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경영연구」학술지 게재논문 분석(2022~2023년)

        최우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4 기업경영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2022~2023년 2년간 「기업경영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기업경영연구」를 통해 만들어지는 지식과 정보가 경영학계 연구에 기여하는 바를 확인하고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년간 게재된 논문을 학문영역, 연구유형, 자료원천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학문영역별 논문들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2022~2023년 「기업경영연구」에는 95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학문영역별로 보면, 인사·조직 31편, 재무·회계 29편, 생산·MIS·기술경영 7편, 창업·기업가정신 3편, 마케팅 5편, 국제경영 3편, 경영일반 17편이 게재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증연구가 67편으로 가장 많았고, 이론연구 3편, 방법론연구 3편, 사례연구 3편, 그 외 19편이었다. 자료원천을 보면, 인사·조직 분야에서는 설문조사에 의한 연구가 많았고, 재무·회계 분야에서는 2차 자료에 의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pursues to analyze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for two years from 2022 to 2023. The pap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on academic areas, research types, and data sources. In addition the main contents of papers in each academic areas we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papers in each academic field were summarzied. From 2022 to 2023, 95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31 articles were published in HR and organization, 29 articles in finance and accounting, 7 articles in production, MIS and technology management, 3 articles in start-up and entrepreneurship, 5 articles in marketing, 3 articles in international management, and 17 articles in general management. In temrs of the type of study, 67 papers were empirical research studies. There were 3 theoretical studies, 3 methodology studies, 3 case studies, and 19 other articles. Many papers in the field of HR and organization and finance and accounting used empirical research desig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erived.

      • KCI등재

        안전보건경영은 어디까지 와있는가? :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최우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안전경영의 개념을 소개하고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에 앞서 건설산업을 중심으로 실태조사결과를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안전경영을 통한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있다. 안전보건경영은 사업주가 자율적으로 사업장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여 잠재적으로 유해 및 위협 요인을 개선하는 등의 제반활동을 말한다. 안전보건경영 실태조사의 결과를 보면,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안전보건관리의 활동과 의사소통에 보다 많은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해서는 대기업이 더 많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개정 및 보완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였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과 시행으로 관심이 높아진안전보건경영은 이해관계자들의 상반된 의견으로 인해 지향점을 찾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기업, 근로자, 정부, 지자체 등 각 주체의 개별적인 노력과 함께 일관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안전보건경영에 대한 연구는 공학적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건설현장 사고의 주요한 원인이 안전문화와안전의식의 부족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전문화와 안전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 변혁적 리더십과 성과

        최우재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경상논총 Vol.14 No.1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십 연구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리더십 이론이다. 리더십은 이론연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직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예측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이론은 이론적 기여 뿐 아니라 경영활동에 실무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의 성과를 개인수준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보면, 변혁적 리더십은 개인의 태도의 관점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인지 및 동기의 관점에서 보면,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및 리더에 대한 신뢰, 직무동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인 행동의 관점에서는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변혁적 리더십이 구체적으로 부하들의 태도, 인지 및 동기, 행동에 어떤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향후 연구를 위한 과제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프로젝트 수행과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최우재 한국생산성학회 2023 生産性論集 Vol.37 No.1

        본 연구는 대학교 수업 중에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 수행이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조직에서 팀은 업무를 통한 생산성이 발휘되는 최소의 단위이다. 따라서 대학교에서 팀 프로젝트 수행은 학습을 위한 교수설계인 동시에 대학생들의 팀워크와 협업 역량을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연구를 위해서 학기 초(T1)와 학기 말(T2)에 각각 셀프리더십,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동기를 측정하고 그 차이를 각 변수의 향상도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팀 프로젝트 수행은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향상과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습자기효능감 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멘토링, 학습사,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전망에 미치는 영향

        최우재,문승태,김재필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멘토링의 경험, 학습사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들 변인들은 매개변수인 진로준비행동을 통해서 대학생들이 진로전망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교 383명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PC Win(ver. 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 내적 신뢰도(Cronbach α),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 경험, 학습사는 진로준비행동을 13%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둘째, 멘토링 경험, 학습사,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전망을 39%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사는 진로전망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멘토링 경험은 직간접적으로 진로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진로준비행동은 직접적으로 진로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학습사, 멘토링 경험 변인은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변인으로 종속변인인 진로전망에 직·간접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pursue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entoring experience, history of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futur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383 students from 4 university in the area of Jeolanam-do and Gwangju-si were involved in this study.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were employ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with SPSS/PC(ver. 15.0). The results show that mentoring experience and history of learning accounts for thirteen percents on varia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tion of career future is also explained thirty-nine percents by mentoring experience, history of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us, history of learning has no direct impact, but indirect impact on career future, while mentoring experience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career future.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mentoring experience and history of learning have impact on career future throu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기업경영연구」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최우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3 기업경영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2022년 한 해 동안 기업경영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기업경영연구를 통해 생산되는 지 식과 정보가 기업경영에 어떠한 도움을 주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먼 저 한 해 동안 게재된 논문을 학문영역, 연구유형, 자료원천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각 학문영역별 논문들의 주요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2022년 기업경영연구에는 48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인사조직 17편, 재 무회계 14편으로 두 영역에 많은 논문들이 게재되었다. 연구유형을 보면 실증연구가 3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료원천은 2차 자료 21편 및 설문지 자료 18편이었다. 이러한 분석에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pursues to analyze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for the year of 2022. The pap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idng to academic areas, research types, and data sources. In addition the main contents of papers in each academic areas were summarized. Forty-eight papers were published in 2022. There are 17 papers of management and HR area, fourteen papers of finance and accounting area. In terms of research type, empirical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with 36 papers, and the data sources were twenty-one secondary data and eighteen were questionnaire data.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 학습전이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최우재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7 경상논총 Vol.10 No.1

        조직은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인적자원개발이 기대하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습 현장에서 학습한 내용들이 업무 현장에 적용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개념이 학습전이(transfer of learning)이다. 학습전이는 학습한 지식, 기술, 태도를 업무 현장에 적용한 정도 또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습을 통해 성과 향상에 있어 학습전이는 핵심적인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전이의 종료를 근전이(near transfer)와 원전이(far transfer)로 구분하고, 기존의 학습전이 모형들을 검토하여 종합적인 학습전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들을 확인하고 전이를 촉지할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안전경영과 기업경쟁력

        최우재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3 경상논총 Vol.16 No.1

        본 연구는 안전경영을 통한 기업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안전경영의 정의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소개하고, 중대재해처벌법의 주요 내용과 안전보건체계의 내용을 살펴본다. 또한, 경영자와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안전리더십의 정의와 최근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끝으로 안전경영을 통한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변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우재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RD on organiz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organization change is expect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To test the hypotheses, Human Capital Panel Survey(HCCP)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Three hundreds sixty nine companies from manufacturing industry were included due to the comparabilities among companies excluding financial and services industr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implementing HRD programs by organizations has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measured by employees’ job performance, labor productivity, corporate image, work motivation, and low turnover intention. The opportunities which employees participate in HRD programs provides knowledge and skills which need to perform their works, and in turn lead enhanced individual performance. Employees who are trained and learned can contribu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us, employees perceive which the organization regards them valuable and non-substitutable resources when they have more chances to engage in HRD programs or learning opportunities. External stakeholders may also hol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ompanies because they evaluate the companies more competitively when the investments on human resources create better outcomes. Company’ interests and investments on HRD send potential labor force positive messages because potentials prefer to work the companies where they can be advanced through their works and learning opportunities given by their future companies. Among the control variables, comparative benefit against other compan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ll of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variables.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 reveal that when the organizations implement more organization change, the impact of HRD programs lessens on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some implications. First, it has been pointed out as lackness that most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 of individual HRD program rather than the complete HRD systems or application. In order words, previous study has not examined the overall degree of HRD programs application which caused difficulties to understand how oveall HRD systems or programs contribute organization performance. HRD systems and programs are dependent on companies’ business strategy as well as HRD strategy. Companies can make the best composition among various HRD programs. It may lead incomplete conclusion when research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HRD program. For example, the companies where provides employees tuition reimbursement for graduate school enrollment in foreign country was only seventeen companies. Second, this study address the effects of organization 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imply that the current HRD systems and programs in Korean companies do not meet the strength and speed of organization change so HRD systems and programs need to be redesign and redeveloped to satisfy the requirements which came from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Third, the level of HRD systems and programs are various according to companies’ strategy, products, services, and competency. In terms of strategic HRD (Gilley and Maycunich, 2000), companies need to develop their HRD systems considering three factors of learning, performance, and change. However, the results of study found that HRD systems and programs among Korean companie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learning and performance rather than changes. HRD systems and progrmas are not well planned and structured to cope with the ever-changing organization changes. The results request that organizations consider the quality of HRD as well as the quantity of it. 본 연구는 기업의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의 투자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특히 이들 관계에서 조직변화의 조절효과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1년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uman Capital Corporate Pannel Survey: HCCP)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기업들은 제조업으로 한정하였다. 산업에 따라 산출되는 제품 및 서비스의 차이는 기업의 경영환경과 시스템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최종적으로 369개 기업수준의 자료가 포함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HRD 프로그램 16개 유형의 실시 여부와 실행정도를 합산하여 해당 기업의 HRD 프로그램 활용정도를 산출하였다. 직접효과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회귀분석의 결과는 기업의 HRD 프로그램 활용정도는 모든 결과변수(직원의 직무능력, 노동생산성, 회사의 이미지, 직원의 의욕, 직원의 이직방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동생산성 향상, 회사 이미지 개선, 직무능력향상의 순으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통제변수로 활용된 기업의 규모, 기업의 유형, 직원에 대한 복지 혜택 중에서 복지 혜택의 정도는 모든 결과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변화 정도가 HRD 프로그램의 활용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를 확인한 결과를 보면, 모든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HRD 프로그램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변화의 정도가 크면, 그 효과가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HRD 프로그램이 조직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