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저탄소정책 형성과정을 둘러싼 행위자간 정책네트워크 분석

        최해옥(CHOI, Ha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2 도시 행정 학보 Vol.25 No.4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olicy network among actors of Lowcarbon in China local government. China government initiated to adjust climate and energy-related projects based on the low-carbon paradigm to implement the policy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t focused on the ‘initial provincial correspondance strategies’ that are top-down planning process, still lacking the governan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formation of low-carbon policy in China examined the strategy of Chinese government to correspond with the international institutions. It imply the low-carbon enactment is not the matter of individual government but overpassing global society. As a implication from the policy network analysis, it confirmed that the lowcarbon aspect need governance system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policy integration ranging from international institution to local government.

      • KCI등재
      • KCI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과학기술정책 이행점검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선호도에 관한 연구

        최해옥(HaeOk Choi) 한국기술혁신학회 2024 기술혁신학회지 Vol.27 No.3

        이 연구는 과학기술 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행점검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선호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정책 이행점검체계 구축을 위한 주요한 작동 기제를 파악하고, 어느 부분에 정책적 선호도가 있는지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학습기능과 점검결과의 공개가 이행 점검 과정에서 정책적 선호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행점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기능과 정책 활용 부분을 강화해야 한다. 이행점검 성과 측정 결과보다는 과정상 필요한 제도적 지원요소로서 ‘학습기능’과 ‘점검결과 공개’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과학기술이행점검 과정 상 절차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특히 정성적 의견수렴에 집중해야 한다. 구체적인 대안으로서 의견수렴에 있어 ‘정성적’ 방식의 강화가 요구되며, 이러한 방법 구상은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참여 뿐만아니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관련 방법론이 고안되어야 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분야의 특수성을 감안한 과학기술정책 이행점검체계의 향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과학기술정책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by analyzing policy preferences for implementation inspection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inspection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for learning functions and disclosure of inspection results is important in inspecting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nd this indicates that it must be strengthened as a necessary institutional support element in the implementation inspection process. Firs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inspection, the learning function and policy utilization must be strengthene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eded for ‘learning function’ and ‘disclosure of inspection results’ as institutional support elements necessary for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of performance inspection performance measurement.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collect diverse opinions to secure procedural legitimacy dur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implementation inspection process, and in particular, focus should be placed on collecting qualitative opinions. As a concrete alternative, the strengthening of ‘qualitative’ methods in collecting opinions is required, and the design of such methods suggests that related methodologies should be design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experts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This study seeks to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and clarifying key elements of policy implementation inspection.

      • KCI등재

        규제자유특구 운영 및 관리상 나타나는 이해관계자들의 미시적 갈등구조 분석

        최해옥 ( Haeok Choi ),이광호 ( Kwangho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1 中小企業硏究 Vol.43 No.4

        이 연구는 규제자유특구 운영 및 관리 상 핵심 이해관계자들의 미시적 갈등구조를 분석하여 관리 및 운영상 제도적 보완사항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규제자유특구 의 제도 운영 및 관리상 참여한 주체들을 대상으로 인식차이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개정과 관련된 안전성 검토를 위해 사전검토의견 제시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관리체계 이슈에 있어 복잡한 사전준비단계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사후관리 이슈에 있어 지역혁신생태계에 유인 구조로서 사후 연구시설 장비에 관한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향후 Q방법을 활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미시적인 정책수요 파악 과정을 제도적으로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means that it analyzed the conflict structure of key stakeholders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Regulation Free Zon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afety review related to the amendment of the law, the process of presenting a preliminary review opinion is additionally required. Second,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needed for the complicated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in the management system issue. Third, there is the issue of whether to provide an incentive structure to the local innovation ecosystem or to leave it to the autonomy of the participating companies and guarantee the choice in the post-management issu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suggests a method to systematically prepare a micro-policy demand identification proces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using the Q method.

      • KCI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갈등구조 분석

        최해옥(HaeOk Choi)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6

        규제 샌드박스와 같은 혁신적인 제도의 안착을 위해서는 초기 도입과정에서 불확실성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이해당사자간 미시적 갈등구조 분석을 통해 실효성 향상을 위한 제도적 보완사항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규제 샌드박스 제도 구축에 있어 단기적인 성과, 즉 제도 운영에 있어 상시적 운영이나 기업의 홍보 등 정부주도의 제도 운영과 가시적 파급효과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기적으로 규제 샌드박스 제도는 기업이 얻을 수 있는 부차적인 효과를 고려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규제 샌드박스는 제도 추진 과정상 절차적 합리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민참여형 의견수렴창구 개설 등 수요자 중심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향후 혁신적인 제도 도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저감하고, 규제 관리 상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위한 수요 파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이해관계자 갈등 관련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In order to establish an innovative policy such as a regulatory sandbox,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compensate for uncertainty in the initial introduction process is needed. This study suggested institutional supplements to improve effectiveness by analyzing the micro-conflict structure between stakeholders in the regulatory sandbox using the Q methodolog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hort-term performance of establishing the regulatory sandbox was focused on the government-led system operation and visible ripple effects such as regular operation or corporate promotion. In the long term, the regulatory sandbox requires policy support in consideration of the secondary effects that companies can obtain. Lastly, the regulatory sandbox needs demand-oriente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such as opening a citizen-participating, in order to maintain procedural rationalit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ystem. In the future, it should be used to reduce the uncertainty that arise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 innovative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akeholders and to identify the policy demand for improvement in terms of regulatory management.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도권 지식집약산업 네트워크의 기관들간 연계 구조 및 공간적 특성 분석

        최해옥(CHOI Ha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2 도시 행정 학보 Vol.25 No.3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knowledge-intensive industry of digital contents in the context of network linkage between out-direction and indirection. This research prob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ith the multi-facets such as centrality index and group density,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 changed from early 2000 to late 2010 by social network analysis(SNA) utilizing Big Data. First, with the statistical data of joint research for digital contents, this research evaluates spatial distribution and agglomeration characteristics in Korea. Next, the group of density and centrality explain wit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 evolution in time series. Considered the government policy and strategy providing as a result of establishing regional innovation strengthen cooperation among industryuniversity-research center indulging network linkage in Capital area in the late of 2000.

      • KCI등재

        민간자율규제로서 RE100 제도도입 과정의 정책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최해옥(CHOI, Ha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21 도시 행정 학보 Vol.34 No.2

        이 연구는 국외에서 민간자율규제로 시작된 RE100이 국내에서 제도화되고 있는 과정을 모니터링 함으로서, 향후 정책우선순위 선정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생에너지 관련 국가제도 이슈에서, 국내 RE100이 제도화 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녹색프리미엄제도가 RE100이 추구하는 초기 의도와 부합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에너지관련 글로컬 이슈는, 글로벌 RE100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민간 에너지 활성화 제도마련을 통해 유인 구조를 제공해 주는 방안이 필요이다. 셋째, ESG관련 기업이슈는, RE100과 관련된 인증 및 사후관리체계에 대한 명확한 기준설정 및 감시체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RE100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국내 초기 정책형성 단계에서 주요 이슈파악과 대응 전략수립의 정책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urpose for monitoring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RE100, which started as a private self-regulation in abroad, and to use it as a reference for selecting policy prioriti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ssue of the national system related to renewable energy, it is necessary to sufficiently discuss whether the green premium system created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ing the domestic RE100 is consistent with the initial intention pursued by the RE100. Second, for energy-related glocal issues, in order to respond to the global RE100,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centive stru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rivate energy revitalization system. Third, for ESG-related corporate issues, it was confirmed that a clear standard setting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RE100-related certification and follow-up management system was necessary. This study, as a basic study on RE100, was attempted to identify key issues in the early stages of domestic policy formation and to identify policy prio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