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과학지도 수업을 통해 나타난 예비 보육교사의 과학에 관한 인식

        추수진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현장수업연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science that pre-service teachers that were revealed after taking children’s science guidance classes.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30 to November 29, 2019. A total of 58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t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analyzed the content of narrativ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was perceived as familiar that can be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Familiar images through direct experience were meant to become familiar with science through real experiences. Second, science was perceived as easy and fun. It was noted that the individual’s thoughts changed through the children’s science guidance classes. Third, science was recognized as it could be learned through play with various materials and activities being linked with other play areas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following field-based classes. Preparatory childcare teachers should conduct theoretical lectures and practice in parallel to form positive attitudes toward science education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 training process. It was also emphasized that it was important for them to have practical experiences of sc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보육교사가 아동과학지도 수업을 들은 후에 나타나는 과학에 관한 인식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 30일부터 11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예비교사 총 58명으로 서술형 응답 내용을 분석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친숙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직접 경험을 통한 친숙한 이미지는 실제 경험을 통해 과학과 친숙해질 수 있다는 느낌을 받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과학은 쉽고 재미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것은 아동과학지도 수업을 통해 변화된 개인의 생각을 의미한다. 셋째, 과학은 놀이를 통해 습득 가능한 것, 다양한 재료로 놀이와 활동을 하고, 타 놀이 영역과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인식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현장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예비 보육교사는 양성과정을 통해 학습한 내용으로 과학교육에 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론 강의와 실습을 병행해야 한다. 또한 과학 체험을 실제적으로 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전공 선택 동기와 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 탐색

        추수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학교와 수업 연구 Vol.9 No.1

        This study explored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motivations for choosing a major and their role expectations for childcare teachers, and targeted 12 first-year childcare teachers. A total of 20 meaningful phrases were analyzed as reasons for choosing the child care department. 30% said they liked children, 15% had volunteer experience at an infant/toddler-related institution, and 10% said they cared for younger siblings with an age difference (including caring for a friend's younger sibling). Regarding role expectations for childcare teachers, a total of 10 meaningful words and phrases were analyzed, with the most common being protection at 33.3%, education at 16.7%, interaction at 12.5%, balanced development, and play at 8.3% each. Other results such as being a quick teacher, listening, acknowledging individual differences, guardian, and good influ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words and phrases,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pressed as meaningful units or large units of information considered topics, and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could be expressed as a total of five topics as follows. First, my love for children. Second, it was found that volunteer work at institutions related to infants and toddlers, taking care of a younger sibling with a much older age difference, and the experience of taking care of a friend's younger sibling were motivations that influenced the choice of major. Third, the outlook for childcare teachers as a profession.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 choice was made with a firm will, such as friendship with the disabled and confidence in being able to love children. Lastly, the most passive form of choice was making choices that had nothing to do with one's will, such as grades or parental recommendations. The results of the role expectations of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education and protection. Second, he is a teacher who is good at interacting. Third, it is a teacher who promotes development in various areas through play.

      • KCI등재후보

        만2세반 자유놀이시간에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난 영아의 수학적 경험

        추수진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9 교육발전 Vol.39 No.1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wo years old is mathematically experiencing freedom play tim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eaning of infant mathematics education. Participants were age 2 years old 7 infants and participants were child care 1 teacher. The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it appeared that teachers approached naturally through play, but participated by teacher's plan. Second, it was found that it appeared in unintentional natural situations. Third, it helps to expand the mathematical experience and to form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of the infants. Fourth, mathematical Classification concepts appeared in the daily routine. Finally, mathematics learning emerged while using his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infants and mathematical experiences in infants' play. 본 연구는 만 2세반 영아가 자유놀이시간을 통해 어떻게 수학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영아 수학교육의 의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A어린이집 만 2세반 7명의 영아 및 담임교사이며, 연구를 위해 2017년 1월 2일부터 1월 26일까지 총 4주 동안 다양한 자료 수집 및 관찰이 이루어졌으며,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사의 상호작용 내용은 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내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교사 상호작용에 따른 영아의 수학적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접근하지만, 교사의 계획에 의해 참여하게 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수학적 경험은 의도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상황 속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아가 활동한 결과물을 통해 수학적 경험을 확장하고, 수학적 개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수학적 개념은 일과 속에서 정리 시간에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학적 경험은 자신의 신체를 활용하면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만 2세반 영아의 경우 교사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수학적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보육 실습 현장에서 실습생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보람

        추수진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9 교육발전 Vol.39 No.2

        In this study,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four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childcare practice.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data collection from November 1, 2018 to November 30, 2018. Four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method used phenomenological interview approach. The results showed positive(rewards) and negative experiences(difficulties). The positive side experiences are as follows. First, I become a teacher and experience day care and how to operate. Second, it is time to learn teaching method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ird, it is the reinforcement of self - confidence as a pre - service teacher through the feedback of the teacher of the daycare teacher. Experience from the negative side is as follows. First, it is a difficulty with high expectation of apprentice. Second, it is a difficulty in emotional labor.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als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ogether with the college students thoughts. It is suggested that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analyze the voices of the child care practice teacher and the professors. 본 연구는 4명의 보육 실습 경험을 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8년 11월 1일 부터 11월 30일까지 심층 면담 및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총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방법은 현상학적 면담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보육 실습 경험을 통해 긍정적 의미(보람)에서의 보육 실습과 부정적 의미(어려움)에서의 측면 두 가지로 나타났다. 긍정적 측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되어 어린이집 일과와 운영방법 경험하기이다. 둘째, 다양한 경험을 통해 교수 방법을 배우는 시간이다. 셋째, 보육 실습 지도교사의 피드백을 통한 자신감 강화이다. 부정적 측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에 대한 높은 기대치에 관한 어려움이다. 둘째, 감정노동에서의 어려움이다. 본 연구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함께 다루어보면서 실습생의 생각을 담아 고찰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보육 실습 지도교사, 보육 실습을 지도하는 대학교수의 목소리를 함께 담아 분석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 예비 보육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교수모형 개발 및 적용

        추수진(Su Jin Choo) 교과와 교과서학회 2024 교과와교과서연구 Vol.4 No.1

        예비 보육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교수모형 개발 및 적용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학습의 효율성 제고와 교수모형을 통한 수업의 질을 개선하여 예비 보육교사의 직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온/오프라인 수업을 통하여 수업에 관한 학습자가 수업에 관한 결과 성취도 및 학습자 만족도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학습자의 수업을 통한 결과 성취도 측면에서 수업계획안에 관한 피드백은 실습을 포함하여 교사가 되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며, 피드백에 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 학습 수준이 적절하였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피드백은 도움이 되었지만, 팀별 활동보다는 개별 활동이 좋다는 의견이 소수인 것을 감안할 때 팀별과 개별 활동을 균형 있게 조절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했다는 것에 주목할 만하다.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blended learning teaching model for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was implement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lear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through the teaching model to strengthen the job competency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I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online/offline classes, learners about classes were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results in terms of class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First, in terms of the learner achievement through class, the dominant opinion was that the feedback on the lesson plan would be helpful even after becoming a teacher, including practice, and it was found that feedback was evaluated positively. Second, in terms of learning satisfaction,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level of learning was appropriate. However, while the feedback was helpful, it is noteworthy that it suggested the need to balance team and individual activities, given that only a minority of opinions favored individual activities rather than team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가시연꽃 종자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

        추수진 ( Soo-jin Choo ),김영희 ( Young-hee Kim ),류인자 ( In-ja Ryoo ),허광화 ( Guang-hua Xu ),유익동 ( Ick-dong Yoo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4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천연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가시연꽃의 종자 추출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시연꽃 종자의 추출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 등의 기법을 실시하여 순수하게 정제된 화합물 5종을 획득하였다. 각종 NMR 및 MS 스펙트럼 등을 분석하여 이들의 화학구조를 규명한 결과 fucosterol (1), 3-(4-hydroxy-3-methoxybenzyl)-4-[(7'R),5'-dihydroxy-3'-methoxybenzyl]tetrahydrofuran (2), resorcinol (3), pyrogallol (4) and 4-Omethyl gallic acid (5)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각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미백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자유라디칼소거활성은 SC<sub>50</sub> 값이 17.0 ∼ 100.2 μM이었고, 특히 화합물 4 및 5는 양성대조구인 ferulic acid보다 6배 이상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엘라 스타아제 저해활성에 대한 IC<sub>50</sub> 값은 18.8 ∼ 78.2 μM로써 특히 화합물 4는 양성대조구인 EGCG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에 대해 화합물 3은 양성대조구인 arbutin보다 약 2배이상 강력한 미백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시연꽃 종자 추출물은 강력한 항산화활성,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및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므로, 복합 기능성을 나타내는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ur search for the natural cosmetic ingredients, we found that Euryale ferox seed extract exhibited the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Five act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extract through various chromatographic methods and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NMR and MS spectral analysis.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fucosterol (1), 3-(4-hydroxy-3-methoxybenzyl)-4-[(7'R),5'-dihydroxy-3'-methoxybenzyl]tetrahydrofuran (2), resorcinol (3), pyrogallol (4) and 4-O-methylgallicacid (5).We evaluated the antioxidative, antielastase activities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of these compounds. The SC<sup>50</sup> values of compounds 2 ∼ 5 fo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17.0 ∼ 100.2 μM and especially compounds 4 and 5 were 6-fold more effective than ferulic acid as a positive control. And compounds 2 ∼ 4 inhibited human neutrophil elastase with IC<sub>50</sub> values of 18.8 ∼ 78.2 μM and compound 3 also inhibite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with an IC<sub>50</sub> value of 492.8 μM. These results suggest that Euryale ferox extract having a lot of various active ingredients may be useful as a natural multi-functioning agent.

      • 패러디 그림책에 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추수진(Choo Su-Ji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8 교육발전 Vol.38 No.1

        본 연구는 다소 생소한 개념으로 다가오는 패러디 그림책에 관한 만 5세 유아들의 반응을 통해 패러디 그림책의 가치를 발견하고자 연구가 수행되어졌다. 집중 관찰된 대상은 비교적 패러디 그림책에 관심과 흥미를 보이고 활동에 몰입했던 남아 3명, 여아 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 5세에 적합한 패러디 그림책을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3월 18일부터 4월 22일까지 총 6주 동안 주 2회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2018년 3월 2일부터 3월 23일까지 이미 분석하여 정리한 연구결과를 반복하여 읽으며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결과 패러디 그림책에 관한 유아의 반응은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창의적으로 꾸미기(연행적 반응), 자신의 경험을 삶과 연결하기(개인적 반응), 이야기 세계에 들어가 놀이 세계로 깊이 빠져 들기(동화된 반응)의 세 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over the value of parody picture books through the reaction of five years old Young children s about parody picture books. Three boys, and Three girls. In this study, a parody picture book suitable five years old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data collection period has been studi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6 weeks from March 18, 2013 to April 22, 2013. As a result, the child s reaction to the parody picture book appeared in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parody picture books have educational value as well as emotional pleasure.

      • 좋은 교사와 좋은 수업에 관한 예비 보육교사의 인식

        추수진(Su Jin Choo)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 보육교사로서의 좋은 수업과 좋은 교사에 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보며, 향후 보육교사가 되었을 때 좋은 교육적 가치관을 예비교사에게 심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참여자는 A대학 여대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좋은 교사와 좋은 수업에 관한 예비 보육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연구로 양적통계 및 질적연구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jamovi 1.6.23으로 분석한 결과 좋은 교사로 사용한 단어는 따뜻함(6.3%), 사랑(5.4%), 친절(4.6%), 경청(4.6%), 존중(4.2%)순으로 나타났다. 좋은 수업과 관련한 단어는 총 47개의 단어로 나타났으며, 중복 단어를 포함하여 151개의 단어로 표현하였다. 좋은 수업으로 나타난 단어는 즐거운(5.9%), 웃음이 넘치는(5.9%), 협동(5.9%), 영유아중심(5.3%), 흥미 있는(5.3%), 창의성(4.6%)으로 나타났다. 좋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서술형 응답 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총 3개의 내용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째, 좋은 인성을 가진 교사이다. 둘째, 사랑과 행복감을 주는 교사이다. 셋째, 상호작용을 잘하는 교사이다. 좋은 수업의 인식에 관한 서술형 응답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총 3개의 내용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째, 안전이 최고인 수업이다. 둘째, 영유아중심, 놀이 중심의 수업이다. 셋째, 상호작용이 원활한 수업이다. 좋은 교사와 좋은 수업에 관한 예비 보육교사의 인식을 통해 예비 보육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 및 태도와 관련된 생각과 좋은 수업을 위해 가치를 두고 있는 내용에 관해 알 수 있었기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tried to concentrate on good classes and good teachers as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and conducted the research with the expectation that good educational values could be implanted in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the futur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4 college students. Quantitative statist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teachers and good classes. As a result of analyzing by jamovi 1.6.23, the most frequent words used as good teachers were warm-heart (6.3%), love (5.4%), kindness (4.6%), listening attentively (4.6%), and respect (4.2%). A total of 47 words related to good classes were expressed, and 151 words including duplicate words were expressed. The words that appeared as a good class were pleasant (5.9%), full of laughter (5.9%), cooperative (5.9%), early young children-centered (5.3%), interesting (5.3%), and creativity (4.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scriptive responses on the perception of good teachers, it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three categories. First, a teacher with good character. Second, a teacher who gives love and happiness. Third, a good interactive teach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scriptive responses on the perception of good classes, it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three categories. First, a class where safety is paramount. Second, an early young children-centered, play-centered class. Third, an interactive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was able to learn about the ideas related to the qualities and attitudes to be possessed as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contents that are valued for good teaching through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teacher and good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