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블록체인 기술 적용과 개인정보 삭제 및 제3자 제공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최용혁,권헌영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8 No.6

        The financial industry, which guarantees a credible transaction and can not permit forgery of its transaction information,has hitherto adhered to a traditional centralized ledger management method. However, the blockchain technology has adecentraliza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unsafe for the time being, and the more reliable transaction agreement and dataintegrity are guaranteed The world's financial industry and the IT world is causing the wave. Nevertheless, the inherentcharacteristics of the blockchain, such as the irreversibility of block information within a blockchain and the sharing ofblocks between blockchain participants, can not avoid conflicts with the privacy la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investigate the problems related to deletion and the third party supply of personal information by focusing on thesecharacteristics of the blockchain and to suggest the technical alternatives of the applicable blockchain and the improvementdirec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for using of blockchain technology. 공신력 있는 거래체결을 보장하고 그 거래정보의 위변조를 용납할 수 없는 금융산업은 지금까지 전통적인 중앙집중형 원장 관리 방식을 신봉해 왔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은 오히려 그동안 상식적으로 안전하지 않다고 여겨 왔던탈중앙화를 강점으로 내세우면서 더욱 신뢰할 수 있는 거래의 합의방식과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을 통해 세계의 금융산업과 IT세상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렇지만 블록체인 내 블록정보의 비가역성 및 블록체인 참여자간 블록의공유와 같은 블록체인의 고유한 특성은 개인정보 보호법제와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의 이 특성들을 중심으로 개인정보의 삭제와 제3자 제공 관련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위한개인정보 보호법제 개선방향 및 적용 가능한 블록체인의 기술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완강기의 설치 실태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최용혁,김태구,김광일,박성진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s found with the installation of a descending life line which is one of the compulsory fire escape apparatuses required by the revised “Fire Service Act” of 2006 for multi-use facilities and multistory buildings. It presents an analysis of the causes and improvement details for the problems classified by type of item. To achieve the purpose, the total 367 problem points are indicated. The problems of Installation are unsuitable window glass using the descending life line (34%), required passage device is not attached (23.7%),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with required operation (20%) and damaged descending life line (20%)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 study looks at the stress analysis range for cracking window glass which is required for people to escape in an emergency. People have questioned unsuitable window glass for using the descending life line among the problems with the installation. As a result of stress analysis, window glass thickness of the place where the descending life line is installed must be 3 or 6 mm.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s substantial improvement measures for installing the descending life line so I will actually be used as a fire escape apparatus to protect human lives, and not just to formally meet the Fire Service Act. 본 연구에서는 2006년 개정소방법의 시행에 따라 다중이용업소 및 고층건물에 피난설비 중 피난기구로 설치가 의무화 되고 있는 ‘완강기’의 현재 나타난 설치상의 문제점을 조사해보고, 제시된 문제점들을 각 항목별로 나누어 원인 분석 및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총 367건의 문제점이 지적되었 으며, 다음과 같이 설치실태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완강기를 이용한 탈출이 부적합한 창문(34%), 관련문구 미부착(23.7%), 부적합한 설치장소(20%) 및 완강기의 파손(20%) 등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완강기 설치상 문제점으로 완강기를 이용한 탈출에 부적합한 창문이라는 사항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기에 탈출 시 필요한 유리의 파괴에 관한 응력해석을 수행한 결과 완강기가 설치된 곳의 유리두께는 3,6mm로 규정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소방법에 따른 형식적인 설치가 아닌 화재발생 시 인명을 보호하는 피난도 구로써의 완강기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실질적인 완강기 설치상의 개선대책을 제시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어학습자の 한자인지도の 조사

        최용혁 한국일본어교육학회 1994 日本語敎育 Vol.10 No.1

        韓國語와 日本語는 文法的으로 또는 語彙的으로 아주 유사한 言語라 할 수 있다. 이런 점들 때문에 日本語는 學習하기 용이한 言語로 인식되고 있고, 學習者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日本語 學習者의 대부분이 日本語 學習을 하면서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 중의 하나가 일본 漢字라 할 수 있겠다. 그것은 日本語 學習者의 대부분이 한글 세대로써 漢字를 읽고 쓰는 能力이 아주 부족하다. 韓國 漢字와 日本 漢字, 특히 그 漢字들로 구성된 漢字語은 意味的인 면에서 일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漢字를 알고 있다는 그 자체만으로 日本語 學習에 큰 도움이 된다. 이제껏 韓國은 漢字文化圈에 속하는 나라이므로 日本語를 學習할 때 아주 유리하다고 인식되어 왔고, 그 때문에 日本語 敎育에 있어서도 漢字문제를 소홀히 다루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글 세대는 漢字에 아주 약하며, 이것이 日本語 學習에 큰 장애 요인의 하나라고 생각되어 진다. 이러한 한글 세대들의 일본 漢字 認知度를 조사하여 향후 日本語 교육에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고자 작업을 진행해 왔다. 조사 내용은 日本의 敎育漢字 중 1,2년용 配當 漢字 240자와 韓國에서는 正字인데 日本에서는 略字로 쓰이는 글자의 正字와 略字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日本의 小學校 1, 2년용 配當 漢字 240자중 認知度가 아주 낮은 漢字로는 曜, 羽, 丸, 畵, 岩, 顔, 繪, 鳴, 午, 廣, 矢, 壹, 谷, 姉, 算, 森, 麥, 畵 등이 있었다. 2. 잘못 읽은 漢字를 원인별로 분류하면 다음의 두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① 서로 닮은 漢字를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 東(京), 地(他), 白(自), 當(富), 肉(內), 土(士), 毛(手), 番(香), 米(光) ② 같은 部首를 가졌거나, 같은 部首라고 착각한 경우 語(言), 雲(雪), 間(問), 姉(市), 里(量), 場(楊) 3. 六書와 정답율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象形文字가 정답율이 높은 반면에 指事 文字는 낮았으며, 形聲 文字와 會意 文字는 두 글자를 조합해서 만든 문자이므로 정답율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4. 正字와 略字 중 대체적으로 正字쪽이 정답율이 높았다. 그 중 正字, 略字 모두 정답율이 낮은 글자와 正字쪽이 略字쪽 보다 훨씬 많이 알고 있는 글자는 日本語 敎育을 할 때 주의 깊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말해, 韓國의 日本語 學習者의 漢字 能力은 생각보다 낮았다. 같은 漢字 文化圈이라 해서 漢字에 대해 힘을 쏟지 않는다면, 漢字가 日本語 學習의 큰 장애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보여진다. 향후 日本語 學習에 있어서는 이미 알고 있는 漢字를 최대한 이용함은 물론이고, 한· 일 漢字의 字體上의 차이도 세심히 배려하여 指導 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 조사는 아주 제한된 양과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충분히 日本語 學習者의 漢字 能力을 파악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부터라도 韓國의 日本語 學習者의 漢字能力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연구, 그리고 이상적인 日本語 漢字 습득 방법 등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의 한자 어휘 분석

        최용혁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3 日本語敎育 Vol.23 No.-

        去年から適用されている第7次敎育課程(學習指導要領)の改正により、新しく12種類の日本語の敎科書が發刊された。これらの高敎の日本語の敎科書の全容を分析してみるのも意義あることだと思う。 本稿では漢字で表記されている語彙だけに絞って調べれみることにした。 第7次敎育課程では第6次敎育課程と大きく違う点がいくつかあるが、特に高校用の日本語の敎科書に載せる漢字を733字に制限したのが大きな特徵の一つである。今までは語彙の制限はあったものの、漢字の制限はなかった。大まかに日本の常用漢字の??內で使 うといった程度だった。 本稿は、今回初めて制限された733字の漢字が高校用の日本語の敎科書にどのように採擇され、また表記されているかを12種類の日本語の敎科書を對象に調査を行い。これからの日本語敎育の中での語彙敎育特に漢字敎育に活用してみるのが目的である。 調査の方法としては、12種類の日本語の敎科書の中で文化のところを除いて漢字で表記されている語彙すべてを對象にした。また、固有名詞は漢字制限の對象にならないため、調査から除いたが、韓國、日本、中國だけは大部分の敎科書に表記されているので特別に調査對象に入れた。 敎科書の調査にあたって、次の点に重点をおき調べた。 1. 表記用制限漢字がどれぐらい採擇され表記されているか。 2. 漢字制限の原則が守られているかどうか。 3. 敎科書別に漢字表記の相違点があるか。 4. 12種類の敎科書にどの語彙がどれぐらい表記されているかをお互いに比較してみる。 5. 12種類の敎科書に表記されている單漢字數はどれぐらいあるか。 6. 使用率の高い單漢字はどの漢字かを調べてみる。 7. 課別にどのぐらい漢字が表記されているか。 8. 敎科書同士の漢字表記の共通点はあるかどうか。 9. 制限漢字の表記狀況をまとめてみる。 以上の狙いをもって調べた結果、次のようなことが分かった。 ① 12種類の敎科書に漢字で表記されている平均語彙數は202語であった。 ② 一番多く表記した敎科書とそうでない敎科書との差が156語であり、相當の差があるのが分った。 ③ 課別に表記されている平均語彙數は33語であった。 ④ 傳敎科書の漢字で表記されている異なり語數は715語であった。 ⑤ 12種類の敎科書すべてに表記されている語彙は19語であり、單獨で表記されている語は313語であった。 ⑥ 漢字制限の原則を守っている敎科書は三つであり、殘りの九つの敎科書は多かれ 少 なかれ非表記用漢字を使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⑦ 敎科書に各課ごとに繰り返し表記されている漢字語彙數はほんの 一部の語彙に過ぎなかった。 ⑧ 漢字で表記されている語彙を單漢字にして使用率を調べた結果、「日」が一番多く次が「本」、「曜」、「行」、「人」順であった。 ⑨ 12種 すべてに表れている漢字は33字であり、單獨で使われている漢字は125字であった。 ⑩ 制限漢字733字のうち、敎科書に表れている漢字は433字であった。 ⑪ 制限漢字ではない漢字(非表記用漢字)がなんと42字にのぼ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⑫ 各敎科書同士の共通語彙數を調べてみると、一番多いのが133語、一番少ないのが53語であった。 これらをまとめてみると、12種類の日本語の敎科書の漢字表記に敎科書ごとに相當の偏差があるのが分かり、また、漢字表記語彙が同じ敎科書の中でも一二回しか表れないのが多かっ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それから、表記用漢字(制限漢字)以外の漢字が表記されているのが相當の數にのぼっ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り、敎科書檢定の際に制限漢字のチェックをもう少し嚴しくする必要があると思う。また、同じ敎科書の中でも漢字表記の一貫性が欠ているのが分かった。 以上,第7次敎育課程改正によって作られた高校の日本語の敎科書を漢字表記という特定の分野だけの絞って考察してみたが、滿足できるところまで考察できなかったところが氣になる。本稿で明らかにされなかったところはこれからの課題として取り組んでいきたいと思う。

      • KCI등재

        참여형 공공디자인 실행 프로세스 개발 전략 연구

        최용혁,박승조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6 No.4

        Background: Public designs in recent years have evolved into value designs providing users with new experiences. In values designs, users are involved at every step from the planning stage to decision-making and selection process of public designs so that they can satisfy their needs as the main group of problem solvers and to realize their value systems. Thus, public designs in recent years have made efforts to identify potential demands of users and seek proper solutions through bottom-up users-centered designs. Methods: In this study, public design agencies engaged in three people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expert five people, and deep interviews to extract a total of 13 people of working designers five people as a sample, the results It was analyzed. Result: Recently, public design has been made much effort to converge the diverse needs and experiences of users. In consideration of inmates, for designs that emphasize their experiences, a methodology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ublic design development method is necessar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should be clear selection of stakeholders and their accurate roles through the analysis of stakeholders. Second, there is a need for composing a community that can naturally induce both the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and rational collaboration among them. Third, there should be a need for establishing social trust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to improve citizens’ awareness of public designs and reduce errors resulting from hasty planning. 연구배경: 최근 공공디자인은 기획 단계부터 의사결정과 선택과정에 사용자를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참여시키고 사용자의 가치 체계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가치 디자인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 공공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통하여 사용자의 잠재적 요구를 파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에 공공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참여와 협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킹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결합에 있어 기존방법론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참여형 공공디자인 실행 프로세스 개발 전략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제작하고 그것을 공공디자인 관련 기관 종사자 3명, 전문가 5명, 실무디자이너 5명 등 총 13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심층면접 조사를 통하여 검토하고, 그 결과를 다른 면접대상자 2명이 다시 검토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공공디자인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경험을 수렴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를 배려하고 그들의 경험을 중시하는 디자인을 위해서는 기존의 공공디자인 개발 방법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방법론이 필요하다. 결론: 첫 번째로 이해관계자의 분석을 통한 핵심 이해관계자의 선별과 정확한 역할을 정의하여야 한다. 두 번째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연스러운 협의가 이루어지기 위한 커뮤니티 구성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커뮤니티의 구성을 통해 질 관리를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 방안을 위한 방법을 확립하고 커뮤니티 구성원들, 공공기관과의 의견을 조정하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네 번째로 커뮤니티의 구성을 통해 공공디자인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을 높이고 공급자 중심의 계획으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사회적 신뢰감 조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동기부여를 위한 통제는 시민참여를 위한 경제적 지원과 같은 외적 통제와 내적 통제시스템이 함께 운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The Different Reduction Rate of Prostate-Specific Antigen in Dutasteride and Finasteride

        최용혁,조성용,조인래 대한비뇨의학회 2010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Vol.51 No.10

        Purpose: To compare and analyze the therapeutic effects and changes in the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level with treatment with finasteride or dutasteride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for 1 yea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patients who suffered from BPH for 1 year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8. For treatment groups,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one was treated with alfuzosin and finasteride and the other was treated with alfuzosin and dutasteride.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the patients underwent transrectal ultrasonography and measurement of urine flow rate, residual urine volume, PSA, and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Patients with diseases affecting urinary function were excluded. We not only analyzed the data at the time of initial treatment, but also after 1 year of treatment. A total of 219 patients were able to be evaluated for 1 year. Results: Both finasteride and dutasteride reduced PSA and prostate volume significantly.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showed a more significant reduction of PSA (p=0.020) and prostate volume (p=0.052) in the dutasteride group. Other paramete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5-a Reductase inhibitors for BPH treatment reduced PSA and prostate volume significantly when the patients were treated for 1 year. Administration of dutasteride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PSA and prostate volume. Therefore, dutasteride should not be considered equivalent to finasteride in the reduction rate of PSA. The intensity of dutasteride must be reevaluated in comparison with finasteride. Purpose: To compare and analyze the therapeutic effects and changes in the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level with treatment with finasteride or dutasteride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for 1 yea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patients who suffered from BPH for 1 year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8. For treatment groups,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one was treated with alfuzosin and finasteride and the other was treated with alfuzosin and dutasteride.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the patients underwent transrectal ultrasonography and measurement of urine flow rate, residual urine volume, PSA, and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Patients with diseases affecting urinary function were excluded. We not only analyzed the data at the time of initial treatment, but also after 1 year of treatment. A total of 219 patients were able to be evaluated for 1 year. Results: Both finasteride and dutasteride reduced PSA and prostate volume significantly.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showed a more significant reduction of PSA (p=0.020) and prostate volume (p=0.052) in the dutasteride group. Other paramete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5-a Reductase inhibitors for BPH treatment reduced PSA and prostate volume significantly when the patients were treated for 1 year. Administration of dutasteride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PSA and prostate volume. Therefore, dutasteride should not be considered equivalent to finasteride in the reduction rate of PSA. The intensity of dutasteride must be reevaluated in comparison with finaster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