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십이지장 팽대부의 융모성선종

        최석채(Suck Chei Choi),송승렬(Seung Ryel Song),임동석(Dong Suk Lim),조규혜(Kyoo Hye Cho),유재규(Jae Kyu Ryu),김학철(Hak Chel Kim) 대한소화기학회 199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5 No.4

        Villous adenoma of the ampulla of Vater Which is sometimes the cause of extrahepatic obstructive jaudice is uncommon disease. But they are important in spite of their rarity, because of frequent malignant change in the tumor as a focal or all occult tumor. Recently, the early diagnosis of ampullary tumors has become possible due to the ide application of fiberoptic endoscopy and increasing knowledge about the ampullary tumors. Although the biopsies were taken during the endoscopy, sometimes one might miss the area of malignant degeneration. But, it could increase the diagnostic accuracy by performing a hiopsy at the highly suspected site ofl malignancy, like our case in which fixed and discolorecl areas in the lesion were biopsied. So we recommed an affn.ssive endoscopic study and hypotonic duodenogram. Even thought it is diagnosed as benign, and can be treated with endoscopic pelypectorny, but we recommend the complete resection of the tumor because of high incidence of recurrence and malign ant transformati on.

      • SCIESCOPUSKCI등재

        위식도 역류질환에서 이토프리드(Itopride)의 유효성 연구

        최석채 ( Suck Chei Choi ),김태현 ( Tae Hyeon Kim ),김희식 ( Hee Sik Kim ),임종주 ( Chong Ju Im ),손영우 ( Young Woo Sohn ),유교상 ( Kyo Sang Yoo ),염주진 ( Joo Jin Yeom ),김용성 ( Yong Sung Kim ),김상욱 ( Sang Wook Kim ),서검석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3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9 No.1

        목적 : 역류성 식도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이토프리드를 투여한 후 임상 증상 및 식도 산도에 개선효과를 평가하여 약제에 대한 유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원 소화기 내과에 방문 한 환자 중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18세 이상, 65세 미만인 환자 중 2점이상의 흉부작열감(heartburn)증상을 포함하여 4주 이상 지속되는 역류, 상복부 동통, 오심, 구토, 연하곤란, 흉통 등 상부위장관 증상 중 1가지 이상을 가지고, 내시경상 Savary-Miller 등급 Ⅰ,Ⅱ 식도염 및 24시간 보행성 식도산도 검사에서 pH<4의 시간의 백분율이 ≥5%에 해당하는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이토프리드 50mg을 1일 3회 또는 100mg을 1일 3회로 각각 식전에 경구 복용하고 총 4주간 투여하였다. 투여가 완료된 후 내원하여 신체검사 및 활력징후, 임상검사, 24시간 보행성 식도 산도검사, 증상평가를 실시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임상검사(혈액화학검사, 혈액검사, 요검사 및 프로락틴 검사) 및 시험 참여이후의 이상반응 발생유무 등을 지표로 하였다. 결과 : 역류성 식도질환의 주증상인 흉부작열감 및 모든 증상을 합한 총 증상에서 이토프리드 150mg, 300mg군 모두 투여전에 비해 투여 후에 유의성 있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 산 역류의 변인 중 식도 내 산도가 24시간 중 pH<4의 시간, pH<4 시간의 백분율, DeMeester 점수에서 이토프리드 300mg군 투여시 유의성있는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토프리드 150mg, 300mg군의 4주간 투여는 프로락틴에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이토프리드 150mg 또는 300mg 4주 투여는 위식도 역류질환에 수반되는 증상을 개선시키고, 300mg 4주 투여는 병적 역류 및 경증의 식도염 증상 개선에 효과를 보여 향후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약재로 생각된다. N/A

      • SCIESCOPUSKCI등재

        항 우울제 치료로 호전을 보인 흉통이 동반된 호두까기 식도증 1 예

        최석채(Suck Chei Choi),이상열(Sang Yeol Lee),최지훈(Ji Hun Choi),심미령(Mi Ryeong Sim),염주진(Joo Jin Yeom),박정현(Jung Hyeon Park),김태현(Tae Hyeon Kim),나용호(Yong Ho Nah)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1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7 No.2

        Nutcracker esophagus is thought to be a common cause of noncardiac chest pain although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and the effective treatment is lacking. The usual forms of therapy for noncardiac chest pain by nutcracker esophagus have been directed traditionally toward reducing esophageal hypermotility and muscle tone such as nitrate and calcium channel blocker. However, the results of this treatment in the long term care of patient with esophageal symptoms have been generally disappointing and often unsatisfactory. Recently, psychosomatic aspect of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including antidepressant treatment has been accepted in the treatment of noncardiac chest pain. We report a 48 year old female with nutcracker esophagus associated chest pain by ambulatory 24 hour esophageal manometry who failed diagnosis by conventional manometry. The symptoms of chest pai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of the patient were improved after antidepressant medication.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1;7:227-232)

      • SCIESCOPUSKCI등재

        위 아전절제술 후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에서 p53 및 Ki-67 단백 발현 양상

        최석채 ( Suck Chei Choi ),김용성 ( Yong Sung Kim ),김기훈 ( Ki Hoon Kim ),김헌수 ( Hun Soo Kim ),윤기중 ( Ki Jung Yun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2

        목적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위절제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후에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람에서 십이지장 내용물의 역류와 암종 발생 사이의 병인론적 연구가 흔하지 않다. 이에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을 보이는 환자의 조직과 대조군 환자의 조직을 대상으로 Ki-67 및 p53 단백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상피 세포증식 유도 및 암억제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암종으로 위아전절제술을 받은 총 57예 중 내시경 및 조직학적으로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으로 진단된 16예의 내시경 조직과 대조군 16예의 내시경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Ki-67 및 p53 단백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하였고 그 강도를 점수화하였다. 결과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소견을 보인 환자의 내시경적 추적 기간은 평균 607일, 대조군 556일 그리고 57예의 평균은 471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환자의 Ki-67 발현 강도의 중간값은 3.0로 대조군 중간값 2.0보다 의미있게 높았으며, p53 단백의 발현 강도 중간값도 2.0으로 대조군 중간값 1.0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결론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담즙 등이 점막의 상피세포 증식을 유도하고 유전자 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 시간 경과 후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Duodenogastric reflux of bile and other contents of duodenum is one of the main etiologic fators in chronic gastritis, and chronic inflamm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risk factor of hum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p53 and Ki-67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ethods: To evaluate the proliferation activity and tumor suppressor gene expression, 16 cases of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16 cases of control gastric tissue after subtotal gastrectomy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Ki-67 and p53 protein.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endoscopic biopsy after subtotal gastrectomy was 607 days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556 days in control groups. The mean intensity of Ki-67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3.0 vs 2.0). The mean intensity of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2.0 vs 1.0). Conclusions: The high expressions of Ki-67 and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ay be one of the main mechanisms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stump carcinoma.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18-122)

      • SCOPUSKCI등재

        건강한 한국인에서 보행성 24시간 식도내압 검사

        최석채(Suck Chei Choi),나용호(Young Ho Nah),임종채(Jong Chae Lim) 대한소화기학회 199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7 No.1

        N/A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 study was to documcnt the circadian rhythmic variation of esophageal motor functions, and the effects of food on esophageul peristalsis. Methods: Standard esophageal manometry and 24-hour ambulatory esophageal pressure monitoring were done in 20 healthy volunteers(male: 14, female: 6, mean age: 26.5 years), using a newly developed miniaturized electronic pressure transducers and portable digital data recorders. Results: Compared to the wet swallow, the food elicited a significant increae in the amplitude of contractions. With 24-hour monitoring, approximately 1,000 contractions were recorded over a 24-hour period. Meals were ass<x.iated with increase in contraction frequency and amplitude. During night, when the subjects were in supine position, esophageal motor activity was markedly decreased and disorganized, with a large percentage of the contractions being simultaneous and of high amplitude. However, even during the upright and meal periods there was a high incidence of simultaneous contractions, l7% and 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re are circadian rhythmic variotions in esophageal motor pattern and the normal values in a healthy Korean are: contraction amplitude; greater than 25mmHg and less than 100mmHg, simultaneous contractions; less than 40fo in upright position and less than 55% in supine position, multipeaked contraction; less than 10%. (Korean J Gastroenterol 1995;27: 1-8)

      • SCIESCOPUSKCI등재

        식도의 원주상피 피복 점막에서 점액유전자 발현 및 세포증식능에 대한 연구

        최석채 ( Suck Chei Choi ),김용성 ( Yong Sung Kim ),김기훈 ( Ki Hoon Kim ),김헌수 ( Hun Soo Kim ),조향정 ( Hyang Jeong Jo ),윤기중 ( Ki Jung Yun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바렛식도는 지속적인 위식도역류 등으로 원위부 식도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편평상피세포 대신에 배상세포를 포함하는 장형 원주세포로 식도 점막이 피복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형성을 거쳐 선암종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형성 이전 단계인 바렛식도의 발암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바렛식도와 배상세포를 포함하지 않은 원주세포만 있는 식도를 대조군으로 하여 점액유전자 및 세포증식능에 대해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임상 및 내시경적으로 바렛식도가 의심되어 원위부 식도에서 생검한 환자들 중에서 배상세포가 있어 조직학적으로 바렛식도로 증명된 25명의 환자와 배상세포가 없었던 환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30예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생검 당시의 나이와 성별 그리고 MUC1, MUC2, Ki-67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 바렛식도의 평균 나이 및 남자 비율은 각각 65.3±10.1세, 76.0%이였고, 대조군의 평균 나이 및 남자 비율은 각각 53.0±14.8세, 60.0%로 바렛식도의 나이가 대조군식도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MUC1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 모두에서 100% 발현되었고, MUC2 발현율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에서 각각 92%, 20%이었다. Ki-67 발현율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에서 각각 80.0%, 70.0%이였고, Ki-67 발현 강도의 평균은 바렛식도 1.20±0.76, 대조군 0.77±0.57로 발현 강도에서 바렛식도가 의의있게 높았다. 결론 : 바렛식도는 원주세포만 있는 식도에서 보다 좀더 지속적인 위식도역류 등의 자극으로 생긴다. 그리고 MUC2는 주로 바렛식도에서 발현되고 세포증식능은 바렛식도에서 좀더 높으며 이는 MUC2 발현과 관련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Aims: Barrett`s esophagus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etaplastic columnar epithelium with goblet cells in the distal esophagus. Barrett`s esophagus progresses through low grade dysplasia and high grade dysplasia to adenocarcinoma. We studied the patient age, the mucin gene and the proliferation activity of biopsy-proven Barrett`s esophagus and simple columnar epithelium-lined esophagus. Methods: To evaluate the mucin gene expression and proliferation activity, twenty five cases of Barrett`s esophagus and thirty cases of control esophagus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using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MUC1, MUC2 and Ki-67. Results: The Barrett`s esophagus patients were older (mean: 65.3±10.1 years) than the control patients (mean: 53.0±14.8 years). The MUC1 expression was 100% in both Barrett`s esophagus and the control esophagus. An MUC2 expression was observed in 92.0% of the Barrett`s esophagus and 20.0% of the control esophagus. The rate and intensity of the Ki-67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Barrett`s esophagus (80.0%, 1.20±0.76) than that in the control esophagus (70.0%, 0.77±0.57). Conclusions: Barrett`s esophagus is a metaplastic lesion due to the more long-standing gastroesophageal reflux than that in a simple columnar epithelium-lined esophagus. The cause of increased proliferation activity in Barrett`s esophagus may be related to the MUC2 express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21-25)

      • KCI등재

        한국인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CCL20 유전자의 발현 및 sulphasalazine과 glucocorticoid에 의한 조절작용

        최석채(Suck Chei Choi),나용호(Yong Ho Nah),정연태(Yeun Tai Chung),한원철(Won Cheol Han),이명수(Myeung Su Lee),전창덕(Chang-Duk Jun)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6

        염증성 장 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과 크론씨 병(Crohn,s disease)으로 분류되어진다. 최근 혈액의 단핵구 세포와 장 상피세포에서 발현되어지는 Nod2 유전자가 크론씨 병의 원인 유전자로 알려지면서 혈액의 단핵구 세포가 염증성 장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재조명되었다. 본 연구는 Nod2 유전자처럼 단핵구 세포와 장 상피세포에서 공통으로 발현하며, 인체에서 선천성 면역능과 후천성 면역능을 연결하는 것으로 알려진 CCL20 유전자가 한국인에서 발병율이 높은 궤양성 대장염에서 어떻게 발현이 조절되는지 알아본 것이다. CCL20 유전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대부분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혈액 단핵구 세포 및 장 상피조직에서 발현이 증가되어져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환자의 disease activity index (DAI)와 CCL20 유전자 발현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흥미롭게도 CCL20가 높게 발현된 환자들은 대다수 이전에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CL20 유전자가 초기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에 관여하고 있으며 항-염증제 치료에 반응을 하는 유전자라는 것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이전에 항-염증치료를 받지 않은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 대하여 3개월 간 5-amino salicylic acid (5-ASA)와 glucocorticoid 유도체인 dexamethasone (DEX)으로 약물치료를 수행하였다. 이 결과 CCL20 유전자의 발현이 이들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THP-1 단구세포와 HT-29 장 상피세포에 TNF-α 또는 IL-1β로 CCL20를 유도한 다음 5-ASA와 DEX를 처리한 결과 환자에서와 같은 효과를 검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CCL20가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혈액 및 장 조직의 면역학적 병리작용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으며 궤양성 대장염의 진단 및 예후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Discovery of Nod2 has brought to light the significance of mononuclear cells as well as epithelial cell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pathogenesis. Similarly, CCL20 is expressed in both mononuclear cells and epithelial cells and is likely to link innate and acquired immunity. We therefore asked whether CCL20 expression is altered in th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from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UC), a major type of IBD in Korea, and is correlated with the disease activity. The expression levels of CCL20 mRNA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PBMCs from the patients with UC. CCL20 protein expression was also up-regulated in the mucosal epithelium in UC but not in normal controls. Interestingly, however, disease activity index (DAI) revealed that untreated UC groups express higher expression levels of CCL20 mRNA than treated UC groups, implying that CCL20 may be a potential target for the anti-inflammatory treatments. In an agreement with this, three months follow up study revealed that the UC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5-amino salicylic acid (5-ASA) and glucocorticoid showed dramatic decrease in their CCL20 mRNA levels as compared to untreated ones. Moreover, TNF-α- or IL-1β-induced CCL20 secretion in human epithelial HT-29 cells was significantly diminished by the treatment with 5-ASA and/or dexamethasone, suggesting that CCL20 may be one of the central targets of the anti-inflammatory drug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CL20 expression in UC may be associated with altered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the blood as well as the intestinal mucosa and further implied a potential for CCL20 as an important diagnostic marker for UC.

      • SCOPUSKCI등재

        내시경적 식도정맥류 결찰요법의 식도하부 운동과 식도내 pH에 대한 영향

        최석채(Suck Chei Choi),김형언(Hyeong Eon Kim),유광현(Kwnag Hwon You),류준형(Jung Hyung Ryu),김태현(Tae Hyeon Kim),김학철(Haak Cheoul Kim) 대한소화기학회 199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7 No.2

        N/A Background/Aims: A recently developed method that uses sma11 rubber bands for treating bleeding varices, endoscopic variceal ligation(EVL), may affect the lower esophageal motil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EVL on esophageal motility and gastroesophageal reflux. Methods: We prospectively performed lower esophageal manometry and 24-hour ambulatory esophageal pH monitoring before and after EVL therapy in 34 patients with esophageal varices. Results: The EVL caused considerable decrease in the size of esophageal varix by mean 7.8(range 3 21) ligations in mean 1.5(range l -3) ses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ngth, pressure, relaxation percent and duration of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LES), in the speed of peristaltic wave in the lower esophagus and all pH parameters after EVL. Conclusions: Endoscopic variceal ligation therapy may cause little motility dysfunction in thc lower esophagus,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action amplitude and duration in the lower esophagus after EVL. (Korean J Gastroenterol 1995;27: 151 - 15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