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 분석을 통한 퀵앤더티 (Quick & Dirty) 디지털 서비스 객체 모델링 저작도구 연구

        최보리(Choi, Bori),박남춘(Park, Namchoon),허형선(Hur, Hyeoungseoun),이지현(Lee, Jihy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최근 제품의 서비스화, 서비스의 고도화 등 고객 만족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서비스 디자인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디자인을 하나의 학문으로 정의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 방법론은 서비스디자인을 개발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폭넓게 활용된다는 가치를 지닌 반면, 기존 UX 디자인 방법론 또는 제품 디자인 방법론을 차용하거나 아날로그 방식의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 방법론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서비스디자인 및 관련 분야의 프로토타이핑 방법론을 수집한 뒤,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에 대한 다각도적인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 연구를 통하여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와 현황,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의 방향성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 있었으며, 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서비스디자인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지털 서비스디자인 모델링 저작 소프트웨어 컨셉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service design take center stage as a way to ensure customer satisfaction and competitive product such as product turning into service, advancement of the service etc. Accordingly, We are consistently studying Service design for defining as the study and being developed. Especially, Service Design Prototype Method has value used for total process widely such as definition, developing, delivery of idea. But it has been borrowed Method of previous UX Design or Product design and used Analog of Service Design Prototype Method. In the present study, I collect the information about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Prototyping and then analyze the various angles of perspective. We can define Services Design Prototyping key elements, situation and direction by studying. It has significance to propose the suitable Digital Service Design Modeling tool concept for next generation based on the defined contents.

      • 외국인 여행자를 위한 ICT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경험에 대한 연구-종로 ‘광장시장’ 음식 경험을 중심으로-

        최보리(주저자) ( Bo Ri Choi ),주연경(공동저자) ( Yeon Gyung Joo ),이지현(교신저자) ( Ji Hyun Lee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5 No.-

        전통시장은 단순히 판매-소비 중심의 플랫폼 역할뿐만 아니라, 오랜 전통을 기반으로 한국의 문화와 활기를 담은 관광지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국내 유통서비스업의 개방 이후, 대형 유통업계와의 경쟁과 낙후된 환경 등 전통시장의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시장의 근본적인 활성화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외국인 여행객을 유치하는 전략이 제안되고 있지만, 현재 전통시장의 경우 외국인 여행객 기반의 서비스가 부족한 실정이다. 위 연구에서는 외국인들의 주요 관광지인 광장시장을 사례로 선정하고, 문제 해결 방법에 UX(User Experience)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광장시장과 광장시장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객들의 Context를 이해하고, O2O 기술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컨셉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의사소통 및 음식 선택 경험을 중심으로 한 외국인 관광객 전통 시장 경험 디자인을 위한 블루프린트 및 이해관계자맵을 작성하였으며, 핵심 니즈에 관한 시나리오 및 UI 디자인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Not only traditional markets serve as a platform of center of sales and consumption but they also have value of Koran culture based on historic traditions and activeness of tourist attractions. However, ever since the opening of domestic distribution servi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ditional markets have been decreasing continuously along with competition with supermarkets and lagged behind environments. As a solution to fundamentally re-vitalize these markets, attracting foreign tourists has been suggested but current service provided for foreign tourists is greatly insufficient. Above study selected “Kwangjang market”, the famous tourist attraction, as a case and applicated UX(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es in solving the problem discussed. Through this foreign tourists who visit the “Kwangjang market” could understand its context. In doing so, we suggest a concept of mobile application based on O2O technology. To be specific, service blueprint and stakeholder map is designed with emphasis on foreigner communication and food selection experience, and key path scenario and UI design is developed to meet key user needs from user experience research.

      • HMD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 시스템 정의

        최보리(Choi, Bo-Ri),박남춘(Park, Nam-Choon) 한국디자인학회 2015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0

        Contents for Virtual Reality have been studied for many years. Since the success of Oculus Rift in 2012, the Virtual Reality market based on Head Mounted Display began to get attention considerably. Wearable type of HMD provides not only embodying more realistic Virtual Reality, but also focusing more deeply through the screen in the first person. In this paper, we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Virtual Reality based on HMD, and also suggest Virtual Service Design Prototyping system which is basically integrating Virtual Reality based on HMD into design practice This paper has significance for working on a constraint of the earlier study of Service Design Prototyping and proposing a new usability evaluation tool in the first person.

      • 소프트 키보드의 터치 위치별 지각 불편도 및 근전도 분석

        최보리(Bori Choi),정기효(Kihyo Jung) 대한산업공학회 2013 대한산업공학회지 Vol.39 No.2

        With diversity of mobile services (e.g., messenger, and social network service) on smartphone, the demand of text input using a soft keyboard is increasing. However, studies on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users for various touch locations are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rgonomic effects according to touch locations of a soft keyboard on smartphone.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study measured perceived discomfort using Borg’s CR-10 scale and electromyography (EMG) on forearm (abductor pollicis longus, and extensor digitorum communis) and thumb (abductor pollicis brevis, and first dorsal interossei) muscles. Perceived discomfort was significantly varied from 0.7 (extremely weak discomfort) to 2.5 (weak discomfort) depending on touch locations. %MVC according to touch locations was only significant at abductor pollicis brevis which varied from 10% to 23%.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ergonomic design of a soft keybo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