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환경소송과 임시구제수단

        최준규(Choi Joon-kyu) 한국법학원 2018 저스티스 Vol.- No.164

        이 글에서는 환경손해에 실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임시구제수단(민사가처분, 행정소송법상 집행정지)을 어떻게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해석론과 입법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 글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손해에 대한 임시구제수단은 유연하고 적극적으로 발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해석론). ① 법원은 신청인에게 회복불가능한 손해의 발생 위험성이 크다면, 본안에서의 승소가능성이 높지 않더라도 임시구제수단을 발령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또한 법원은 신청인의 담보제공을 조건으로 임시구제수단을 적극 발령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채무자가 민사가처분을 위반한 경우 집행법원은 환경피해자의 신속 적정한 권리보호를 위해 강제집행 방법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임시구제수단의 유연하고 적극적 발령이 반드시 사법적극주의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법원은 환경피해자의 이익과 대립되는 공익도 무겁게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법리에 의지하여 환경손해를 충분히 예방 전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미래세대의 손해, 환경자체에 대한 손해를 민법상 손해로 포착하기 어렵고, 인과관계 등이 인정되지 않아 환경피해자가 충분히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임시구제수단의 발령요건은 이러한 민사책임법의 법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현행법상 임시구제수단은 환경손해에 대한 충분한 대비책이 되기 어렵다. 나아가 임시구제 수단에 대한 임시구제수단의 미비로 인해, 임시구제수단 발령 전에 이미 신청인은 회복불가능한 환경손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경단체소송 도입(임시구제수단 포함), 임시구제수단에 대한 임시구제수단의 도입 등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입법론). This article analyzes how to design and implement ① ‘preliminary injunction in Civil Execution Act’ and ② ‘suspension of execution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for the effective prevention of the environmental harm.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make flexible and affirmative use of preliminary remedy for the environmental harm(de lege lata). ① The court should be able to grant a preliminary injunction to prevent the applicant’s serious irreparable environmental harm, though the likelihood of success on the merits is not so high. ② The court should be able to actively grant a preliminary injunction on the condition that the applicant provides the security deposit for the future loss of the opposite party. ③ When the opponent violates the court’s preliminary order, the execution court should be able to use flexible methods of civil execution for the quick and appropriate protection of the applicant(= the victim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owever, the flexible and positive attitude of the court does not always result in the judicial activism, because the court should also take the public interests of the opposite site seriously. Second, environmental loss can not be recovered sufficiently under the current tort-law. Under the current civil law, the harm to the future generations or the environment itself can not be the loss that is protected by civil liability for damages. And failing in proving the causation, plaintiffs may not be compensated for their environmental damages. Current preliminary remedies are based on the these tort-law doctrines. So, they can not be the efficient tools against the environmental damages. Moreover under the current preliminary remedy system, irreparable environmental harm can already occur before the court’s temporary order. So, it is necessary to amend or enact the law for solving these problems. Introducing the environmental public litigation(including public preliminary remedy) and, making another simplified temporary remedy system applied before the court grants a preliminary injunction, may be desirable alternatives(de lege ferenda).

      • KCI우수등재

        금전의 이동(移動)과 물권적청구권 -가치 소유권 및 의제신탁으로부터의 시사-

        최준규 ( Joon Kyu Choi ) 법조협회 2009 法曹 Vol.58 No.11

        In Korean civil law, it is widely accepted that, when the possession over money passes on, the ownership also transfers. This rule can well explain an ordinary function of money as a payment device, but it cannot be a grand theory applied in every situation concerning the transfer of money. It is necessary to characterize various cases, balance the interests of three concerned parties - ① previous owner, ② current (or quasi) owner, ③ the creditor of current (or quasi) owner, - and accordingly set up different rules. When it comes to ``cash consignment``, whether the ownership over money passes on or not depends on the consignor`s will. And a thief does not have ownership over the stolen money(``cash``). When it comes to ``money in a bank``, it is desirable to divide three different cases. First, when one transfers his own money in a bank to another voluntarily or aceepts that his own money is kept in other`s bank account, in principle the ownership over the money also passes on to the transferee and the previous owner does not have priority over that money in a bank. Second, when one transfers his own money in a bank to another by mistake, the previous owner does not have the proprietary right over that money in a bank, too. But it is advisable to reform the laws for the protection of the previous owner. Third, when money in a bank has appeared or has been transferred through the wrongful acquisition, it is desirable to admit the proprietary right over that money - Wertvindikation - to the previous owner as if he were constructive trustor, so far as that money in a bank can be specified. But if we accept “Wertvindikation” directly in Korean civil law, it can conflict with established legal theories about the enforcement of obligatory right. And it is not clear whether it is desirable to admit the proprietary right in all wrongful acquisition cases. So,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previous owner by legislation or another judicial measures.

      • KCI등재
      • KCI등재

        채권양도계약의 해제와 채무자 보호

        최준규(Choi Joon kyu) 한국법학원 2016 저스티스 Vol.- No.156

        이 글에서는 민법 제452조의 해석론을 살펴본 뒤, 채권양도계약이 취소, 해제, 해지, 합의해제, 합의해지된 경우 민법 제452조를 유추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검토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법 제452조는 양도통지 자체에 흠이 없고, 채권양도인이 대내외적으로 처음부터 권리자인 상황을 전제로 한 조항이다. 둘째, 채권양도계약이 취소, 해제, 해지된 경우 채권양도인은 대내외적으로 처음부터 또는 해지시점부터 권리자이다. 따라서 민법 제452조 제1, 2항이 모두 유추되어야 한다. 제2항이 유추되므로 채권양수인의 동의없는 채권양도인의 권리행사에 대하여 채무자는 이행을 거절할 수 있다. 셋째, 해제나 해지사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채권양도계약이 합의해제나 합의해지된 경우 채권의 재양도와 문제상황이 동일하다. 따라서 채권양도인은 재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어야만 대외적으로 권리자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민법 제452조는 유추될 수 없다. 넷째, 입법론으로는 민법 제452조 제2항을 삭제함이 타당하다. 권리자의 정당한 이행청구에 대하여 의무자의 거절권을 인정할 합리적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거절권을 인정한다면 악의의 채무자를 과보호하게 된다. 또한 거절권을 인정하지 않더라도 선의의 채무자 보호에 부족함은 없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대차계약 종료 후 임차인의 목적물 계속점유와 실질적 이득 - 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8다240424(본소), 240431(반소) 판결 -

        최준규(Choi Joon Kyu) 한국법학원 2019 저스티스 Vol.- No.174

        대상판결은, 임대차계약 종료 후 임차인이 임차건물 부분을 계속 점유하기는 하였으나 이를 본래의 임대차계약상 목적에 따라 사용·수익하지 아니하여 실질적 이득을 얻은 바 없는 경우 임차인의 부당이득반환의무는 성립하지 않고, 임차인이 자신의 시설물을 반출하지 않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부당이득반환의무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필자는 대상판결의 결론자체에는 찬성한다. 그러나 대상판결이 언급한 실질적 이득론은 아래와 같이 재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임대차종료 후 임차인은 임차목적물을 임대인에게 반환할 의무가 있다. 목적물을 반환하지 않고 있는 임차인은 그 목적물을 사용·수익하지 않고 단순 점유하는 경우에도 임대인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의무를 부담한다. 임대인은 임대차계약에 따라 임차인에게 사용·수익 가능성을 급부한 것이므로, 임대차계약이 종료하면 임차인은 사용·수익 가능성을 급부부당이득으로 반환함이 원칙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원칙명제는 제한될 수 있다. 임차인의 목적물반환의무와 임대인의 보증금지급의무 사이에 동시이행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동시이행항변권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항상 사용·수익 가능성을 급부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한다면, 임차인에게 일방적으로 불리하다는 점에서 불공평하고, 임차목적물이 신속하게 다른 사람에 의해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다. 다만 동시이행항변권의 존재는 실질적 이득론을 적용하기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임차인이 목적물을 단순 점유하거나 소극적·부수적으로 사용·수익하는 것이 보증금을 반환받기 위한 방편이라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경우에 비로소, 임차인은 임대인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칙명제로 돌아가 임차인은 –설령 목적물을 실질적으로 사용·수익하지 않더라도 - 부당이득반환의무를 부담해야 한다.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240424, 240431 decided November 29, 2018 said that, “if the lessee continues to occupy the leased premise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lease contract but has not substantially benefited from the premise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lease contract, the lessee is not obliged to return the unjust enrichment to the lessor, and the lessee is not obliged to return the unjust enrichment either when he left his facilities in the leased object.” I think such legal doctrine of the Supreme Court (“The Doctrine of Substantial Profit”) should be reconstructed as follows. After termination of the lease contract, the lessee is obliged to return the leased object to the lessor. The lessee who occupies or uses the leased premise without just cause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lease contract should also return the unjust enrichment to the lessor even if the lessee simply occupies the object without using or benefiting from it. Since the lessor performs and gives the possibility of use and profit of the leased object to the lessee according to the lease contract, the lessee in principle should return such possibility of use and profit as the enrichment obtained by lessor’s performance without legal cause(= Leistungskondiktion) when the lease contract is terminated.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ncipal proposition can be modified in certain circumstances, when there is a simultaneous fulfill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ssee’s obligation to return the leased object and the lessor’s obligation to return the deposit for lease. If the lessee under the simultaneous fulfillment relationship should always return the unjust enrichment regardless of his actual profit from the leased object, it is unfair because the lessor need not return the interests from the principal(the deposit money), and the lessee who occupies the leased object in order to get the deposit back can not help suffer losses unilaterally. In this case, the lessor who has sufficient deposit may not actively demand a return of the leased premise to the lessee, because the lessor can easily get the profit from the deposit, and as a result the leased object may be left un-used or under-used being occupied by the lessee for a while. It is inefficient in that the leased object cannot be utilized by other suitable parties quickly. The existence of a simultaneous fulfillment relationship is a necessary condition, but not a sufficient condition to apply the Doctrine of Substantial Profit. Only if we can evaluate objectively that the lessee is occupying the leased object, or benefiting from it just passively and incidentally in order to get the deposit back, then the lessee does not bear the obligation to return the unjust enrichment. Unless these requirements are met, the lessee should return the unjust enrichment to the lessor although the lessee simply occupies the object without using or benefiting from it.

      • KCI등재

        유류분과 기여분의 관계

        최준규(Choi Joon Kyu)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2

        이 글에서는 우리 민법상 유류분과 기여분의 관계에 관하여 해석론상 제기되는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검토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여분액이 확정된 경우, 유류분산정의 기초재산에서 기여분은 공제되어야 한다. 기여분은 기여상속인의 기여에 상응하는 대가이므로, 유류분산정의 기초재산에서 제외되는 것이 타당하다. 기여분을 공제함으로써, 유류분반환의무자가 부당한 부담을 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둘째, 유류분권자가 기여상속인인 경우, 유류분부족액은 확정된 기여분만큼 가산되어야 한다. 기여분은 기여상속인의 기여에 대한 정당한 대가이다. 기여를 했다는 이유로 인해 기여분권자의 유류분권이 감소되는 것은 역차별로서 공평하지 않다. 기여분을 가산함으로써 유류분반환의무자가 부당하게 의무를 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셋째, 기여의 대가로 증여나 유증이 이루어졌고 상속재산이 없는 등의 이유로 가정법원이 기여분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류분반환소송을 담당하는 민사법원이 기여 액수를 산정해 이를 유류분 산정시 고려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기여상속인이 기여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기여분과 유류분의 관계를 위와 같이 보면, 기여분으로 인해 유류분이 실질적으로 침해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기여분을 공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류분액이 줄어들 수도 있지만, 기여분이 포함된 만큼 더 많은 유류분을 인정하는 것이 오히려 문제이다. 결과적으로 유류분은 유증에 앞서고, 유증은 기여분에 앞서게 되며, 유류분, 유증, 기여분 사이의 모순·순환관계는 발생하지 않는다. This article examines several problem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ced heir’s reserve and the heir’s contributory portion.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contributory portion is already determined through the heirs’ agreement or the decision of Family Court, that portion should be deducted from “the base estate of forced reserve”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forced reserve. The contributory portion is a just compensation in return for the heir’s contribution to the inheritance estate. Also the heir’s contributory portion itself is not subject to the claim of the forced reserv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educt the contributory portion from the base estate of forced reserve. By doing so, the obligator who should return the forced reserve does not bear the unjust and excessive burden originating from the contributory portion. Second, when the contributory heir also has the claim for the forced reserve, his contributory portion should be added in calculating his forced reserve. It is unjust that the obligator is relieved of his duty amounting to the heir’s contributory portion, because the heir’s contributory portion is a fair return for the heir’s expenses. By doing so, the obligator who should return the forced reserve can not enjoy the unexpected gain. Third, when a testamentary gift or inter-vivos gift is a reward for the heir’s contribution to the inheritance estate, but the contributory portion can not be allowed by Family Court for the some reasons, then Civil Court should be allowed to calculate the heir’s actual contribution and take it into account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forced reserve. By doing so, the contributory heir can be assured of his fair portion. Fourth, if we take these three tactics, the trilemma about the forced reserve, testamentary gift, contributory portion will cease to exist.

      • KCI등재

        다수당사자 사이에서의 부인권 행사 - 지급지시 및 제3자의 변제 사례를 중심으로 -

        최준규 ( Choi Joon-kyu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대학교 法學 Vol.59 No.2

        이 글에서는 A가 B의 지급지시에 따라 C에게 출연하거나, 제3자 변제의 방식으로 B에 대한 채권자 C에게 출연하였는데, A 또는 B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된 경우 부인권 행사의 법률관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주로 검토한 쟁점은 ① 누구에 대하여 무엇을 대상으로 부인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②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상 어떠한 종류의 부인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③ 문제된 행위가 채무자의 일반채권자를 해하는 행위인지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지, ④ 부인권 행사의 효과는 어떻게 되는지이다. 검토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지시에 따른 자기채무 변제 목적 출연 사안(Anweisung auf Schuld)에서 채무자(B)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된 경우, 사해성의 핵심은 B의 C에 대한 편파변제에 있다. 따라서 채무자의 제3자(A)에 대한 채권이 압류금지채권인 경우에도 사해성이 인정될 수 있다. 또한 채권자 C는 원칙적으로 받은 것 자체 또는 그 가액을 B에게 반환해야 한다. 2. 지시에 따른 타인채무 변제 목적 출연 사안(Anweisung auf Kredit)에서 채무자(B)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된 경우, 원칙적으로 편파변제의 사해성을 긍정해야 한다. 다만 편파변제의 상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부인권을 행사할 수 없다. 3. 지급지시에 따른 출연 사안에서 채무자(B)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된 경우, 제3자의 출연(A)에 따른 채권자(C)에 대한 변제는 본지급여로 봄이 타당하다. 4. 제3자(A)가 제3자 변제의 방식으로 채권자(C)에게 출연한 후 채무자(B)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된 경우, 채무자의 채권이 제3자에게 양도된 경우와 이익상황이 동일하므로, 채무자의 관리인은 원칙적으로 부인권을 행사할 수 없다. 5. 지시에 따른 자기채무 변제 목적 출연 사안(Anweisung auf Schuld)에서 제3자(A)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된 경우, 채권자(C)에게 고의부인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는 전득자에 대한 부인권 행사요건을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 6. 지시에 따른 타인채무 변제 목적 출연 사안(Anweisung auf Kredit)에서 제3자(A)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된 경우, 채권자(C)에게 무상행위 부인권을 행사할 수 있으려면, 출연자인 제3자뿐만 아니라 출연을 받은 채권자의 관점에서도 제3자의 출연이 무상행위에 해당해야 한다. 7. 파산관재인의 제3자성을 인정하는 우리법 하에서는 부인상대방이 도산한 경우, 부인권자에게 부인대상에 대한 우선권을 인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부인권자의 원상회복채권은 파산(회생)채권으로 보아야 한다. In diesem Aufsatz beschaftigt sich der Verfasser mit den insolvenzanfechtungsrechtlichen Probleme in Mehrpersonenverhaltnissen. Die hier zu behandelnden Dreieckverhaltnisse sind ① Zahlung an dem Glaubiger(C) mit Tilgungswirkung im Verhaltnis zum Schuldner(B) aufgrund einer Anweisung (Anweisung auf Schuld), ② Zahlung an dem Glaubiger ohne Tilgung einer eigenen Schuld aufgrund einer Anweisung (Anweisung auf Kredit), ③ Drittzahlung an dem Glaubiger. In diesem Aufsatz untersucht wird die insolvenzanfechtungsrechtliche Behandlung von diesen Dreipersonenverhaltnissen, im Fall ① der ausschließlichen Insolvenz des Schuldners, ② der Insolvenz des Dritten(A), ③ der Doppelinsolvenz von Schuldner und Dritten. Die zentralen Anliegen dieses Aufsatzes ist es ① festzulegen den Anfechtungsgegenstand und den Anfechtungsgegner, ② herauszuarbeiten, auf welcher Rechtsgrundlage und unter welchen Voraussetzungen die Rechshandlungen der Insolvenzanfechtung unterliegen, und ③ zu erklaren den Rechtserfolg der Insolvenzanfechung in Mehrpersonenverhaltnissen. Die wesentlichen Ergebnisse der Untersuchungen lassen sich wie folgt formulieren. 1. Im Fall der Anweisung auf Schuld & der Insolvenz des Schuldners, liegt eine Glaubigerbenachteiligung in der Bevorzugung bestimmter Glaubiger(C) vor anderen Insolvenzglaubigern durch Erfullung seiner Forderung. Deshalb kann eine Glaubigerbenachteiligung begrundet werden, wenn es sich auch um eine unpfandbare Forderung handelt im Deckungsverhaltnis(A-B). Und im Prinzip hat der Glaubiger(C) das Erhaltene oder dessen Wertersatz an die Masse herauszugeben. 2. Im Fall der Anweisung auf Kredit & der Insolvenz des Schuldners, ist eine Glaubigerbenachteiligung zu bejahen, außer dass es angemessen und ublich nach der Gesellschaftsordnung zu erfullen die Forderung eines bestimmtes Glaubigers(C) ist. 3. Im Fall der Tilgung einer fremden Schuld aufgrund einer Anweisung (Anweisung auf Schuld oder Anweisung auf Kredit) & der Insolvenz des Schuldners, ist eine Dritttilgung im Grundsatz als eine kongruente Deckung anzusehen. 4. Im Fall der Drittzahlung & der Insolvenz des Schuldners, ist eine Glaubigerbenachteiligung im Grundsatz zu verneinen, weil die Situation einer unanfechtbaren Abtretung der Insolvenzforderung vergleichbar ist. 5. Im Fall der Anweisung auf Schuld & der Insolvenz des Dritten, ist eine Vorsatzanfechtung gegenuber dem Glaubiger moglich. Aber ist eine Direkt-vorsatzanfechung zuzulassen unter den Voraussetzung des Anfechtung gegen den Rechtsnachfolger. 6. Im Fall der Anweisung auf Kredit & der Insolvenz des Dritten, ist eine Unentgeltlichkeitsanfechtung gegenuber dem Glaubiger nur moglich, wenn der Glaubiger die durch die Zahlung getilgte Forderung gegen den Schuldner unentgeltlich erlangt hat. 7. Im Fall der Anweisung auf Schuld & der Doppelinsolvenz, kann dem Dritten gegen den Schuldner Anfechtungsanspruche zustehen. Aber ist die haftungsrechtliche Vorrang des Insolvenzverwalter des Dritten gegenuber dem Insolvenzverwalter des Schuldner grundsatzlich nicht zu bejahen, weil im koreanischen Recht der Insolvenzverwalter des Schuldner nicht als Gesamtrechtsnachfolger des Schuldner, sondern als Dritter anzusehen ist. Deshalb kann der Insolvenzverwalter des Dritten gegen den insolventen Schuldner die zugewendete Gegenstand nicht aussondern. Und ist der Ruckgewahranspruch des Verwalter des Dritten gegenuber dem insolventen Schuldner nicht als Masseforderung sondern als Insolvenzforderung anzuse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