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최정은(Choi Jung 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4

        매튜 비로는 그의 저서『다다사이보그』에서 사이보그가 베를린 다다의 실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주장한다. 그의 연구에서는, 베를린 다다의 포토몽타쥬에서부터 "뉴맨"의 구상까지 현대적 사이보그이론의 영향력 안에서 재고된다. 사이보그의 개념과 베를린 다다를 연결시키면서 파괴적이고 무정부적으로만 여겨졌던 베를린 다다의 건설적인 측면을 재발견 했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비로가 다다의 실행들을 현대 사회의 사회문화적 관념들이 함축된 사이보그의 개념 안에서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동안, 그의 연구에서 다다의 당대적 개입과 사회적 실행들은 주목받지 못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베를린 다다 예술가들과 현 시대의 퍼포먼스 예술가 (올랑과 스텔락)들의 작업들을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예술적 실행에 다르게 드러나는 사이보그 이미지들을 비교 대조하려고 한다. 특히, 이 연구는 라울 하우스만의 구상과, 하나회크의 포토몽타쥬에서 드러난 "뉴맨"의 개념과, 그들의 혼성적이라기 보다는 분열되어있고, 갈등상황에 놓여진 근대적 인간을 표현하는 방법들을 살펴본다. 베를린 다다이스트들의 다양한 실행을 관통하는 "갈등"은 그들의 바이마르 공화국에 대한 경멸과, 전후 사회의 혼란의 반영이다. 현대의 사이보그 이론이 인간의 신체를 차이들이 결합하여 자아를 구성하는 제3의 공간으로 규정하는 데에 반하여, 베를린 다다의 실행에서 나타나는 분열된 자아는 자아와 타자 (사회적 권력등) 사이의 갈등의 유지를 인간 의식 구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나타낸다. 이 논문은 또한 베를린 다다이스트들과 현 시대의 사이보그적 실행들이 기술에 대하여 취하는 다른 입장들을 논의한다. 이러한 여정을 통해서, 이 연구는 각각의 실행에서 드러난 혼성성은 작가들의 당대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인간 정체성의 다른 관점들을 체현한다고 제안한다. In his book The Dada Cyborg, Matthew Biro argues that the cyborg played a central role in many important Dada productions in Berlin. From photomontage to envisioning the "New Man," the practices of the Berlin Dadaists are examined under the shadow of contemporary cyborg theories, particularly those of Donna J. Haraway. Biro's attempt to rediscover a constructive side of Berlin Dada by linking its practices to the notion of the cyborg has contributed a new scholarly approach to existing scholarship on Berlin Dada, which had previously been labeled as deconstructive and nihilistic. However, while he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of Dada practices under the notion of the cyborg, which is fully embedded within present-day complex social and cultural connotations, he fails to invite us to look at Dada's engagement with its own time and social practices. This paper, thus, will carefully analyze practices of Berlin Dadaists and contemporary performance artists (e.g., Orlan and Stelarc) to compare and contrast the notions of human identity represented in their practices.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Raoul Hausmann's notion of the New Man, as well as in photomontages made by Hanna Höch, and the ways in which they represent a modern man whose identity remains fragmented and conflicted rather than hybridized. The conflict that penetrates Berlin Dadaists' various practices reflects their condemnation of the Weimar Republic and the chaos of the post-war period. While contemporary cyborg theory regards the body as the third space in which differences are interlaced together to construct the idea of the self as in a perpetual state of becoming, the fragmented identity represented in Berlin Dada's practices hold on to the struggle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e.g., social authority) as an integral part of constructing one's consciousness. The paper also addresses different attitudes toward technology in the Berlin Dadaists' practices and contemporary Cyborgian practices. Through these explorations, the study suggests that hybridity, which is represented in each practice, indeed embodies different perspectives on human identity that reflect certain ideologies of the artists' own time.

      • KCI등재

        중학생의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메타인지와의 관련성

        최정인 ( Jung In Choi ),여성희 ( Sung Hee Yeau ),심규철 ( Kew Cheol Shim ),소금현 ( Keum Hyun S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중학생의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떻게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경기도에 위치한 남녀공학 중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메타인지 수준을 조사하고,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메타인지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과학 학습 환경의 인식 수준에 따른 메타인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 학생일수록 메타인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학습 환경 하위 영역별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실생활 과의 관련성``, ``탐구``, ``자율적 참여``,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교사의 지원`` 등 모든 하위 영역에 대해 과학 학습 환경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메타인지가 더 높았다. 따라서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메타 인지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meta-cognition. Subjects were 231 boys and girls in a middle school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aningful correlation statistically were found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meta-cognition(p<.01). The highest level of correlation was reported between ``Personal relevance``, ``Science inquiry`` and meta-cognition(p<.01). Second, the upper group students who perceived positively about ``Personal relevance``, ``Science inquiry``, ``Autonomous participa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Teacher Support`` scored higher in meta-cognition than middle group and lower group students(p<.01).

      • KCI등재
      • KCI등재

        실효적인 아동학대방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도적 방안에 대한 연구

        최정일(Choi, Jung il)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72 No.-

        2011년 울산 아동학대 사망 사건, 2013년 칠곡 아동학대 사망 사건, 2015년 인천 11살 피학대아동 탈출 사건, 2016년 부천 초등생 시신훼손 사건, 2016년 부천 여중생 학대사망사건, 2016년 평택 원영이 사건, 2017년 고준희양 학대사망사건 등 일련의 잔혹한 아동 학대 사건들은 우리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주고 있다. 효과적인 아동학대 방지를 위해서는 그 전제로서, 아동을 자신의 소유물로 인식하거나 아동을 인권의 주체가 아닌 단순한 보호의 객체로만 바라보았던 종래의 사회적 인식이 전환될 필요가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함께 아동학대의 조기발견 - 학대행위자 처벌(또는 보호처분) 및 피해아동의 보호 - 피해아동에 대한 육체적·심리적 치료와 재범방지를 위한 학대행위자의 치료 병행 - 피해아동의 원만한 원 가정 복귀’로 이어지는 실효성이 담보되는 법제도적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오늘날 줄어들지 않는 가정 내의 아동학대사건을 고려하면, 현행 아동학대특례법상 절차적 규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학대행위자의 치료적 처우 방안(치료사법적 대응 방안)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특히 새로운 치료적 처우 방안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두 방향의 통합적 대응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첫째, 학대행위자(부모)의 학대 성향을 제거(약화)하는 다양한 치료사법적 대응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피해아동서비스와 학대행위자(부모)에 대한 조치가 상호 연계되는 통합적 대응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아동보호전문기관, 수사기관, 법원, 지방자치단체, 학교 등 아동교육기관, 지역공동체, 종교단체를 망라하는 우리 사회 전체가 유기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통합적 대응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2011 Ulsan Child Abuse Death Case, 2013 Chilgok Child Abuse Death Case, 2015 Incheon 11th Child Abduction Child Escape Case, 2016 Bucheon Elementary School Corruption Case, 2016 Bucheon Girls Abuse Death Case, 2016 Pyeongtaek Won Young Case, 2017 Go jun Hee Yang case, The cruel child abuse cases have a great impact on our society. In order to prevent effective abuse of children, it is natural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ventional social consciousness, which sees the child as his own property or sees the child as an object of mere protection, not the subject of human rights. In addition, early detection of child abuse – punishment(protection disposition) on abusive person, protection of the abused child -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eatment of the victim child and treatment of the abusive person to prevent recidivism – Amicable Returning the victim to home. to ensure the subsequent effective system of legal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child abuse cases that are not shrinking today, the current child abuse special law requires a reorganization of the procedural provisions, along with a new approach to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abusive person(Therapeutic Jurisprudence Countermeasures). In particular, a two-way integrated response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to support new therapeutic treatment options. First, a variety of Therapeutic Jurisprudence Countermeasure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liminate(weaken) the abusive tendencies of abusive actors(parents). To this end, we should establish an integrated response system in which services for victimized children and measures against abusers (parents) are interconnected. Second, an integrated respons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can organically coordinate the entire Korean society, including child protection institutions, investigative agencies, courts, local governments, schools for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l communitie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 KCI등재

        Toward 21st-Century Media

        Jung Choi(최정은) 현대미술사학회 2016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9

        본 연구는 21세기 미디어의 가능성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이끌어내는 미술사 내에서의 공간에 대한 비평적 실천들과 이론을 분석한다. 미디어는 더 이상 과거의 경험을 기록, 저장,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으로부터의 피드백과 행동을 야기하는 즉각적 상호연결을 위한 기반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21세기 미디어의 기능은 신체가 기술적 매개를 통해 외재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20세기 후반의 예술적 작업들에서 이미 예측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상호관계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가능성과 측면들을 감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신체, 기술 그리고 공간의 변화하는 관계들을 실험하는 예술적 실천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신체를 언제나 보다 넓은 기술적 환경에 포함되어 있는 상호의존적인 주체성의 조건으로서 재구성함으로써 동시대의 주요한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도전들과 연계시켜 고려하게 된다. This paper off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 variety of critical spatial practic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in art history that help us understand more fully the potential of 21st-century media. Since the passing of the 1980s and 1990s when the intertwined themes of occularcentrism and immaterialism were central to new media studies, there has been a dramatic return to materialism and digital embodiment which I see as a moment of the reevaluation of the human body and its relation to technology. With the later emergence of ubiquitous computing that is seamlessly integrated into our environment, the focus given to the human body has been further extended to the technological milieu that grounds bodily implication. Media no longer serve to record, store, and transmit past experiences but instead operate as platforms for instantaneous action-facilitating interconnection with and feedback from the environment. These operations of 21st-century media were anticipated in a range of late 20th-century artistic practices in which the body underwent a certain level of exteriorization through technological medi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artistic practices that experimented with the shif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human body, technology, and space, playing with diverse possibilities of the interrelations and making their dimensions sensible. In so doing, it attends to major contemporary philosophical and aesthetic challenges by reframing the body as the locus of subjectivity that is always implicated in, thus interdependent upon, broader technological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2030세대의 통일관과 안보의식

        최정일(Choi Jung - il)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19 사회융합연구 Vol.3 No.3

        2030세대는 기성세대의 안보의식 강화라는 목소리에 무관심과 거부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남한이 북한식 사회주의국가에 편입되는 것을 바라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들은 전쟁의 참혹함을 경험해 보지 못하였으며 그들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은 역사교과서에서나 배우는 이미 지나버린 과거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전쟁일 뿐이다.‘한반도에서 다시 전쟁이 일어날 일이 없다’는 막연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2030세대의 안보의식의 부재와 무관심은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에 대한 맹신과 정부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지금 세계적으로 가장 야만적이고 호전적인 정권과 휴전선을 경계로 대치하고 있다. 과거 군사독재정권에 의해 왜곡되고 변질된 반공정책(즉 민주인사나 무고한 시민을 빨갱이로 몰아가는 마녀사냥)에 대한 거부감은 2030세대의 안보의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젊은 세대들의 정부에 대한 불신은 아직까지 남아있고, 이는 왜곡된 안보의식과 안보 무관심을 초래하였다. 북한에 대해 강경노선을 주장하는 모든 사람을‘수구보수세력’, 북한에 대해 햇볕정책을 주장하는 모든 사람을‘친북좌파세력’으로 매도하는 식의 정치적 편향성은 사회적 갈등과 혼란만을 가져올 뿐이다. 정세와 국익에 따른 탄력적인 대북정책 및 안보정책은 언제나 필요한 것이며, 이것이 소위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기준이 될 수 없다. 국가존립을 위한 안보는 진보와 보수의 문제가 아니며, 세대 간 갈등의 문제가 아니다. 안보 없이 국가는 존립할 수 없고, 국가 없이 국민은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국민들의 안보의식은 국가존립을 위한 마지막 보루인 셈이다. The 2030 generation tends to feel indifferent and repulsed by the voice of strengthening the security consciousness of the older generation. Of course, that does not mean they want South Korea to be incorporated into a North Korean socialist state. They have never experienced the horror of war, and for them, the Korean War is only the war of past grandfathers and grandmothers who have already passed through the history textbooks The absence of security consciousness and indifference of the 2030 generation based on the vague belief that there will be no war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said to be caused by the blind faith in the superiority of the liberal democratic system and distrust of the government. We are now confronting the world s most barbaric and belligerent regimes and armistice lines. Rejection to anti-communist policies distorted and degraded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past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security consciousness of the 2030 generation. The distrust of the government of the younger generation remains, which caused distorted security consciousness and security indifference. The distrust of the government of the younger generation remains, which caused distorted security consciousness and security indifference. The political bias of selling all those who claim a hard line against North Korea as conservatives and all those who claim a sunshine policy against North Korea as pro-North leftists only brings social conflicts and confusion. The flexible North Korean policy and security polic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national interest are always necessary, and this can not be a standard for distinguishing so-called progress from conservatives. Security for national existence is not a matter of progress and conservatism, it is not a matter of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without security, the state cannot exist, and without the state, the people cannot exist, Therefore, the people s sense of security is the last step for national existence.

      • KCI등재

        독일에서의 수용유사침해법리와 그것의 한국법제에의 수용가능성에 관한 고찰

        최정일(Choi, Jung Il)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2 행정법연구 Vol.- No.34

        수용유사침해의 구성요건은 그 개별요건에 있어 분명히 독일기본법 제14조에 유래한다. 독일기본법 제14조에 대한 원래의 유추는 수용유사침해의 구성요건에 분명한 흔적을 남겼다. 1952년 6월 10일 독일연방통상법원은 수용유사침해법리를 “독일기본법 제14조를 유추적용”하여 처음으로 발전시켰다. 수용유사침해의 원래의 구성요건은, ① 독일기본법 제14조의 의미에서의 재산권의 침해, ② 침해행위로서의 고권적 침해, ③ 고권적 침해의 공공복리관련성 및 ④ 피침해자의 특별희생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네 가지 구성요건은 독일기본법 제14조의 “공용침해”의 구성요건을 기초로 한다. 그러나 공용침해가 「적법한, 법률로 규정된 재산권 침해」를 가리킨다면, 수용유사침해는 「재산권에 대한 위법한 침해」를 가리킨다. 수용유사침해는 국가의 불법에 대한 책임을 대상으로 하므로 원래 독일기본법 제14조(재산권보장과 공용침해)의 규율내용은 아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수용유사침해의 구성요건을 공용침해의 구성요건에 기초하는 것은 모순이 예상되었다. 수용유사침해법리는 결국 독일기본법 제14조제 3항과의 관련을 끊고, 법률차원의 효력을 가짐으로써 헌법적 문제를 원칙적으로 제거했다. 그러나 개별적인 수용유사침해법리의 일부 수정은 독일기본법 제14조제3항2문 때문에 필요하다. 수용유사침해법리는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자갈채취결정”이후에 의문시되었다. “자갈채취결정”후에 독일연방통상법원은 수용유사침해를 독일기본법제14조의 적용범위에서 분리시키고, 독자적 법제도로서 근거 지웠다. 수용유사침해는 그 개별적 구성요건과 법적효과를 법률차원에 두게 되었고, 그 법적 근거는 더 이상 이제 독일기본법 제14조가 아니라, 판례법으로 표출된 관습법인 “일반적 희생보상청구권”에 근거를 두게 되었으므로, 더 이상 독일기본법 제14조의 보조장치는 필요 없다. 독일연방통상법원은 수용적침해법리도 또한 유지한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특히 독일의 수용유사침해와 수용적 침해의 법리를 분석하고, 그뒤 우리의 실정법체계와 독일의 실정법체계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분석한 후에, 수용유사침해법리의 한국법제에의 수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독일과 미국에서의 의회에 의한 위임입법의 직접적 통제에 관한 연구

        최정일(Choi Jung-Il)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8 행정법연구 Vol.- No.21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separation of powers. It divides the power of government among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But while the Korean Constitution creates separate executive, legislative, and judicial departments, it establishes no air tight compartmentalization of the branches. Instead, it sought to establish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 is to the direct congressional control over administrative regulations in Germany and in U.S.A. First, to bridge the gap between general policies and the details of their application, the German parlament vests executive agencies with rule-making power. According to article 80 GG, public bodies may promulgate regulations(Verordnungen) based upon the statutory determination of the instrument's objectives and substantial content. Administrative bodies thus enjoy delegated power to regulate details that the legislature need not have addressed. In Germany, however, to control these administrative regulations. German Parlament (Bundestag) introduced the prior approval procedure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Zustimmungsvorbehalt) and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Bundesverfassungsgericht) declared it constitutional. Second, in U.S.A, like Germany, Congress began to vest executive agencies with rule-making power - the authority to write rules or regulations, with the force of law, specifying how vague statutory directives should be applied. As Congress delegated increasing rule-making power to the executive branch, it poredictably looked for new ways to oversee and influence the exercise of executive power. In particular, it began to rely increasingly on statutory provisions authorizing so-called legislative vetoes. In a typical statutory design, Congress would authorize executive rule-making but provide that the rules drafted by an executive agency could not take effect if either the House or Senate enacted a 'veto resolution' expressing its disapproval. The Supreme Court addressed the constitutionality of legislative vetoes in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Service v. Chada (1983). The Court held the arrangement unconstitutinal. The Court reasoned that legislative veto violated the plain language and structural design (The Presentment Clauses and Bicameralism) of the Constitution. Congress has in 1996 taken a step to reassert its authority over agency decisionmaking. A 1996 law requires agencies to submit all rules to Congress. for its review and stays the effective date of major rules to perm it legislative review. If the joint resolution is passed by Congress and signed by the President, a rule will not take effect, or if it has already gone into effect because the 60-day expired, the rule will cease to be in effect.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ct」 Article 98-2 provides now that agencies must submit all rules to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for its review.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examine them with respect to whether they are in contravention to the Acts, etc. The Korean National Parlament may notify the agencies of their contents. In this article, it is suggested that the instruments of German and American direct control system over administrative rules by parlaments can and must be introduced to Korean legal system without the problem of being unconstitutional.

      • KCI등재

        강의실 환경에서의 집단 개념동작 인식 기법

        최정인(Jung-In Choi),용환승(Hwan-Seung Yong)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1 No.5

        최근 다양한 센서를 내장한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한 동작 인식 연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기존의 동작 인식 연구는 사용자 개인의 동작 인식에만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집단 개념동작을 인식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인식에 앞서 장소 별 집단 동작의 특징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강의실 환경에서의 집단 개념동작을 중점적으로 수업하기, 발표하기, 회의하기로 세 가지 동작을 연구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96% 이상의 높은 인식률을 도출하였다. 실시간으로 활용한다면 자동적으로 강의실의 사용률 및 사용 목적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나아가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장소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향후 다른 장소에 대한 집단 동작 인식을 연구하여 집단 동작 인식 시스템을 개발할 것이다. As smart phones with built-in sensors are developed, research on recognition using wearable devices is increasing. Existing papers are mostly limited on research to personal activity recogni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recognize conceptual group activity. Before doing recognition, we generate new dat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ual group activity in a classroom. The study focuses on three activities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Taking Lesson, Doing Presentation and Discussing. With the proposed algorithm, the recognition rate is over 96%. Using this method in real time will make it easy to automatically analyze the activity and the purpose of the classrooms. Moreover, it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classroom through the data analysis. Further research will focus on group activity recognition in other environments and the design of an group activity recogni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