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Democracy and Territorial Change

        최아진 한국국제정치학회 2022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20 No.1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and sources of decisions made by winning states toward defeated states focusing on territorial change after international conflicts. That is, it examines the impact of democracy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international conflicts and argues that due to their norm of respect for public sovereignty and consent democratic states as winners are less likely than non-democratic states to impose punitive peace on the defeated states. To test this argument this study analyzes a total of 260 cases of territorial 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1870-1992 using the ordered probit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democratic winners are less likely to conquer or annex territory obtained from defeated states and more likely to construct a new political entity within that territory. The finding can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democratic foreign policy and territorial change by connecting these two areas and showing how democratic norms and ideas can externalize in th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conflict via procedures of territorial change.

      • KCI등재

        핵비확산의 국제정치학과 정책대안

        최아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2 국가안보와 전략 Vol.12 No.1

        세계적으로 핵비확산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세계적 차원에서 핵비확산을 주제로 다루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핵비확산에 대한 최근의 주요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과정을 통해서 핵비확산에 있어서의 핵심적인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동시에 효과적인 정책대안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역사적으로 핵무기의 역할과 관련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핵비확산 정책에 대한 의미를 살펴본다. 둘째, 핵확산이 국제체제의 안정과 국가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과 정책적 함의를 살펴본다. 셋째, 핵확산의 경로 및 핵비확산의 조건과 정책대안들을 소개한다. 넷째, 핵비확산을 위한 새로운 도전과 과제로서 핵테러리즘 방지와 “핵무기 없는 세계”에 대한 평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살펴본 연구결과와 정책적 함의를 요약하면서 한국의 핵정책의 방향을 포함하여 연구결과와 정책개발 사이의 긴밀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대안을 논의한다. Nuclear non-prolifer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global affairs, yet this topic remains understudied as a global issue in Korea. This study reviews recent research on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presents their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is process it pursu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re issue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to develop relevant policy. First this study introduces new research findings on the use of nuclear weapon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 for nuclear non-proliferation policy. Second, it explores the debate on the impacts of nuclear proliferation on international stability and national strategy and their relevance with policy alternatives. Third, it examines research on the causes of nuclear proliferation and the conditions for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evaluates their policy alternatives. Fourth, it identifies nuclear terrorism and the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as a new challenge and task in promoting nuclear non-proliferation. Finally, it presents the summary of key points of each section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policy.

      • KCI등재

        Constructing Theories of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in Korea: Challenges and Tasks

        최아진 한국학술연구원 2008 Korea Observer Vol.39 No.2

        This paper reviews the field of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IR) in Korea and identifies its problems and difficulties that need to be theorized. Many Korean IR scholars have claimed that Korea or East Asia has been exposed to unique historical experiences and social/cultural contexts that set it apart from other regions, and thus, called for the development of indigenous Korean or East Asian IR theories that reflect these particularities. Although efforts have been invested to construct these theories, they have not met with success. To develop such East Asian IR theories, this paper makes three suggestions. First, the scope of East Asia needs to be defined in the field of Korean IR; second, important subjects that reflect the particularities of Korean or East Asian IR need to be identified; and third, the Korean IR community should make collective efforts to test and generalize these newly developed East Asian IR findings.

      • KCI등재후보

        평화의 삼각구도(Triangulating Peace) 비판적 고찰

        최아진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f the Triangulating Peace argument made by Kantian liberalism based on recent major deb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mocrac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peace. It finds that, first, it is difficult to adopt or implement democratic rules in m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economic interdependence shows a mixed result: the Kantian liberalists repor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but at the same time realists and mercantilists challenge this relationship using different evidence and methods. Third, regarding the impacts of democracy on peace, a focus of recent debate moves from its empirical foundations to an explanatory validation of causal mechanisms between two variables. Although they were not systematically studied, the impacts of peace on democratization have recently drawn attention and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ajor debates in both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foreign policy practice. 본고는 칸트적 자유주의자들이 제시한 평화의 삼각구도에 대해서 최근 논쟁과 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의 타당성 및 적실성을 평가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네 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하여 국제기구, 경제적 상호의존, 그리고 평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칸트적 자유주의자들의 기대와 달리 민주주의와 국제기구는 강한 긍정적 상호작용을 보여주지 않고 있으며, 민주주의와 경제적 상호의존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나, 현실주의와 중상주의의 도전을 받고 있으며,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조건과 제약 연구하면서 정교화를 도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민주주의와 평화와의 관계를 보면, 두 변수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를 인정하면서 최근에는 민주주의가 평화로 이어지는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논쟁이 전개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미국의 외교정책과 연결하여 민주주의를 도모하고 확산하는 방법에 대해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 KCI등재

        풀링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국채 수익률곡선 예측

        최아진,강규호 한국은행 2014 經濟分析 Vol.20 No.4

        One of the various causes which interrupt accurate prediction is model misspecification. Generally, almost every prediction model is misspecified. The pooling method is recently used to improve forecasting performance with the linear combination of predictive densities of future random variables made by some interesting prediction models which are possibly misspecified. In this paper, we utilize the pooling method to forecast Korea government bond yields with six alternative prediction models — four dynamic Nelson-Siegel models, a first-order autoregressive model, and a random walk model. As a result of our out-of-sample forecasting, the constant mixture model of AR(1) and RW model, AR(1)-RW, shows the best forecasting performance overall. In that sense, we find that the pooling method is useful to describe more precisely the dynamics of Korea bond yields by maturity. 국채 수익률 곡선 예측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다양한 계량예측모형을 다루고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예측에 사용되는 자료의 표본기간 또는 예측시계에 따라 선호되는 예측모형이 달라지는 현상이 발견된다. 이는 각각의 예측모형이 모형 특유의 모형설정오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국채 수익률 예측에 사용되는 예측모형들이 잠재적으로 모형설정오류를 내포하고 있을 경우, 이 문제를 해소하고 더 나은 표본외 예측력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채수익률 예측에 Geweke and Amisano (2011)의 풀링기법(Pooling method)을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풀링기법이란 경제 변수 예측에 사용되는 계량예측모형들의 확률밀도함수를 선형 조합하여 새로운 우도함수를 만들어 분석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는 한국 국채(국고채) 수익률곡선 예측에 풀링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네 개의 상이한 동태적 넬슨-시겔 모형과 1차 자귀회귀모형, 그리고 임의 보행 모형을 개별 예측 모형으로 선택한 다음, 풀드(Pooled) 모형 및 개별 예측 모형에 대하여 표본외 예측을 실시하고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추정결과, 풀드 모형의 표본외 예측력이 개별 모형들에 비해 상당히 우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풀링기법은 향후 우리나라 중앙은행이나 채권투자자들이 우리나라의 국채수익률 예측을 위해 도입할 가치가 있는 실제적으로 유용한 예측기법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