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계경일(東溪敬一)·월파태율(月波兌律) 소상팔경시 연구

        하성운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17세기에는 많은 선승들이 소상팔경시를 지었다. 그중에서 동계경일(東溪敬一)과월파태율(月波兌律)의 소상팔경시는 기존의 불교계 소상팔경과는 다른 독특한 작품이다. 선승들과의 관계 속에서 지은 작품이기보다 문인들과의 교유에서 그들의 소상팔경이 창작되었기 때문이다. 동계경일의 <次西湖八景韻>은 당시에 유행하던 서호팔경과 고려말부터 전승된소상팔경의 세계를 혼합하여 작품을 창작했다. 서호팔경에 차운하면서도 작품의 편제명은 소상팔경의 여덟 풍경으로 구성하여 그것의 풍경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遠浦歸帆>·<瀟湘夜雨>·<洞庭秋月>·<江天暮雪>에서는 전고와 용사를 활용하여시를 형상화하는 기법을 보여주는데, 풍경을 바라보는 시적화자의 심상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煙寺暮鍾>·<平沙落雁>·<漁村落照>·<山市晴嵐>에선 기존의 관습대로 소상팔경의 풍경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풍경마다 등장하는 자연물이나 다양한소재들은 자연의 한 부분으로, 풍경미를 자아내는 요소였다. 월파태율의 <次瀟湘八景韻>은 고려 때의 문인 이인로의 <宋迪八景圖>와 같은운자를 사용하였고, <瀟湘夜雨>를 <竹祠夜雨>로 한다든지, <煙寺暮鍾>을 <山寺 暮鍾>으로 하는 특징이 있다. <竹祠夜雨>·<遠浦歸帆>·<江天暮雪>·<漁村落照> 에서는 기존의 소상팔경 모티프를 그대로 수용하여 전개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월파태율의 작품은 동계경일과는 달리, 고사를 차용하지 않으면서 함축적으로 시상을 전개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그리고 <洞庭秋月>·<山寺暮鍾>·<平沙落雁>·<山 市晴嵐>에선 기존 문인들의 소살팔경과 유사한 심상을 보이지만 모티프를 변형시켜색다른 풍경을 자아냈다. 기본이 되는 중심 모티프는 유지하되, 작품에 드러난 묘사적 수법을 부분적으로 각색한 것이다. 소상팔경 풍경을 유지하면서 기발한 상상력이감도는 작품들을 창작하였다.

      • KCI등재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와 다층적 면모

        하성운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Goryeo's folk songs have a very diverse process of forming, and the poetic narrator in the works has various aspects. In this paper, the poetic speaker of Koryo was viewed as a dramatic figure known to wear a mask that distinguished him from the actual poet. Based on this, the poetic speaker of the Goryeo genus was examined, and the variability of the poetic speaker that occurs in the process was tracked.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aspects of the poet of Goryeo into monolithic and polyphonic cases. First, we looked at the works featuring a poet in the Goryeo folk song. Even if the same poetic speaker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ech methods and tones. On the other hand, works featuring several poetic speakers together had a different tendency than those of monophonic poetic speakers. In <(Goryeo)Cheoyonga>, several characters appeared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Narye ceremony of the wall photography scene, which kicked out evil spirits and blessed them, requiring a number of poetic speakers. <SeoKyung-byeolgok> is believed to have been sung by two poetic speakers, who appear to be male and female, while exchanging conversations. In <Ssanghwajeom>, many poetic speakers appeared in the Yeonhui space and exchanged words with songs. Most of the Goryeo folk songs featuring a large number of poetic speakers were sung in a space called theatrical Stage. We looked at the variability of poetic speakers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st-track lyrics. The poetical speaker of Goryeo's folk songs had one single voice or a number of multiple voices. Even if it was the same first-person poet's inner voice, each piece had a different way of speaking and a different tone. On the other hand, the poet and the narrator also experienced a chang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the Goryeo song was adapted into a system-friendly content. In the lyrics of the song, which was adapted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 poetic speaker was uniformly standardized and changed to a uniformly instructive voice. 고려속요는 본디 다기한 형성과정을 갖고 있고, 작품 속의 시적화자도 다양한 면모들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가요의 시적화자를 실제 시인과 구별되는 가면을쓰고 연출되는 극적 인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에 대한 면모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것이 선초에 개작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시적화자의 변동성에 대해 추적하였다. 본고에서는 고려속요 시적화자의 면모를 탐색하기 위해 단성적인 경우와 다성적인경우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먼저 고려속요 작품에서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같은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도 발화방식이나 어조 등에서 각각의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한 작품에서 여러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은 단성적인 시적화자의 경우와는 작품 성향이 달랐다. <(고려)처용가>에서는 악귀를 쫓아내고 복을 비는 벽사진경의 나례 의식에서 역할에 따라 여러 인물이 등장하면서 다수의 시적화자가 필요했다. <서경별곡>은 남녀로 보이는 2명의 시적화자가 대화를 주고받으며 가창된 것으로 판단된다. <쌍화점>에서는 연희 공간에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 노래로 말을 주고받는 형식이었다.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고려속요는 대부분 연희 무대라는 공간에서 불렸던 특징이 있었다. 선초 속악가사의 개작과 관련하여 시적화자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고려속요의시적화자는 1명의 단성적인 목소리가 나오거나 다수의 다성적인 목소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같은 일인칭 시적화자의 속요라 하더라도 작품마다 발화방식이나 어조가서로 달랐다. 반면에 조선초기에 고려속요를 체제 옹호적인 내용으로 개작하면서 시적화자도 변동을 겪게 된다. 선초에 고려속요가 개작된 속악가사에서는 시적화자가획일적으로 규범화되며 한결같이 교술적인 목소리로 바뀌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불교계의 소상팔경 작품 창작과 문학 세계

        하성운 한국언어문학회 2019 한국언어문학 Vol.111 No.-

        As far as Sosangpalgyeong of Korean Buddhism goes, not much is known beyond the work by Cheonbong Manwu from Sejong era. Thus, this article intends to discover new Sosangpalgyeong works of Korean Buddhism that has not been known so far, and organize and analyze them in overall context. The analysis of each individual work had to be postponed for another time. In overall context, Sosangpalgyeong of Korean Buddhism can be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is article has discovered 18 works by Woljeo Doahn (月渚道安, 1638~1715), 9 works by Seolahm Chubung (雪巖秋鵬, 1651~1706), 8 works by Donggye Gyeongil (東溪敬一, 1636~1695), 8 works by Wolpa Taeyul (月波兌律, 1695~?), 8 works by Euiryong Chehun (義龍體訓, circa 1822~circa 1895), and 1 work by Geummyeong Bojeong (錦溟寶鼎, 1861~1930). As the result, the Sosangpalgyeong poetry has been known to be 456 works by 62 authors, but at this time, it was expanded to 505 works by 69 persons. Moreover, Sosangpalgyeong of Korea has been considered exclusive to Confucian scholars. At this time, however, this discovery was able to confirm that Sosangpalgyeong in Korea had deep roots in Buddhism as well. The overview of the authors and works of Sosangpalgyeong of Joseon-era Buddhism is as follows. First, as for Sosangpalgyeong of early Joseon era, there is only Cheonbong Manwu (千峯 卍雨, 1357~?) who was active in Sejong era. He left 8 works of Sosangpalgyeong in the exchanges with Anpyeongdaegun and other Jiphyeonjeon scholars. His Sosangpalgyeong was made according to the order of works by Yeongjong of Namsong era, with poetry like a painting. And his work appeared Confucian rather than Buddhist. Most of Buddhist Sosanpalgyeong was made in the late Joseon era. First, Sosangpalgyeong was connected by teacher-student relations of Woljeo Doahn (月渚道安, 1638~1715), Seolahm Chubung (雪巖秋鵬, 1651~1706), and Heojeong Beopjong (虛靜 法宗, 1670~1733). Seolahm learned from Woljeo, and Heojeong learned from Woljeo and Seolahm. They all left Sosangpalgyeong poetry. Woljeo and Seolahm made 7律詩 with the same rhyming character, and Heojeong made 7絶句 with a different rhyming character. Woljeo Doahn (月渚 道安, 1638~1715) used the same rhyming character for each tense, leaving 2 works each, total of 16 works. Sosangpalgyeong of Woljeo all came from Confucian-Buddhist exchanges, and the poetic style was descriptive and transcendental. Seolahm Chubung (雪巖 秋鵬, 1651~1706) left 9 works following Sosangpalgyeong by Woljeo. Seolahm had the unworldly poetic style like Woljeo. The expression technique was descriptive like Woljeo, but had the characteristics of raising poetic esprit by using a lot of images. Heojeong Beopjong (虛靜 法宗, 1670~1733) was the student inheriting Woljeo and Seolahm, leaving 8 works of Sosangpalgyeong. He, however, did not follow the poetic cues of his teacher's Sosangpalgyeong, but created using other poetic cues while exchanging with Confucian scholars. His Sosangpalgyeong implicitly expressed the poetic subject, unlike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his teachers. Next, Donggye Gyeongil (東溪 敬一, 1636~1695), Wolpa Taeyul (月波 兌律, 1695~?), Euiryong Chehun (義龍 體訓, circa 1822 ~ circa 1895), and Geummyeong Bojeong (錦溟 寶鼎, 1861~1930) are Buddhist Sosangpalgyeong authors that has not been known so far. They were all Zennists who appears to have had exchanges with COnfucian scholars and made Sosangpalgyeong. They all had unique poetic styles. The 8 works of Sosangpalgyeong by Donggye Gyeongil from the late 17th century had a plain poetic style, and showed the tendency to formalize the work by using 典故 and 用事. The 8 works of Sosangpalgyeong by Wolpa Taeyul from the early 18th century had the novelty of attaching <Juksayawu> to <Sosangyawu>, and <Sansimojong> to <Yeonsamojong>. He had the characteristics of reproducing the scenery of Sosangpalgyeong by utilizing the imagery of vision ...

      • KCI등재

        손영모의 『가사집』과 새로운 가사 작품 5편에 대하여

        하성운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4

        The main article is a paper that explores and introduces five pieces of lyrics from the early 1910s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author is Son Young-mo, and the collection of lyrics contains <Hunsa>, <Deokdasan Wankyungga>, <Shushimga>, <Tanro>, and <Wanwolga>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f you look at the five pieces of the lyrics, the following is true. <Hunsa> is a kind of lesson lyrics that shows view that the reason and principles of all things in space are adapted to our human beings. It is said that we humans should be careful of what we say and do in everything we do, as we were born thanks to the spirit of everything and the grace of our parents. “Deokdasan Wankyungga” is a travel song about the author’s journey to Deokdaesan Mountain near Miryang.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include the road and the gate, it tends to focus on historical events or feng shui perspectives rather than scenery and scenery, and thus internal perspectives on objects are more likely. <Shushimga> is a kind of gyubang lyrics that contains the writer’s heart after breaking up with Lim by using a female speaker. Unlike the existing work, Son Young-mo’s “Shushimga” has a feature that captures the sorrowful depth of the poetic self with a lunar song style that sings to the end of the year’s twelve verses. “Tan-ro” is a kind of self-praise that regrets and laments the fleeting freedom of life through sanctions against old age and death. “Wanwolga” is considered a folk song that embodies all kinds of thoughts while looking at the full moon rising in the garden on the fifteenth day of July when the summer rainy season is ending.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초기에 나온 손영모의 『가사집』을 발굴하여 소개한 것이다. 손영모의 『가사집』에는 가사 작품인 <훈사(訓辭)라>·<덕산완경가(德大山玩景 歌)>·<슈심가(愁心歌)>·<탄로가(嘆老歌)>·<완월가(玩月歌)>가 순서로 적혀 있었다. 이들 가사는 <슈심가>에 1916년도에 지었다는 후기를 통해 작품들이 이 시기를 전후로 창작되었던 것으로 유추하였다. 손영모의 가사 작품 5편은 다른 작품과 노래명이겹치기도 하지만 새로운 내용의 작품들이다. <훈사(訓辭)라>는 송명 이학의 관점에서 우주 만물의 이치와 원리가 우리 인간에게그대로 조응된다고 보는 교훈가사의 일종이다. 작자에 의하면 우리 인간은 천지 만물의 정기와 부모님의 은덕에 힘입어 태어났는 바, 마음 수양과 언행을 경계하는 가사작품이다. <덕산완경가(德大山玩景歌)>는 작자가 밀양 인근에 있는 덕대산을 다녀온 내용을 형상화한 기행가사의 일종이다. 전체적으로 그곳의 경치와 풍경보다는 역사적 사건이나 풍수적 관점에서 내재적으로 대상을 투시하는 경향이 강한 작품이었다. <슈심가(愁心歌)>는 작품 끝에 병진년(1916) 5월 25일에 지었다고 유일하게 창작연대를 밝혀놓은 작품이다. 손영모의 <슈심가>는 여성화자를 내세워 임과의 이별 후에 느끼는 상심을 담고 있다. 그런데 그의 <슈심가>는 기존의 작품과 달리, 달거리 노래 형식으로 한해의 열두 절후에 맞춰서 시적 자아의 슬픔에 찬 수심을 담아내는 규방가사의 일종이다. <탄로가(嘆老歌)>는 늙음과 죽음을 제재로 덧없는 인생무상을 아쉬워하고 탄식하는 자탄가사의 일종이다. <완월가(玩月歌)>는 여름 장마가 끝나가는 7월 보름인 ‘백종일’에 동산에 떠오르는보름달을 바라보면서 온갖 상념을 형상화한 풍류가사이다.

      • KCI등재

        월저도안(月渚道安) 소상팔경의 시적 인식과 풍경

        하성운 동아인문학회 2023 동아인문학 Vol.62 No.-

        본고는 한국 불교계 소상팔경의 범주 설정과 그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에 속한다. 그동안 소상팔경 연구는 문인들이 지은 한시를 위주로 이루어졌고, 근래에 이르러서야 불교계의 소상팔경 작품이 발굴되었다. 그래서인지 불교계 소상팔경의 미학적 특질에 대한 탐구는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다. 문인들이 창작한 소상팔경과 어떠한 차별점을 지니는지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불교계 소상팔경의 작품 분석에 중점을 두면서도 문인들이 지은 소상팔경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에 필자가 눈여겨본 작품은 월저도안(月渚道安)의 소상팔경이다. 소상팔경의 불교계 유입이 본격적으로 발생한 17세기의 작품이자 불교계 소상팔경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어 수적으로 중요한 창작물이기 때문이다. 월저도안의 <次韻瀟湘八景>은 화자의 시선에 따라 펼쳐지는 상상적 미적 체험과 그것을 지각하는 풍경을 다채롭게 형상화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감각적 체험의 공간과 회화적 풍경, 대립적 세계의 시선과 이상적 풍경, 관습적 소재의 전형과 애상적 풍경이라는 유형을 설정하여 그것의 시적 인식과 의미 지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구가 불교계 소상팔경의 이해를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설암추붕(雪巖秋鵬) 소상팔경의 표현미학과 시적 지향

        하성운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4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out the expressive aesthetics and poetic orientation of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of Seolam Chubung. First of all, the creative process of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ljeo Doan and Heo Jeong Beopjong in the legal world such as Seolam Chubung. In addition,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of Seolam Chubung were compared with their works and considered. Among the Zen monks who created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in the 17th century, Seolam Chubung is connected to Woljeo Doan, Heo Jeongbeopjong, and four monks. Chubung received a prosthetic hand from Doan, and Beopjong heard a subtle meaning from Chubung and received approval. And if you look at their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you can see that Chubung and Beobong inherited doan’s works. Beopjong use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of Doan as it was, and Chubung created a poem by reciting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of his teacher Doan. Similar points were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work, but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of Chubung were characterized by shaping poetry using various images. The eight views from xiao and xiang rivers of Seolam Chubung showed the maximization of visual images and pictorial color in < > < > < >, the intersection and diversification of various images and gaze in < >1 < > < >, and the use of imaginary images and sensory spatial beauty in < > < >2 < >. Specifically, Seolam Chubung’s work also regarded nature as an object of empathy by expressing space using perspective and projecting landscape elements into the work or appropriately utilizing the image of light. It also created a sensuous space by using synesthetic images to present images, and created an imaginary landscape of the fresh world outside the real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