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방로 재해지도 제작을 위한 GIS 기법의 활용

        탁원준,전계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4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 집중호우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지적인 집중호우의 증가는 산지재해 발생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강원도지역의 경우 대부분이 급경사의 산악지로 구성되어 있어 산사태나 토석류의 피해가 커지고 횟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 국립공원 탐방로의 위험등급을 분석하기 위해 GIS 기법과 무한사면안정모형(SINMAP)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12개의 탐방로 중 가장위험한 구간은 4개 구간으로 분석되었다. Due to recent unusual climate change, heavy rainfall happen frequently in Korea. Local heavy rainfall increase the damage caused by the mountainous disasters. Especially, because the most area of Gangwon province is composed of the steep slope mountains, the damages by the debris flow or landsliding are more frequent and frequency has been in increased. In this study, we applied GIS method and the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SINMAP) to analyze the hazard class of the trail course at Seoraksan national park. Evaluate the results of 12 trails, the risk is very high hazard class is four trail course(No.4, No.6, No.8 and No.12).

      • GIS기법을 이용한 산사태재해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탁원준,전계원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국지성 호우로 최근 산지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규모가 커지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추세이다. 특히 2011년 7월 발생한 서울 우면산 산사태 및 토석류 재해, 춘천 천전리 토석류 재해 등과 같이 산지에서 발생하는 재해가 많은 인명피해를 동반함으로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기법을 활용하여 산사태 위험지수 표에 의한 통계적 기법과 결정론적 기법인 SINMAP 모형을 적용하여 산지재해 발생 위험지와 산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탐방로의 위험지역을 파악하고 등급화 하여 산지재해지도를 제작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Ultimate load and release time controllable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using a shape memory alloy actuator

        탁원준,이민수,김병규 대한기계학회 2011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5 No.5

        This paper describes a newly designed ultimate load and release time controllable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which is activated by a spring-type shape memory alloy (SMA) actuator. This device is comprised of a separation mechanism consisting of a deformation module, a blocker, the housing, two release springs and a spring-type SMA actuator. Through a theoretical approach, the ultimate load of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required force to deform the deform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eformation module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oretical results, the specifications of an SMA actuator to deform the deformation module are determined. In order to validate theoretical result, we manufactured a separation device which has a 1mm thickness of deformation module. Subsequently,the release time test, preload test, ultimate load test, and shock test are performed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release time with 30 W of power input is 55 sec. It actuates reliably under 150 N of preload and generates a maximum shock of -11.09 G when the diameter of the SMA wire is 1.75mm. The maximum ultimate-load for 1mm thickness of aluminum deformation module is 1,510N. Conclusively,satellite designers can select proper specification such as the ultimate load, shock level and release time according to satellite requirements by simpl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deformation module.

      • KCI등재

        소형 위성용 소형직류모터를 이용한 분리장치

        탁원준(Won Jun Tak),조재욱(Jae Uk Jo),이민수(Min Soo Lee),김병규(Byungkyu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10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8 No.8

        본 논문에서는 위성 본체에 장착된 탑제체를 위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비폭발식 분리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작동기로서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유성기어가 통합된 소형 직류모터를 채택하였다. 제안된 분리장치는 별도의 지그나 구조물 없이도 재장전이 용이 하도록 하였으며,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수월한 장점이 있다. 완성된 분리장치는 분리반응속도 측정시험, 최대분리가능하중 측정 시험, 최대발생충격 측정 시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고, 진동시험, 열진공 시험을 통하여 우주 환경에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개발된 인공위성용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통하여 그동안 사용되었던 폭발식 분리장치 등의 해외위성용 분리장치를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escribes development of a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which can be equipped on small satellites. The spur geared micro DC motor, which has high reliability and advantage of price, is adopted as an actuator. The proposed separation device has resettability and it does not need extra jig to reload. In addition, the simple structure makes it easy to fabricate and assemble.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evice, the response time tests, maximum preload tests and maximum shock level tests were performed. Also, through the vibration tests and thermal vacuum tests,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eparation device was shown in launching and space environments.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proposed separation device can replace the imported separation devices in near future.

      • 토석류 해석을 위한 RAMMS모형 적용

        탁원준,전계원,이호진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우리나라는 산지가 국토의 70%이상으로 토석류 등 지반 재해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2011년 7월 우면산 토석류, 춘천시 펜션 토석류 등 규모가 큰 토석류 재해가 일어나며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피해지역에 지상 LiDAR 스캔을 통하여 현장조사와 정밀도가 높은 지형자료를 생성 후 RAMMS모형을 사용하여 토석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과 유사한 매개변수 값을 산정하여 적용하여 토석류의 확산범위, 유동심, 이동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지역 퇴적부에서 토석류로 인한 피해범위 산정과 피해지역까지의 토석류의 도달시간을 산정할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값들은 추후 토석류 재해의 피해 범위 산정이나 산지재해지도 DB구축 등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 SWMM을 이용한 내수침수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인제읍 합강지구를 사례로 -

        탁원준,전계원,정태정,최종호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구와 산업시설의 집중으로 미개발 지역이 개발되어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출모형 SWMM을 이용해 인제읍 합강지구에 적용하였다. 합강지구는 태풍 ‘에위니아’로 인하여 2006년 7월 15일 08:00~13:00를 기준으로 약 154mm의 집중호우가 발생하며 하류부 부근 주거지에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침수피해 이후 2006년 수해복구시 배수시설이 정비된 지역으로 통수단면 확대에 따른 향후 배수기능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나 집중호우시에는 유역에서 상류부의 토석류 퇴적 및 발생에 영향에 따라 하수관거의 유입으로 인해 하류 BOX의 월류로 내수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SWMM을 이용하여 인제읍 합강지구의 빈도별 내수피해 위험성을 검토하고 실측강우에 의한 침수지역과 SWMM분석의 결과를 통해 비교·검토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인제읍 합강지구의 내수피해 저감계획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수목뿌리 형태에 따른 토석류 저감효과 분석 기초실험

        탁원준(Won Jun Tak),전계원(Kye Won Ju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산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인 토석류 재해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목의 여러 공학적 기능 중 뿌리가 가지는 사면안정에 관한 현상에 착안하여 ‘어떠한 형태의 뿌리가 토석류 저감에 더 효과적인가?’를 실험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목뿌리 모사모형을 제작하고 토석류 실험에 적용하여 발생하는 토석류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목을 활용한 실험에서 수목을 활용하지 않은 토석류발생 실험보다 더 적은 양의 토사량이 발생되었으며 천근성 수종의 모형보다 심근성 수종의 모형이 저감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형태의 모사모형에서는 가지근의 개수가 많은 형태가 더 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forms of roots a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debris flow?` based on the tree roots` function of slope stability among their engineering functions to reduce disasters from debris flow, which is one of disasters taking place in mountainous area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de simulated models of tree roots and compared debris flow taking place in simulated debris flow experiments. As the result, it turned out that experiments using trees had less debris flow than the ones without trees and the model with deep-rooted tree species had better reduction effect than the one with shallow-rooted tree species. In addition, in a same simulated trees miniature model, the form with more root branches had better reduction effect than the one with less root bran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