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휴자 안신의 禮說書 특징과 작품 세계

        하강진 동양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6 No.-

        오휴자 안신(1569~1648)은 예학에 관한 독특한 저술로 한국 예학의 성립 단계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리고 그가 지은 밀양의 다섯 현인에 대한 산문 기록과 시는 한국 유학의 계보를 파악하고 당시 지역사회의 동향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그의 예학과 작품 세계에 대해 처음 종합적인 고찰한 결과를 요약한다. 첫째, 오휴자는 부친과 예학 전문가인 재종숙부 안여경을 통해 가학을 전수했고, 이들을 연결고리로 삼아 사우의 범위와 지역을 확장했다. 둘째, 『가례부췌』는 임란으로 무너진 예학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중국과 우리나라의 예설을 광범위하게 섭렵해 1628년에 6권 분량으로 일차 완성했다. 이후 주석을 증보하거나 산삭해 오휴자의 생존 시 최종본은 8권 4책 형태의 필사본이었다. 셋째, 목판본 『가례부췌』 발간은 1758년 첫 시도되었으나 담당 주역의 타계로 중지되었고, 1788년경 목판본 저본이 완성되었으나 간행 담당자의 별세로 또 중단되었다. 결국 1899년에 이르러 후손들이 비로소 완성했으니 첫 간행을 시도한 지 140년만이었다. 넷째, 「오현전」은 예학을 통한 오휴자의 장소 사랑이 고을 인물의 현창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는 立傳을 통해 지역 사람들의 희미한 기억과 왜곡된 시선을 바로잡음으로써 그들의 인문 가치가 밀양인의 자부심으로 작동하기를 기대했다. 다섯째, 오휴자는 장소성이 짙은 문화 경관을 제재로 시를 지어 현재를 성찰하는 역사의식을 강조했고, 은거를 지향한 창작 경향성은 선비 정신의 실천과 후진 양성을 통해 세상이 바로잡히기를 바란 데서 비롯되었다. 끝으로 새로 발견한 시 두 편은 그의 작품 세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An-shin(1569~1648)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age of establishment of theory of Rituals in Korean, and his prose and poem are valuable data to understand the genealogy of studying in Korea and to learn about the trends of the community at that time. Below is the result of his first consideration of his art and the world of work. First, the “Garyebuchwe” was first completed in six volumes in 1628, following extensive examples from China and Korea in order to restore the order of the arts collapsed by the Imjin War(壬辰倭亂). Afterwards, the survivor's survivor by supplementing or shaping the tin was a manuscript version in the form of eight volumes and four books in 1628. Second, the publication of the woodblock version was first attempted in 1758, but it was stopped due to the death of the leading role, and in 1788, the woodblock version was completed, but it was also discontinued due to the death of the publishing staff. It was finally completed in 1899. Third, “Ohyeonjeon” is porthole of five person’s who would choose by the topophillia through his theory of rituals. He hoped that by correcting the faint memories and distorted gazes of the local people through his entry into the field, he expected their humanities to work with the identity of Miryang(密陽). Fourth, it emphasiz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reflecting on the present by building poems with cultural landscape as a sanction, and the creative tendency toward retirement originated from wishing for the world to be correcte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Scholar spirit and fostering backwards.

      • KCI등재
      • KCI등재
      • 李奎報 文學論의 形成 基底

        하강진 東西大學校 1997 동서논문집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ormative foundations of Lee Kyu-Bo's literary theory. His personal literary theory has originality in three respects, which are the subject, manner, and method of creative works. His literary theory is to lay stress on the writer's personality and the original expressions, and most of all, to pursue original language. Through this theory he tries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writing method which was full of imitation and rhetoric. I think that his personal literary theory is based on romantic elements and deep thoughts. His romanticism which is represented with his temperament of madness(狂) and tenacity(癖) is a resistant movement opposed to conventional literary tradition and a writer's uncritical consciousness. His pluralistic thoughts which are inclusiv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re a resistance to deny fixed ideas and unreasonable order. I conclude that his romantic temperament and trend of thought raise his original literary theory and work as formative foundations to produce a lot of works.

      • KCI등재

        <주봉전> 이본의 문헌 분석과 서사유형 탐색

        하강진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6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study of a different version(異本) of ‘Joobong-jeon’ using a philological method. Of the 50 works making up the different version, 5 were selected as reliable version(善本). Additionally, women created works from 1851 to the 1930s. The maximum length was 36,998 characters, and on average, around 19,000 characters were distributed. Three types of works were found after exploring the patterns of discourse variation based on the common narratives of the 50 works. First, “the basic common narrative” maintains the main flow of the common narrative. Second, the “common narrative expansion type”has greatly corrected the common narrative or ending. Third, a “common narrative transformation type” largely reflects a heterogeneous narrative discourse. Even if a work belongs to one of the three types, it was further discussed as belonging to a subcategory of that typ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the narrative discourse. The study and appreciation of the ancient manuscript novels start with a political interpretation of the text. Examining the historical trend, including the original text, which was not covered in this paper, remains a future task. 필사본 고소설의 연구와 감상은 텍스트의 정치한 분석에서 출발한다. 현전하는 「주봉전」 이본 82종 중 50종을 대상으로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해 선본(善 本)을 선정하고, 작품 유통의 성향과 이본 유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작품 규모와 서사담론 변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그중 원전 비평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34종을 입력했다. 이 결과, 서지 상태나 서사 담론의 완결성을 기준으로 이본 50종 중 5종을선본으로 선정했다. 그리고 장서각 33장본과 유사한 형태로 추정되는 「주봉전」 이 출현한 이후 19세기 말 이래 1930년대까지 여성들의 주도하에 농한기 때이본이 꾸준히 창작되었다. 이본들의 작품 분량은 국립중앙도서관 53장본이 최대이고, 글자수는 36,998자에 이른다. 작품 완결성을 전제로 최소 분량은 국립한글박물관의 32장본(한구0047)이나 34장본이다. 대략 17,000자이고, 원고지 120장 정도이다. 이본들 중 주로 1만 9천자 안팎의 작품들이 유통되었다. 이본 유형은 50종의 공통서사를 바탕으로 담론변이 양상을 탐색한 결과 세가지로 대별되었다. 첫째, 공통서사의 주요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공통서사 기본형’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의 14장본⋅23장본(기사년)⋅28장본 2종(무신년/임술년)⋅32장본(한구0047)⋅34장본⋅36장본(AR4346)⋅45장본⋅55장본, 율곡기념도서관의 25장본(신미년)⋅54장본(Y360331), 박순호 69장본, 하강진본 등이 있다. 둘째, 공통서사나 종결부를 대폭 첨삭한 ‘공통서사 확장형’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의 26장본⋅35장본(정유년)⋅70장본⋅40장본, 율곡기념도서관의54장본(Y345628)⋅30장본, 연세대 34장본, 장서각 35장본, 박순호 55장본, 강헌규본 등이 있다. 셋째, 이질적인 서사담론이 대거 반영된 ‘공통서사 변격형’ 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의 36장본(계사년)⋅58장본, 연세대 36장본, 장서각 33장본, 국립중앙도서관 53장본 등이 있다. 아울러 동일 유형에 속하는 이본 내의미세한 차이를 밝히고, 미완본이나 낙장본은 담론 특성에 따라 한 유형에 귀속함으로써 이본 계보를 따져보았다. 「주봉전」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이본들의 실증적 문헌 분석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한편, 본고에서 다루지 않은 이본까지 포함해 역사적 흐름을 살피는 일은 차후의 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