODA Effects on Job Creation

        하승희,박재홍 한국무역학회 2022 Journal of Korea trade Vol.26 No.6

        Purpose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private actors in recipient countries. As a proxy for the economic activities of private actors, we utilize the job creation activities of foreign subsidiaries in recipient countries. The foreign subsidiaries provide a found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by creating paying jobs. That is, if ODA has been successfully transferred to foreign subsidiaries, then these foreign subsidiaries should help economic growth and help create a boom in the local market by providing jobs. These jobs eventually lead to the achievement of the primary aims of foreign aid, including poverty reduction. Thu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DA and the number of jobs created by foreign subsidiaries in recipient countries. Design/methodology –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DA on the job creation of foreign subsidiaries because it has been hard to obtain inter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ployment status of foreign subsidiaries. Fortunately, we have a unique panel dataset provided by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KEXIM) for 2006 to 2013. In terms of the empirical specification, we use the generalized least squares (GLS) method. The panel GLS estimator allows us to have an efficient estimation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panel data. It employs assumptions about the heteroscedasticity between the panels and makes an autocorrelation of the error term within each panel. Findings – We find that ODA influences job creation in foreign subsidiaries. In particular, we found that ODA creates more jobs in sales than in managerial or production positions.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ODA on the foreign subsidiaries’ job creation activities depend on the purpose of the ODA. By examining ODA effects on the foreign subsidiaries’ economic activities (e.g., job creation), this study fills a gap in the current literature. Originality/value – Existing studies that focus on the ODA effect have either a macroeconomic point or a microeconomic point of view. However, both approaches do not explain how well foreign aid has influenced private economic actors of recipient countries. In essence, previous researchers found it difficult to obtain the necessary data for internal employment status from foreign subsidiaries. However, thanks to the Korea Export-Import Bank, this study shows that ODA indeed influences the job creation activities of foreign subsidiaries even after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such as FDI, GDP growth rate, employment rate, household expenditure, mother firms’ share, etc. By doing so, we can examine how ODA influences the job creation of foreign subsidiaries, which might help economic development and reduce the amount of poverty in recipient countries.

      • KCI등재

        북·일 관계와 전자악단의 활용

        하승희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0 현대북한연구 Vol.23 No.2

        In this article, in order to explore how the medium of “music” worked in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 through the music exchange between North Korea-Japan, I examine music exchange, focusing on electronic music, which has been the core of the music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e music exchange in North Korea-Japan relations was to achieve diplomatic and political objectives through the respective cultural mi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each country. Music exchanges were basically premised on the political purpose of normaliz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North Korea. In addition, on the one hand, North Korea used the exchange of performances by Japanese pop music singers as an indication of its global popular culture and as a pretext for introducing new music to its own nation; on the other, in the case of performances by North Korean bands in Japan, it promoted North Korea’s international status and used these as an opportunity to change other’s perception of the country. North Korea tried to show boldness and flexibility both at home and abroad by embracing genres that run counter to existing music policies. Through this, the government tried to show off North Korea’s electronic music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ith the confidence that the cultural production could be compared to world music.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government tried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was compatible with the political intentions of the nation prior to the political event of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North Korea, which was the ultimate goal of mus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이 글은 북·일 간 진행되었던 음악교류가 정치·외교적 관계 속에서 어떻게 작동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북·일 음악교류의 핵심이었던 전자악단을중심으로 음악교류를 살펴보고 교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북·일 음악교류는 문화사절단을 통해 각국의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외교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최우선적 목표였다. 기본적으로북일 간 음악교류는 북일 국교정상화라는 정치적 목적을 전제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과 더불어 북한은 일본 대중음악 가수들의 방북공연 교류를세계적 대중문화의 지표이자 새로운 음악도입의 명분으로 활용하였고, 북한 악단의 일본방문공연의 경우 대내적으로는 대외적 위상을 선전하고, 대외적으로는 자국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로 활용하였다. 북한은 기존 음악정책에 반하는 장르를 수용함으로써 대내외에 대담함과유연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국교정상화에서 수교 상대국으로서의면모와 함께 세계 보편적 음악과 견줄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북한의 전자음악을 대내외적으로 과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북·일 간 음악교류는 종국적 목표인 북·일 국교 정상화라는 정치적 이벤트에 앞서, 국가의 정치적의도에 따라 조응하는 분위기를 만들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인식과 관련 요인 연구

        하승희,소금빈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4

        배경 및 목적:단어의음운구조를알고조작할수있는능력을의미하는음운인식은초기읽기능력과강한상관관계를보인다. 음운인식은 아동의 연령뿐만 아니라 아동의 말·언어, 인지, 환경과 긴밀한 관계를 보이며 발달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인식과 말·언어, 인지,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음절과 음소 수준에서의 음운인식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인 1-3학년 아동 총 128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수용 및 표현어휘, 조음, 인지 영역에서의 검사를 실시하고, 아동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음운인식 과제에서 음절점수와 음소점수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고, APAC 원점수, REVT 수용 및 표현점수, K-CTONI-2 도형과제점수, 사회경제적 수준, 학년을 독립변수로 하여 상관분석과 단계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음절과 음소 수준 모두에서 음운인식은 APAC 원점수, REVT 수용과 표현점수, K-CTONI-2 도형과제점수 및 연령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음절 수준에서는 아동의 REVT 수용점수와 APAC 원점수가, 음소 수준에서는 REVT 표현점수, K-CTONI-2 도형과제점수와 학년이 음운인식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인식은수용및표현어휘력, 조음능력, 인지와밀접한관계를맺으며발달해나감을제시하고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