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연결망과 은퇴 경험이 한국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최성수(Seongsoo Choi),이가람(Garam Lee),이성민(Sung Min Lee)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2

        이 연구는 사회적 연결망과 은퇴경험이 중고령자의 건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밝히고자 했다.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고안된 최초의 전국 데이터인 한국 고령화 패널 연구(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관적 건강상태와 가족(배우자, 부모, 자녀), 친구, 자원 단체 활동의 세 가지 범주로 구성화한 사회적 연결망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서열 로짓 회귀분석(ordinal logit regression) 결과, 부모와의 동거 여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회적 연결망 변수(배우자 및 자녀와의 동거 여부, 친구 관계, 자원 단체의 가입 수)와 주관적 건강 간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건강에 대한 은퇴 사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은퇴자 집단과 비은퇴자 집단을 나누어 각각 서열 로짓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두 집단 모두 친구와 단체 활동 같은 가족 외 사회적 연결망과 건강의 유의미한 상호관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가족 내 연결망에서는 차이를 보였는데, 비은퇴자 집단은 자녀, 배우자 관계에서 건강과 긍정의 관계를 보였고, 부모와 동거여부는 연관이 없었던 반면, 은퇴자 집단은 자녀, 배우자 연결망의 효과는 사라지고 부모 동거 여부와 건강 사이는 유의미한 부정적 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연결망을 통한 간접적 영향 이외에도, 은퇴 이유와 은퇴에 대한 만족도 등 은퇴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 관련된 변수들 역시 중고령자의 주관적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은퇴의 직접적 속성을 통제한 후에도 사회적 연결망의 효과는 여전히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social networks and retirement are related to health. Using data from KLoSA, the first nationwide dataset specializing in the elderl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three categories of social network variables: family (spouse, parents, and children), friends, and associ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of ordinal logit regression modeling, we fi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most of social network variables, except living with parents. To examine retirement effects on health, we conduct another ordinal logit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on two groups - retirees and non-retirees. Interestingly, among retirees, there i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living with parents whereas other effects of family networks such as children, spouse, disappear.In addition to indirect effects of retirement through social networks, a couple of variables related to psychological or mental aspects of retirement, such as reasons and satisfaction of retirement, are also strongly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For the Korean elderly, retirement turns out to be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health in both direct and indirect ways.

      • KCI우수등재

        한국에서 교육 기회는 점점 더 불평등해져 왔는가?

        최성수(Seongsoo Choi),이수빈(Subin Lee)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4

        기회의 불평등, 특히 사회이동의 핵심적 수단이자 통로로 여겨져 왔던 교육에서의 기회 불평등에 대한 사회적 우려는 과거에 비해 교육 기회가 더 불평등해져 왔다는 인식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이 전제가 과연 사실인가에 대한 신뢰성 및 일관성 있는 경험적 근거는 부재했다. 이 부재의 가장 핵심적 이유는 교육 기회 불평등의 추세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각각 단일한 조사 자료의 작은 표본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추세에 대해 추론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들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보다 종합적이고 신뢰성 있는 한국 사회의 교육 기회 불평등 추세를 추정하기 위해 8개의 대표성 있는 조사 자료를 활용, 1940년 이전 출생자들부터 1990년 출생자들까지 포괄하는 30개의 출생 코호트 표본을 구성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일반 졸업(전문대 졸업 이상) 확률에 있어서 부모 학력에 따른 격차는 1960년대 코호트에서 최대로 벌어졌지만 이후 출생 코호트로 올수록 빠르게 감소했다. 이와 달리 4년제 대학 졸업 여부에서 격차는 1970년도 출생 코호트까지 증가했다가 1980년도 출생자들에게서는 정체 및 감소하기 시작했다. 상위권 대학 졸업 여부 격차는 1950-60년도 출생자들에 비해 이후 출생 코호트에서 완만하지만 의미 있게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한국의 교육 기회 불평등의 유지, 확대가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고졸 여부에서 전문대졸 이상 여부로, 다시 4년제 대졸 여부로, 그리고 정도는 약하지만 상위권 대졸 여부로 점차 이동해 왔다는 것이다. 둘째, 부모의 학력을 상대적 지위로 측정하여 살펴본 상위 20백분위 대 하위 20백분위 자녀 간 격차는 훨씬 완만한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상위권 대학졸업 여부의 격차는 1950년대 출생자들 이후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온 추세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저자들은 한국에서 부모의 학력을 바탕으로 한 교육 기회 불평등이 증가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린다. Recent debates and concerns about inequality of opportunity, especially in education (IEO), assume that IEO has grown over time in Korea. In spite of its strong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we do not have consistent and reliable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is assumption. It is primarily because existing studies exploring the cohort trend of IEO in Korea rely on single survey data with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to infer the tre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estimate a more comprehensive and reliable trend of IEO, we use eight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 covering respondents from those born before the year 1940 to those born in 1990, and construct 30 cohort samples. The result shows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gap by parental education in the completion of any types of colleges(junior and 4-year) had widened till the 1960s’ birth cohort and began to narrow remarkably. The gap in the completion of 4-year universities, however, had grown till the 1970s’ birth cohort and began to slow down or decline. The gap in the completion of selective universities gradually but measurably grew from the 1950-60 cohorts. This pattern suggests that the IEO in Korea shifted continuously from high school completion to higher stages, and less evidently to the completion of "elite" universities. Second, the relative gaps between the top 20 percentile and the bottom 20 percentile in terms of parental education level(P80/P20 gaps) show generally consistent but much weaker trends. The P80/P20 gap in selective universities show a considerably stable trend since the 1950 birth cohort. We conclude that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 of the growing IEO in Korea.

      • KCI우수등재

        남자가 여자를 ‘도와줄’ 때: 부부 간 가사노동 분업에서 시간대 동기화의 중요성

        주익현(Ikhyun Joo),최성수(Seongsoo Choi) 한국사회학회 2019 韓國社會學 Vol.53 No.2

        기존 연구들은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이 증가할 때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량이 감소하지 않거나 심지어 증가하는 양상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왜 이런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남편과 아내가 각각 수행하는 가사노동 ‘시간대’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생활시간조사 2014년 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 첫째,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량이 대체로 증가하며, 둘째, 남편이 혼자 가사노동을 수행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이 감소하였다. 셋째, 남편의 추가적인 가사노동은 남편이 혼자보다는 아내와 함께 가사노동을 수행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 부담을 가중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외벌이 여부, 주중/주말 여부, 가사노동 유형 등과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남편이 가사노동을 아내와 함께 하려고 할수록 남편의 가사노동은 아내에게 도움이 아니라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한국 사회 기혼 여성들의 과중한 가사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남편의 가사 참여를 독려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경직된 정시근무 대신 전반적인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근무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와 관행이 확산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Existing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husband"s additional housework does not reduce wife"s housework and even may increase it. In this study, we highlight the importance of "when" housework is done by husband and wife, respectively, to explain why such an unintuitive pattern emerges. We examine this issue using data from the Korea Time Use Survey 2014. Results from our analyses reveal three main findings. First, as reported by prior studies, the longer hours husband spends doing housework, the more likely that wife’s housework time is extend. Second, the stronger husband’s tendency is to do the housework alone, rather than doing it with the wife, the more likely wife’s housework time decreases. Third, the input of husband’s housework time adds extra housework hours to wife more remarkably when husband tends to do housework only with his spouse rather than by himself. These patterns hold consistently across different types of our samples, such as dual-earner and single-earner couples, on weekdays and weekend, and for core and non-core housework. Our result implies that merely encouraging husbands to do more of the housework to reduce wives" burden cannot be an effective solution. Rather it suggests that policies for promoting organizational practices of shortening excessively long work hours and allowing for more flexible work schedule are needed.

      • KCI우수등재

        한국 대학들의 사회이동 성적표: 경제적 지위의 세대 간 이동과 유지에서 대학이 하는 역할

        이수빈(Subin Lee),최성수(Seongsoo Choi)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1

        본 연구는 미국에서 대규모 행정자료를 이용해 개별 대학들 수준에서 세대 간 이동률(하위 소득 분위 가정 출신 자녀가 대학 졸업 후 상위 소득분위에 속할 확률)을 보고한 라지 체티 팀의 연구(Chetty et al., 2017)를 발전시켜 한국의 대학들이 세대 간 지위 이동 및 재생산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05~2015) 자료를 활용하여 입시 서열, 국공립/사립 여부, 소재지역, 4년제 여부 등을 기준으로 17개 대학군을 분류하고 이들 대학군이 어떻게 상이한 세대 간 이동률과 유지율을 보이는지를 분석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체적인 수준에서 한국 대학들의 상향 이동률은 이상적인 기대확률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 대학군 수준에서는 최상위권 대학들과 상위권 국공립대가 기대 이동률을 충족하며 중하위권 대학들보다 상향 이동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미국에서 엘리트 대학들의 상향 이동률이 매우 낮은 것과는 대조된다. 셋째, 사립대학들에 비해 국공립대들에서 상향 이동률이 지위 유지율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나며, 저소득층 자녀의 상향 이동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위 유지율은 최상위권 및 상위권 사립대학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이들 대학은 높은 상향 이동률에도 불구하고 지위 재생산에 더 높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동률의 추세를 산정한 결과 지방 전문대의 성공률 및 이동률이 비교적 뚜렷하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 세대 간 이동 및 기회공정성과 관련하여 그 동안 상위권 대학들에 비해 대중적, 정책적 관심을 덜 받아왔던 전문대의 역할이 재조명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모든 대학군에서 예외 없이 남성의 상향이동률 및 지위 유지율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렇게 여성에게 불리한 차이는 특히 저소득층 출신 그리고 중하위권 대학군 졸업생에게 가장 두드러졌다. 이상의 결과는 저소득층 출신여성이 이중적 어려움을 겪는 집단이며 대학을 통한 상향 이동 기회는 거의 전적으로 남성에게만 해당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We evaluate the role of Korean colleges in intergenerational mobility and reproduction of economic status, extending Raj Chetty et al.’s (2017) study based on the administrative data of the United States. Using data from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s (2005-2015), we estimate the rates of intergenerational upward mobility and reproduction across 17 college groups, which we define by whether they are public or private, institutional selectivity, geographic location, and whether they are a four-year or two-year colleg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s generally show lower upward mobility rates than the expected levels, which suggests they are failing to play their roles as a key social mobility channel. Second, the most selective universities and public universities are the two college groups that meet the expected mobility rates. They also have higher mobility rates than low-tier non-selective counterparts do. This finding contrasts with the cases in US where selective elite colleges have comparatively very low rates of upward mobility. Third, public universities and two-year colleges show reasonably high upward mobility rates and relatively low maintenance rates, which indicates that they contribute better to social mobility, compared with private institutions. Status maintenance rates are the highest among the most selective institutions. Despite their relatively high mobility rates, those universities turn out to contribute more to reproduction of the status than to mobility. Fourth, two-year colleges show the rising trend of mobility rates over the past decade largely due to their low-income graduates’ rising success rates. This result suggests that policy attention needs to be shifted to these institutions to promote their potential as the channel for mobility, which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due to exclusive focus on elite institutions. Lastly, both mobility rates and maintenance rates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across all college groups, and such female disadvantages are more remarkable for wom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graduates of non-selective institutions. This highlights that women with low-income families are doubly disadvantaged and that the opportunities to move up the ladder for mobility through college education are given almost exclusively to men.

      • KCI등재

        증거기반 정책연구를 위한 행정자료의 활용

        유종성(Jong-sung You),전병유(Byung You Cheon),신광영(Kwang-Yeong Shin),이도훈(Dohoon Lee),최성수(Seongsoo Choi) 한국사회정책학회 2020 한국사회정책 Vol.27 No.1

        증거 기반 정책(evidence-based policy)을 위한 행정자료(administrative data), 특히 행정 빅데이터의 연계, 통합과 활용은 북유럽 국가들로부터 시작하여 최근 영국, 미국 등에서도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은 인터넷 강국으로서 전자정부와 공공데이터 개방 등의 국제적 평가에서 최상위권에 위치하지만,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과학 및 정책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개인과 가구에 대한 소득-자산 빅데이터도 제대로구축되지 않았고, 행정 자료 간의 연계 통합이나 행정자료와 조사자료(survey data) 간의 연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는 증거 기반 정책을 위한 연구에 행정자료의 구축과 활용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북유럽과 영국, 미국 등지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살펴보고, 한국에의 함의를 검토한다. 우리는 통계청이 국세청, 건강보험공단 등과 협력하여 등록센서스의 패널 구축과 전국민 등록 기반의 고품질 소득-자산 DB 구축 등을 시급히 추진할 것과 함께 학계의 적극적인 이니셔티브 하에 행정자료를 연계, 활용하는 연구 프로젝트들을 한국연구재단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등이 적극 지원, 협력할 것을 제안한다. The use of administrative data, or big administrative data, for evidence-based policy research has been rapidly spreading, from Nordic countries at the beginning to other countr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lthough Korea ranks high in international assessment of e-government and open access to government data, the use of administrative data in social sciences and policy research has been very limited. Linking multiple sources of administrative data and survey data and constructing a comprehensive high-quality population data is extremely difficult and hardly achieved.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value of utilizing administrative data for evidence-based policymaking and social science research. We examine how the issue of privacy protection has been addressed in relation to the use of linked administrative data in Scandinavia, the UK, and the US. In conclusion, we urge Statistics Korea to construct a panel dataset of register-based Census and a full-population register-based quality dataset of incomes and assets in collaboration with National Tax Service and other public agencies. Social scientists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launching large research projects using linked administrative data,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eed to actively promote such projects.

      • V-groove의 산화막 두께에 관한 연구

        梁辰承,崔性秀,林亨俊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4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3 No.-

        We studied on the thickness of the oxide to be produced at the apex. The thickness of the oxide to grow offers important data with the apex even though it formes the hole of the probe. We used MEMS process in the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