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7차 선택중심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과학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최순화,김은숙,권오경,오창호,박국태,Choi, Soon-Hwa,Kim, Eun-Suk,Kwon, Oh-Kyoung,Oh, Chang-Ho,Park, Kuk-Tae 대한화학회 2008 대한화학회지 Vol.52 No.1

        이 연구는 제7차 선택중심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 현장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과 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한 127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고등학교 3학년 학생 76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 과, 과학과 선택과목의 제시 방법은 인문과정의 경우 택일방식과 집단선택 방식이 많았고, 자연과정의 경우 택 일방식과 자유선택 방식이 많았다. 즉, 제한된 범위 내에서 선택권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선택중심 교육과정 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고, 특히 지구과학 교사가 가장 부정적인 의견 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의 교과 선택권에 대해서 생물교사와 화학교사는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으나, 물 리교사와 지구과학교사는 반대하는 의견이 더 많았다. 학생들이 올바르게 선택과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선택 과목별로 불이익이 없도록 입시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과 체계적이고 현장성 있는 진로교육이 필요하 다는 의견이 많았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그다지 만족하 지 못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는데, 그 이유로는 선택권이 제한적이라는 의견과 선택과목과 진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선택과 과학교사 수급을 원활히 조정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모든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초과학이 소외되거나 과 학과목에 대한 학력저하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학교 현장의 실정을 감안하여 학생의 요구와 과학교사 수급 문 제를 원활히 해결할 수 있는 대책과 보완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on in school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f high school science subject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elected subjects including 127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nd 763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who had experienced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concerning the way to present the elective subjects of science, many cases were the alternative way and the group-elective way in humanity courses while natural science courses had the alternative way and the free-elective way in most cases. In other words, in many cases, the right of elective was given within a limited range.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was that negative views dominated as a whole. Especially, earth science teachers showed the most negative attitudes. The number of biology and chemistry teachers who supported students' right to opt subjects were lower than that of physics teachers and earth science teachers who were against it. To help students make a right choice, many viewed that the system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hould be complemented in order to prevent any disadvantage to each elective subject or that it was necessary to have systematic and realistic career education.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regarding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ey were usually not very satisfied with it. As the reason for it, many said the selection right was limited. Many others also expressed that there were lack of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on subjects and careers. Based on these results, limits still exist in accepting all demands although there are a lot of efforts made to smoothly adjust supply and demand of scienc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electives in the field of school.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me up with counterplan and complements to prevent basic science from being neglected or lowe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ubject of science from happening, and at the same time to harmoniously deal with supply and demand of science teachers as well as the issues of students' demands given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 KCI등재

        1인가구 문화예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순화,Choi, Soonhwa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1인가구의 문화예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자본, 경제자본, 건강 인식, 거주지역 등을 문화예술 소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1인가구 1,755명의 문화예술관람, 문화예술교육,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추출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관람 횟수가 '0'인 응답자가 다수라는 자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영과잉음이항 모형을 적용하였다. 1인가구의 학력은 순수 및 대중예술 관람 가능성과 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아동기 및 청소년기 문화예술 교육, 소득, 건강 인식, 거주지역은 문화예술 유형별 소비 가능성과 소비량에 선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여기에는 다양한 경험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1인가구의 고유한 특성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1인가구에 집중하여 문화예술 소비의 결정변수를 파악함으로 관련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고, 관련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끝으로 심리사회적 변수 도입 등 후속 연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ulture and art consump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using 「2019 National Art and Culture Activity Survey」. Based on previous research, cultural and economic capital, health perception, and residen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1,755 single household data on cultural attendance, art education, and demographics were extra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 was employed as cultural attendance variable includes many zeros. It was found that educ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ltural attendance possibility and frequency. However, art education in childhood, income, health perception, and residence were found to have selective effect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single households influences the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relevant research by focusing on the single households and provides implications to boost cultural consumption. Finall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such as considering psychographic variabl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여행 활동에 따른 해외여행 시장세분화 연구

        최순화 ( Soonhwa Choi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5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됨에 따라 해외여행 수요가 꾸준히 증대하였다. 최근 팬데믹의 영향으로 여행, 관광업계는 위기에 처했으나, 어린 시절부터 해외여행을 경험하여 여행이 일상화된 20대가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정부가 강력한 지원 정책을 실천할 것으로 예상되어 중장기적으로 성장세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변화하는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여행시장 세분화 연구는 국내여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향이 있어 해외여행 시장을 분류하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2019 국민여행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여행 활동을 중심으로 해외여행 시장을 세분화하고자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해외여행 활동은 쇼핑·음식, 오락·유흥, 역사·종교, 스포츠·축제, 자연·휴식의 5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여행 활동 요인을 기준으로 해외여행 시장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오락형, 탐방형, 휴식형, 도심형의 4개 군집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개 군집은 여행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락시설, 테마파크 등의 방문을 즐기는 오락형은 고소득, 청장년층 비중이 크고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여행 정보를 확보하고 여행 만족도, 재방문 의향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탐방형 집단은 유명 관광지, 종교적 장소방문을 선호하고 여행사 의존도가 높으며 친목단체와 동행하는 비중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과 풍경감상이 주 활동인 휴식형은 노년층 비중이 크고 여행 정보를 주변인으로부터 획득하는 비중이 큰 특징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여행 만족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쇼핑, 음식관광을 즐기는 도심형은 미혼, 젊은층 비중이 큰 편이며 과거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여행을 계획하는 성향이 상대적으로 큰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여행 활동이 여행시장 세분화에 효과적인 변수라는 점을 확인함으로 관련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고, 여행 관련 기업이 세분시장에 맞춤화된 마케팅 전략을 구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해외여행 시장세분화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demand for overseas travel has steadily increased with formation of social atmosphere emphasizing work-life balance. Although the travel industry is in crisis due to the recent pandemic, the growth is expected to recover as 20s and 30s, who have experienced overseas travel since childhood, emerge as key consumers and the government implements strong support policies. To seek opportunities and cope with crises in a diversifying market, understanding of the market structure is essential. However, existing travel market segmentation studies tend to focus on domestic travel, so attempts to classify the overseas travel market are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aimed to segment the overseas travel market based on travel activities using the 2019 National Travel Survey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overseas travel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shopping·food, entertainment, historical·religion, sports·festivals, and relaxation. Next, a cluste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arke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entertainment, sightseeing, relaxation, and city tour. The four clusters were analyz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ve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ntertainment segment, who enjoyed amusement facilities or theme parks, tend to be high-incomers and young adults, secure travel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sites and showed high trave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Sightseeing segment preferred to visit famous tourist destinations and religious places accompanying social groups, and showed a high dependence on travel agencies. Relaxation segment, who enjoy nature and scenery, showed a large proportion of the elderly who tend to seek travel information from people around them. City tour segment, who enjoy shopping and food tourism, tend to be unmarried and young, and to plan a new trip based on past travel experien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earch confirming travel activity as an effective variable for segment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travel-related companies to customize marketing strategies. Finally,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overseas travel market segment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일반논문 : 한,미,일 소비자의 환경의식 및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순화 ( Soon Hwa Choi ),최정혁 ( Jung Hyuck Choi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4 여성경제연구 Vol.11 No.2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 소비자의 환경의식 및 행동을 비교분석하고 각 국의 친환경 소비자의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2010년 ISSP가 실시한 국제비교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소비자는 미국, 일본에 비해 환경의식과 환경 개선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수준에 있어 문제해결 방식에 대한 지식수준은 다른 국가에 비해 높지만, 환경문제의 원인에 대한 정보수준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행동 부문에서 한국 소비자는 미국, 일본에 비해 실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즉 한국인은 환경행동 실천 수준은 높지만 환경의식 및 문제의 근본적 원인에 대한 정보 수준은 낮은, 자발적 동기부여가 부족한 수동적 친환경 소비자의 성향을 보였는데, 이는 환경의식은 높으나 실천 수준은 낮은 일반적 괴리와 반대되는 역(逆) 괴리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프리미엄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높은 친환경 소비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3국 공히 고학력, 고소득층의 특성을 보였다. 한편 한국, 미국의 친환경 소비자가 일반 소비자에 비해 연령이 낮은 것에 반해 일본의 친환경 소비자는 일반 소비자보다 연령이 높고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rin Korea, U.S., and Japan. By analyzing data from 2010 ISSP international survey, it was found that Korean consumers, compared with U.S. and Japanese consumers, are less conscious and show lower self efficacy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s. And they are more knowledgeable on the solutions of environmental problems but are less knowledgeable on the causes of the problems. Koreans make more efforts to practice environmental activities, such as recycling and reducing energy, than U.S. and Japanese consumers. Pro-environmental consumers, who are willing to pay much higher prices to protect the environment,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higher degrees of education and incomes across all three countries. They are younger than the other consumers in Korea and U.S., but are much older and reside in smaller town in Japan.

      • KCI등재

        3050 기혼 여성 직장인의 여가소비 연구

        최순화 ( Soonhwa Choi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0 여성경제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활용하여 3050 기혼 여성 직장인의 여가소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혼 여성 직장인은 남성에 비해 여가 비용과 시간, 여가의 충분도와 자유도,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혼 여성 직장인 중에서는 30대가 50대에 비해 많은 여가 비용을 지출하였고, 여가시간은 50대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의 주 목적에 대해 30대는 개인의 즐거움, 가족과 함께 시간 보내기, 40대는 마음의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 50대는 건강과 대인관계를 선택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가생활 불만족 원인으로는 30대는 여가 정보 및 프로그램 부족, 40대는 시간 부족, 50대는 경제적 부담을 선택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기혼 직장인의 여가소비를 면밀하게 이해하는 데서 나아가 여성 직장인의 여가 만족도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isure consump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of 3050 generation by using the data from 「2019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It was found that married female work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leisure expenditure, time, sufficiency, freedom, and satisfaction than men.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the 30s spent significantly more for leisure than the 50s and the 50s spent longer leisure time than younger groups. For the main purpose of leisure, a larger portion chose personal enjoyment and spending time with families in the 30s, relaxation and stress relief in the 40s, and health and socializing in the 50s. As the cause of leisure dissatisfaction, a larger portion chos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programs in the 30s, lacked time in the 40s, and economic burden in the 50s.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 the leisure consump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and suggests implications to enhance their leisure satisfactions.

      • KCI등재

        문화소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문화·경제·사회·환경 자본을 중심으로

        최순화(Soonhwa Choi)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1 창조와 혁신 Vol.14 No.3

        일과 생활의 균형을 추구하고 여가생활을 중시하는 가치가 확산함에 따라 한국 의 문화시장은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관련 연구의 필요성도 증대하였다. 본 연구는 「2019 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문화소비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화자본론과 옴니보어 가설, 기존 연구 등을 바탕으로 문화, 경제, 사회, 환경 자본을 독립변수로 설정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고급문화 및 대중문화 관람과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영과잉 음이항(ZINB) 회귀모형 분석 결과, 문 화자본은 고급문화 관람 가능성과 고급 및 대중문화 관람 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자본의 경우 고급 및 대중문화 관람 가능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관람 빈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 회자본 수준이 높고 수도권에 거주하는 소비자일수록 문화소비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소비의 영향요인을 문화, 경제, 사회, 환경 자본으로 구성하여 종합적,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나 아가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 과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and leisure increases Korean cultural market has grown rapidly, and the need for related research has increase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cultural consumption, using 「2019 Social Survey」 data. Based on the review of cultural capital theory, omnivore hypothesis, and related studies, cultural,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capital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effects on both high-class and popular culture consumption were analyzed.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was used and it was found that cultur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sibility of high-class cultural attendance and the frequency of both high and popular culture attendance. Economic capi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sibility of cultural attendance, but not on the frequency of attendance. And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ve more social capital and live in the metropolitan area tend to attend cultural performances more frequen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nsumption including cultural,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capital.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revitalize cultural consumption were provided.

      • KCI등재

        문화예술 소비 다양성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최순화(Choi Soonhw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시하는 가치가 확산하고 문화예술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증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소득과 학력,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 여가만족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분석 결과, 소득과 학력은 여가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여가태도는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이 증대할수록 전반적인 여가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경제 및 문화자본, 여가태도,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 그리고 여가만족의 순차적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관련 연구가 발전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포용적 소비문화가 형성되고 문화예술 산업이 질적으로발전할 수 있도록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the value work-life balance spreads and the cultural art market grows rapidly, the need for related research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leisure attitude, diversity of cultural art consump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2020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 It was found that income and educ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leisure attitude, which has a sequential effect on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as people experience more diverse cultural art consumption.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by finding sequential influences of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leisure attitude, and diversity of cultural art consumption on leisure satisfaction. Also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form more inclusive cultural art consumption environment and to further develop the culture industry.

      • KCI등재

        시니어 소비자의 사회자본이 문화소비, 여가만족, 삶의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최순화(Choi, Soonhwa)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4

        감각적 경험을 추구하고 적극적인 소비 성향을 지닌 시니어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예술 시장에서 시니어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타인과 함께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가치가 창출되는 문화예술 소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니어의 사회자본과 문화소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가족, 지인, 단체 관계망이 문화소비와 여가만족, 그리고 삶의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2019 사회조사」에서 추출한 60세 이상 시니어 3,41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니어의 가족 관계망과 단체 관계망은 문화예술 관람 빈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족과 친척을 제외한 지인 관계망은 문화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니어의 문화관람 횟수가 많을수록 전반적인 여가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 시니어가 지각하는 삶의 성취감이 유의하게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시니어의 사회자본은 문화소비와 여가만족,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하는 실제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관계망의 유형에 따라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이라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자본을 관계망의 크기와 같은 양적 차원뿐 아니라 관계의 특성 등 질적 차원으로 정의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시니어의 문화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친밀도와 유대감이 높은 가족관계망과 소속감을 부여하는 단체 관계망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니어가 사회자본을 바탕으로 더욱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즐기고 여가만족과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the number of seniors who pursue sensory experiences and have an active consumption tendency increases, the influence of senior consumers in the culture and arts market is grow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consumption, where more value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sharing experiences with other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seniors on cultural consumption.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hypotheses regarding the effects of family, acquaintance, and group networks on seniors’ cultural consump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achievement. and the data of 3,410 seniors aged 60 and over extracted from the 「2019 Social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nior’s family and group network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visits to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However, acquaintance based social network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consump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leisur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cultural visits of seniors increased and that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level, the higher the sense of achievement in life. In other words, the cultural consumption of seniors has a practical effect in improving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is study confirmed that social capital, which affects seniors’ cultural consumption, is discriminatory according to the type of relationship network and raised the need for further analysis. By confirming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on cultural consump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network, this study raised the need to define social capital not only in the quantitative dimension such as the size of the network but also in the qualitative dimension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Also, in order to promote the cultural consumption of seniors,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utilize the family network with high intimacy and the group network that gives a sense of belonging.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seniors to use social capital to enjoy a richer cultural life and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기혼여성 직장인의 문화예술 소비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순화 ( Soonhwa Choi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1 여성경제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 직장인의 문화예술 소비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자본, 경제자본을 포함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에는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특수성을 고려해 모형적합도 검증 후 영과잉음이항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여성 직장인의 학력, 가구소득, 연령은 문화 예술 관람 가능성과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 최근 문화예술 교육 경험은 문화예술 관람 빈도를 높이는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미취학 아동이 있는 경우 문화 예술 관람 빈도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非)고객, 소극적, 적극적 소비집단을 비교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공연 선택기준과 관람 걸림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 직장인의 문화예술 소비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데서 나아가 문화예술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cultural consump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cultural, economic capital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selected. The data from 「2019 National Art and Culture Activity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and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 was employe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data. It was found that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ag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ossibility and frequency of cultural attendance. Adolescent and recent art education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and existence of preschool child has negative influence on the frequency of cultural attendanc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ection and blocking factors among non-market, passive, active consumption groups.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 consump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and provides implications to promote their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