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 가능한 신북방 정책을 위한 중국 동북3성 중심의 해상운송 여건 분석연구

        최정환(Junghwan Choi),임상섭(Sangseop L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4

        중국의 동북3성(헤이룽장성, 요녕성, 지린성)은 우리나라 신북방정책의 유라시아 복합 물류망 구축을 위한 횡단열차 건설 및 북한과의 무역이 가능한 지역으로, 지리적, 지정학적 및 지경학적 중요성이 크다. 운송학적 관점에서 동북3성은 황해권 국가인 한국-중국-북한 간 해상운송이 가능한 지역이며, 복합운송의 형태로 동북3성을 거쳐 유라시아 및 유럽까지 물품 운송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신북방정책 연계 중국 동북3성과의 협력 및 우호관계 증진을 통한 물류 거점 지역 확보 필요성을 언급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중국 동북3성과의 교역 현황 및 해상물동량을 분석하고, 해상운송 활성화 및 물류거점 확보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정책적 제언으로 물류 허브 구축을 위한 항만 공동운영, 항만 인프라 공동건설, 해운사 공동운영을 제안하고자 하며, 문화적 협력 및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인적교류 확대로 한국-중국 간의 해상운송여객사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hinese thre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 Heilongjiang, Liaoning, and Jilin - hold significant geographical, geopolitical, and commercial importance due to their location allowing for cross-border trade and transportation with North Korea. These provinces are crucial for establishing a complex Eurasian logistics network in line with South Koreas new northern policy. The Chinese thre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as this region is known, boasts excellent maritime transportation links between South Korea, China, and North Korea, making it an logistics hub for transporting goods to Eurasia and Europe through multimodal transpor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ecuring a logistics hub area by fostering cooperation and friendly relations with Chinas thre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which are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New Northern Policy. In particular, the study aims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trade with these region and freight volume transported by ships and recommend political advice for securing logistics hub and revitalizing maritime transport. As the policy suggestion,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logistics hub by implementing joint port operations, constructing port infrastructure jointly, and operating shipping companies together. Additionally, we propose ways to revitalize the maritime passenger transport business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involves expanding cultural exchanges and developing content.

      • KCI등재

        산음 자연휴양림의 이용객 만족도 평가와 시설ㆍ관리 개선방안

        최정환(Choi, Junghwan),최민호(Choi, Minho),문가현(Moon, Ga Hyun),엄미란(Oum, Mee Ran),김기원(Kim, Ki Weo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산음자연휴양림의 이용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항목을 평가하여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용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항목은 관련문헌을 통해 자연자원 평가항목과 시설관리 평가항목으로 구분하여 각각 9개, 15개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24개 항목을 9명으로 구성된 산림휴양 분야 전문가를 활용하여 2014년 11월 15일 현장 평가하였다. 평가자는 세부항목 평가와 함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고, 이를 추후 개선방안 제안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세부항목은 10점 만점이며, 평가기준은 우수, 양호, 보통, 미흡의 4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균 8.6 이상은 우수, 7.1 ~ 8.5는 양호, 6.0 ~ 7.0은 보통, 6.0미만은 미흡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연자원 분야에서는, 조용함/평온함(9.0), 맑은 공기(9.0), 계곡의 수량 및 수질(8.8)은 평균 8.8 ~ 9.0으로 우수, 자연경관의 수려함(8.2), 자연의 소리(8.3), 산책로 자연성(8.0), 식물의 다양성(7.1)은 평균 7.1 ~ 8.3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야생동물의 다양성은 6.4로 보통, 조망지점은 5.9로 미흡의 평가를 받았다. 시설 및 관리 분야에서는, 숙박시설(8.8), 휴양림 청결(8.6)은 우수, 주차시설(7.4), 야영시설(8.1), 위생시설(7.8)은 양호하게 나타났다. 접근성(6.9), 휴게시설(6.3), 체육시설(6.6), 산림휴양 및 교육 프로그램(6.2)은 보통, 예약편리성(5.3), 진입로 정비(5.0), 등산로/산책로 관리(5.6), 안내·표식 체계(5.0), 자연환경 교육시설(5.3) 등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음자연휴양림은 조용함/평온함(9.0), 맑은 공기(9.0), 계곡의 수량 및 수질(8.8), 숙박시설(8.8), 휴양림 청결(8.6)이 우수한 곳이므로 이들 인자를 치유의 숲이란 장점을 살려 잘 활용하여야 한다. 조망지점(5.9), 진입로 정비(5.0), 등산로/산책로 관리(5.6), 안내·표식 체계(5.0), 자연환경 교육시설(5.3) 등은 보완하여야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a proposal of some improvement measures to enh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evaluating the visitor’s satisfaction of Saneum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which were investigated and synthesized through related literatures, are divided into the natural resource part and the facility and management part, and both have 9 details, 15 details respectively. These 24 details were evaluated by 9 professionalists of forest recreation at Saneum natural recreation forest on November 15th 2014. The valuers had to mark each item on the basis of 10 points and describe their opinions by way of reference for improvement proposal. The score results of details are graded ‘very good’ with score more than 8.6 points, ‘good’ with score between 7.1 and 8.5, ‘midium’ with score between 6.0 and 7.0, and ‘bad’ with score under 6.0 points. In the field of natural resource, the items like calmness/peacefulness(9.0), clean air(9.0), stream condition(8.8) are ranked as very good. Wonderfulness of natural landscape(8.2), natural sound(8.3), natural trail(8.0), vegetation diversity(7.1) ranked as good, but, wildlife diversity(6.4) ranked as midium, and visual point ranked as bad. In the field of facility and management, accommodation(8.8) and cleanliness(8.6) are ranked as very good, and parking lot(7.4), camping site(8.1), sanitary conditions(7.8) are ranked as good. Accessibility(6.9), rest facility(6.3), sport facility(6.6), and forest recreation program(6.2) are ranked as midium, but easier reservation(5.3), approach ramp(5.0), trails(5.6), signs(5.0), and natural education facilities(5.3) are under 6.0 points, so ranked as bad. Saneum natural recreation forest is a very good site with high points in calmness(9.0), clean air(9.0), stream condition(8.8), accommodation(8.8) and cleanliness(8.6). It has to be made the best use of these merits, while it is here also the healing forest. Visual points(5.9), approach ramp(5.0), trails(5.6), signs(5.0), and natural education facilities(5.3) have to be supplemented more usefully.

      • KCI등재

        3축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의 주행 상황 인식 기술 개발

        최정환(JungHwan Choi),양윤석(YoonSeok Yang),유문호(MunHo Ru)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8 No.6

        자전거는 자동차와 달리 사용자인 탑승자가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주변 날씨 대기 주행 경로 등에 관한 정보를 자동차 보다 오히려 폭넓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자전거는 인간의 힘을 동력으로 사용하므로 도로의 경사 굴곡 노면상태와 같은 주행 경로의 특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면 최적 경로 추정 등을 통해 이동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정보 서비스와 함께 개발되는 각종 자전거용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러한 지능형 자전거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 개발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저전력 손목 시계형 임베디드 장치를 자전거에 간단히 장착하고 여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주행 상황 (오르막 내리막 정지 가·감속) 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개발된 알고리듬의 신뢰성을 검사하기 위해 총 19 개의 실험 주행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전체 실험 데이터의 83.3% 에서 95% 이상의 구간 인식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임베디드 장치에 내장된 고도 센서 온도 센서를 추가로 활용하여 탑승자의 신체 상태 및 운동 추정이 가능한 지능형 자전거를 개발할 계획이다. 개발된 주행 상황 인식 기술은 주행 중의 안전을 고려한 지능형 인터페이스 기술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bicycle is different from vehicles in the structure that a rider is fully expos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it needs to make use of prior information about local weather air quality trail road condition. Moreover since it depends on human power for moving it should acquire route property such as hill slope winding and road surface to improve its efficiency in everyday use. Recent mobile applications which are to be used during bicycle riding let us aware of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intelligent bicycl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iding state (up-hill down-hill accelerating braking) recognition algorithm using a low-power wrist watch type embedded system which has 3-axis accelerome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developed algorithm was applied to 19 experimental riding data and showed more than 95% of correct recognition over 83.3% of the total dataset. The altitude and temperature sensor also in the embedded system mounted on the bicycle is being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 The developed riding state recognition algorithm is expected to be a platform technology for intelligent bicycle interface system.

      • KCI등재

        Assessment of Chinas Policies Regarding Grain Import and Export

        Junghwan Choi(최정환),Sangseop Lim(임상섭)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12

        이 논문은 우리나라 대외 무역 및 곡물 수입 안정화 정책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국의 곡물 수출입 관련 법 제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대외무역법」에 근거한 중국의 대외무역제도는 대외무역관리기관에 대한 권한 위임의 범위와 책임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는 「대외무역법」과 그 시행령 및 관리규정에서 대외무역관리 의 권한 위임에 대한 범위와 책임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만, 중국의 개정 「대외무역법」에서는 대외무역관리에 대한 권한 위임이 명확하게 명시되지 않아 지방정부나 기타 행정기관의 자의적 판단에 의한 개입의 여지가 있다. 전반적으로 중국의 곡물 수출입 관련 법 제도는 WTO 규정에 부합하는 제도적 틀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법률 또는 법규의 모호성과 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합리성과 투명하지 않은 절차 등은 유의해야 하는 항목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향후 중국과의 교역 과정에서의 발생할 수 있는 불합리한 상황에 대한 사전 예방 중요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egal framework governing the import and export of grain in China, a pivotal factor in shaping policies aimed at stabilizing South Koreas foreign trade and grain import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observed that Chinas foreign trade system, governed by the Foreign Trade Act, exhibits a notable absence of clear delineation regarding the scope and responsibility for the delegation of authority to foreign trade management agencies. In contrast, Koreas Foreign Trade Law, along with its enforcement decree and management regulations, explicitly outlines the scope and responsibilities pertaining to the delegation of authority to foreign trade management. However, in the case of Chinas revised Foreign Trade Law, there exists a lack of precision in specifying the delegation of authority to foreign trade management. This creates a potential for discretionary intervention by local governments or other administrative bodies. While Chinas legal system concerning grain imports and exports aligns with WTO regulations in its institutional framework, attention is warranted due to the vagueness in laws or regulations, as well as the presence of irrational and non-transparent procedures during system operation. As conclusion remarks, while Chinas legal structure related to grain imports and exports conforms to WTO guidelines overall, the identified issues such as legal ambiguity and non-transparent procedures underscore the need for caution. To safeguard against potential challenges in future trade interactions with China, proactive measures are crucial to address these concerns.

      • 1D/3D를 연계한 중소형 트럭 엔진룸의 냉각성능에 관한 해석적 고찰

        최정환(Jeonghwan Choi),김민호(Minho Kim),박종찬(Jongchan Park),임정환(Junghwan L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Recently, the automakers pay attention to new diesel engine technologies such as cooled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and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to meet the emission regulations. Since these additional components for EGR, SCR cause the increase of heat rejection rate in engine, it leads into a new cooling system design to meet the cooling performance. In this study, 1D and 3D simulation have been performed simultaneously to visualize the cooling air flow field in an engine compartment and to obtain the information for adjustment of the 1D network model.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1D network simulation in the initial design stage is studied to find out its validity and limitation in cooling module desig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vehicle test and the 3D CFD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found out that the 10 network model can efficiently predict reliable results at the early design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