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 광고 효과 향상을 위한 차세대 모바일 광고서비스 효과 연구

        최민경,이욱,Choi, Minkyung,Lee, Oo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TV 광고 시청 중에 스마트폰을 더 많이 이용하지 않을까? 그러면 분산된 집중으로 인해 TV 광고효과는 감소되지 않을까?'에서 출발하였다. 사전 조사 결과, TV 광고 시청 중에 약 63%가 스마트폰을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기술 기반의 TV 광고 연동형 모바일 광고서비스의 효과를 실험 및 분석하여 새로운 모바일 광고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동일한 콘텐츠의 광고를 TV 광고 연동형으로 제공했을 때, 일반 모바일 광고에 비해 고객 반응률이 약 9배 이상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TV 광고 송출 시점에 TV 앞에 있는 고객 대상으로 동일한 콘텐츠의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향후 TV 광고의 효과 감소를 보존해줄 새로운 광고서비스로 고주파 기술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This study suggests that 'Will not we use more smartphones while watching TV commercials? Then, will the TV advertising effect decrease due to the distributed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bout 63% of users watching TV commercials use smartphones together.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possibility of a new mobile advertising service by experiment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f high frequency technology based TV advertising linked mobile advertising servi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sponse rate of the same content is improved about 9 times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general mobile advertisement when the advertisement of the same content is provided by the TV advertisement interlocking typ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quite effective to provide the same content advertisement to the customers who are in front of the TV at the time of sending the TV advertise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ervices based on high frequency technology will be activated as a new advertising service that will preserve the effect of TV commercials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에 있어서의 이민 통합과 지방 정부 네트워크

        최민경(Choi, Minky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2

        지방 정부 네트워크인 외국인집주도시회의는 설립 이래, 중앙 정부와의 능동적인 상호 관계 속에서 일본의 이민 통합 문제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중앙 정부가 사실상의 이민을 ‘무시’ 하던 시기에는 독자적인 정책을 통하여 지역 사회의 과제에 대응함과 동시에 중앙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촉구하였고(2001~2005년), 중앙 정부가 이민 통합 문제에 공식적으로 나서고 정주 외국인 정책을 마련한 이후에는 이를 보완하면서 협력적인 모습을 보였다(2006~2010년). 이후 인구 감소 시대를 맞이하여 중앙 정부가 내 놓은 경제적 관점만을 중시한 외국인 수용 정책에는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독자적인 세력 확장과 더불어 장기적이고도 종합적인 시각에서의 이민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2011~2015년).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ommittee for Localities with a Concentrated Foreign Population, a local government network in Japan, has framed the immigrant integration problem in an active inter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ince its establishment. Through its own policies, the committee has responded to the challeng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urged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period when it “neglected” de facto immigration, to take action(2001~2005). Once central government officially launched initiatives on the immigrant integration issue and established the foreigner residency policy, the committee took a cooperative stance by supplementing the government’s actions(2006~2010). It then gave a critical response to the government’s policy of accepting foreigners in the era of population decline that emphasized only the economic aspects, and is now putting effort into expanding its own power along with integrating immigrants from a long-term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2011~2015).

      • KCI등재

        인구 감소 시대 일본에 있어서의 외국인 수용

        최민경(Choi Minkyu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디아스포라 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인구 감소 시대를 맞이한 일본의 외국인 수용 정책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는지를 기능 실습생과 유학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기능 실습생의 경우, 새로운 수용 기제를 도입하지 않고 기존 제도를 수정, 확대함으로써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수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능 실습 제도를 통해서는 기술 이전 등의 명분하에 저숙련 외국인 노동자를 수용 기간을 한정하여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 ‘옆문’이 오늘날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유학생의 경우, 고도 인재 예비군으로서 이민의 가능성을 열러두고‘앞문’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일본어 학교의 ‘일하는’ 유학생을 중심으로 ‘옆문’ 또한 확대 개방함으로써 학업기간 중의 아르바이트를 통해 실질적인 저숙련 노동력을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인구감소 시대를 맞이한 일본의 외국인 수용 정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저숙련 외국인 노동자는 수용하지 않고 전문직 종사 외국인만 받아들인다는 원칙하에, 변칙적으로 ‘옆문’을 통해 저숙련 노동자를 수용하는 기존의 모습을 고수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Japan"s policy to accept foreigners in the era of declining population is fundamentally changing, focusing on technical interns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ase of technical interns, acceptance is increasing because they can solve the labor shortage problem by revising and expanding the existing system without introducing new acceptance mechanisms. Through the Technical Intern Training Program, it is possible to accept low-skilled foreign workers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under the justificat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this "side door" is being used more actively today.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y are accepted through the "front door" with the possibility of immigration as future global talent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side door" is also expanded mainly to the "working"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 Japanese language school, so they are utilized as low-skilled workers through the part-time work during the study period. As like this, Japan"s policy to accept foreigners in the era of declining population seems to be changing rapidly, but in reality, under the principle of non-acceptance of low-skilled workers and acceptance of foreigners engaged in professional work, the direction of the existing policy is strongly adhered.

      • KCI등재

        부산의 산동네와 해역 이주 : 근현대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최민경(Choi Mink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부산 산동네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근현대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고찰의 결과, 부산의 산동네는 크게 세 시기에 걸쳐 등장, 전개, 확대되어 왔으며, 모든 시기에서 해역 이주 현상과 뒤얽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초반, 1940년대 후반, 그리고 1950년대 초반의 급격한 인구의 사회적 증가가 부산 산동네의 역사적 형성의 결정적인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일제강점기 부산역과 부산항을 중심으로, 도일을 희망하는 노동자의 적체로 인해 등장한 산동네는 해방공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귀환동포와 피난민의 대규모 유입을 통해 부산 내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바꾸어 말하자면, 부산의 산동네를 근현대 전반에 걸쳐 장기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면 그것은 바다를 통하여 여러 가지 의미에서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동과 맞물리는 형태로 역동적인 형성 과정을 거쳐 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고찰은 일반적으로 한국전쟁 피난민 유입에 부산 산동네의 기원을 찾는 기존 연구에 해역인문학적 시각을 더하여 부산 도시 형성의 역사를 살펴보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즉, 한국전쟁 피난민 유입은 부산의 산동네가 오늘의 모습에 이르는 가장 극적인 계기가 되었음은 분명하지만, 이는 부산이 근대와 현대에 걸쳐 경험한 바다를 통한 고유의 인구 이동과 증가의 역사를 바탕으로 중층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이라는 지역, ‘로컬’은 해역, 구체적으로는 동북아 해역을 가로지르는 인문 네트워크와의 상호 작용 속에서 초국가성/국가성을 내포하며 전개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국제 비교 연구를 통해 이론적, 사례적 함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of hillside town in Busan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continu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llside town in Busan had appeared, developed, and expanded over three major periods, and was intertwined with the phenomenon of migration through sea region at all times. Specifically, the rapid social growth of the population from the mid-1920s to the early 1930s, late 1940s, and early 1950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historical formation of hillside town in Busa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illside town appeared mainly in Busan Station and Busan Port area due to the congestion of workers who wanted to move to Japan. And afterwards, the area was expanded to various parts of Busan through the liberation space and the Korean War with large influx of repatriated Korean diaspora and refugees. In other words, the long-term analysis of Busan s hillside town throughout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shows that it has undergone a dynamic formation process in which it coincides with the movement of various people across borders throughout the sea. This study s analysis is generally meaningful as a work to examine the history of Busan s urban formation by adding a perspective of sea region humanities to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origin of Busan s hillside town which only focusing on the influx of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That is the influx of refugees from the Korean War was the most dramatic point for Busan s hillside town to reach its present appearance, but it was formed multi layered way based on the history of unique migration movement through the sea and population growth that Busan experienced throughout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rough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local’, Busan has been developed with transnationality/nationality in interactions with humanities networks across sea region, specifically Northeast Asian sea region, and future comparative international studies will enhance theoretical and case implications.

      • KCI등재

        일본의 일계 정주 외국인 정책에 관한 연구: 등장과 전개 과정을 중심으로

        최민경 ( Minkyung Choi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1

        정주 외국인이 증가와 더불어 사회 통합 정책의 필요성이 높아졌고, 일본 정부는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 움직이기 시작했다. 2006년 정책으로서의 ‘다문화 공생’의 시작은 일본 사회에 정주하는 외국인의 모어 및 모문화와의 ‘공생’과 이들의 주체성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 부여와 함께 이루어졌다. 그런데 2008년 가을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일본 정부의 정주 외국인 정책은 미묘하게 굴절된다. 정책의 대상이 되는 정주 외국인을 재일 일계인으로 한정하였고, 이들의 대량 실업이라는 긴급 상황에 대응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일본어 교육과 아동의 일본 공립학교 편입이 중요시되었으며, 이들의 모어 및 모문화 보장과 역량 강화는 간과되었다. 물론, 2014년 이후, 경기 회복과 더불어 관련 정책은 재일 일계인과의 보다 장기적인 관계를 염두에 두고 모어 및 모문화 존중과 주체성 확보를 다시 시야에 넣기 시작했다. 단, 이와 같이 일부발전적인 모습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재일 일계인만을 정책의 대상으로 국한한다는 점은 앞으로의 정주 외국인 정책 일반의 귀추를 살펴보는 데 있어서 주목해야 할 측면이다. As a number of foreign residents had increase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began to be required in Japan and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o take action in the late 2000s. In 2006, the government finally adopted multicultural coexistence policies for foreign residents. These policies tried to coexist with foreign residents respecting their diverse language and culture and securing their subjectivity. But global economic crisis in the fall of 2008 bent the policies meaningfully. Japanese foreign residents policies started targeting only foreign residents of Japanese descendents and focusing on handl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ir mass unemployment. Acquisition of Japanese language by foreign residents of Japanese descendents and their children``s transfer to Japanese public school were main concerns. On the other hand, respecting their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supporting empowerment were overlooked. Of course, since 2014 Japanese foreign residents policies began to change again with a long term relationship with foreign residents of Japanese descendents in mind. They are no longer emergency measures and concerning coexistence with diverse language and culture and empowerment of the minority. Despite of this progress, Japanese foreign residents policies still limit their targets to foreign residents of Japanese descendents and this point should be watched critically from now on.

      • KCI등재

        일상생활평가 가이드북을 기반으로 한 체크리스트의 평가자간 신뢰도 향상을 위한 연구

        최민경 ( Minkyung Cho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평가 가이드북을 기반으로 한 K-MBI 체크리스트를 제작하여 평가자간의 신뢰도 및 일치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평가자간 신뢰도 및 일치도 조사를 위해 기존의 K-MBI 검사 지침에 근거하여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동영상을 촬영하였다. 평가자간 신뢰도와 일치도 조사는 8명의 작업치료사가 교육 전과 후에 동일하게 동영상속의 환자를 평가하여 확인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 급내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정답률의 변화는 교육 전 64.77%에서 교육 후에 88.62%로 향상되었고, 평가자 간 일치도는 모든 항목에서 일치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K-MBI 체크리스트를 통한 일상생활활동 평가에서 평가자 간의 신뢰도와 일치도를 향상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inter-rater reliability by producing the K-MBI checklist based on activity of daily living guide book. The daily activities of patient were recorded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agreement. In order to examine reliability and agreement, 8 occupational therapists evaluated patient in the same video pre and post the K-MBI checklist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0.0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s). The change in the correct rate was improved from 64.77% prior to education to 88.62% after education, and the agreement was improved in all categories. In the sub items, the newly developed K-MBI checklist provided higher consistency than the original K-MBI.

      • KCI등재

        패전 직후 일본의 해항검역과 귀환

        최민경 ( Choi Minky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7

        本研究では、これまであまり注目されてこなかった海港検疫を通じて、敗戦直後の帰還(引楊)局面において、日本人の境界が新しく規定されていく過程を考察した。 1945年8月15曰、帝国の崩壊とともに、日本は多民族帝国から単一民族で構成される 国民国家へと構成員の境界に急激な変化を経験せざるを得なかった。こうした変化は 帰還過程で在外日本人の包摂と在日外国人の排除といった形で表面化するが、その中 心となった空間は帰最港だった。分析の結果、在外日本人の帰還は伝染病、そのなか でもコレラの流入に対した強い警戒の下、進められたことがわかった。しかし、彼らはあくまで戦後日本の構成員として包摂の対象だったため、GHQ/SCAPと日本政府は多くの資源を動員し、日本国内を混乱させない形で領土の内部へ位置させた。一方で'、在日外国人に対する海港検疫の場合、舎初、彼らの存在が在外日本人の帰還過程へ障害物とならないことを目的に限定的に行われた。ところが、朝鮮人を中心に再渡曰か'増加するとともに、コレラの流入を防ぐという「科学的根拠」に裏付けを得て、徹底的な排除が始まった。そして、このように始まった帰最港を中心とした密航者に対する海港検疫は、曖昧な状態だった植民地出身者の法的地位を日本人の境界の外側に位置づける過程の始まりだった。本研究で検討した敗戦直後、日本の帰最港で行われた海港検疫は、特に帝国から国民国家への再編という構造的変化の局面に焦点をあてたという側面から、検疫のもつ政治性を明らかに伺える事例の一つとして意味をもつ.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by which the boundaries of Japanese were newly defined in the repatriation phase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of Japan through the maritime quarantine, which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On August 15, 1945, with the collapse of the empire, Japan was forced to undergo a drastic change in the boundaries of its members from a multi-ethnic empire to a monoethnic nation-state. This change surfaced in the process of repatriation in the form of inclusion of Japanese overseas and exclusion of foreigners living in Japan, and the repatriation port was the center of this chan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patriation of Japanese overseas was carried out under strong caution against infectious diseases, especially the influx of cholera. However, because they were the subject of inclusion, GHQ/SCAP and Japanese government mobilized many resources to place them inside the territory in a way that did not disrupt Japa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oreign residents in Japan, maritime quarantine was initially carried out in a limited manner with the aim that their existence would not be an obstacle to the repatriation process of Japanese overseas. However, as the number of returnees to Japan increased, especially among Koreans, the thorough exclusion began with the support of the scientific basis to prevent the influx of cholera. And this maritime quarantine against stowaways centered on the repatriation ports was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of positioning colonials, whose the legal status was still vague,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Japanese. The maritime quarantine conducted at Japan's repatriation port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examined in this study is one of the cases that clearly shows the political nature of quarantine by focusing on the structural change from the empire to the nation-state.

      • 디아스포라의 귀환과 해역 공간 : 해방직후 한인 디아스포라의 부산 귀환을 중심으로

        최민경(Choi, Minkyu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10

        Unique perception on repatriation and repatriates was formed in sea region which functioned as a gateway of repatriation. An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of Korea, Busan was such a space. Since August 1945, more than 2 million Korean diaspora had repatriated to Busan from Japan, mainland China, and Taiwan 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community of Busan, this meant a large influx of population, and various social problems derived from this had an effect on the gaze on repatriation and repatriates. Representative social problems were unemployment and infectious diseases, and confronting and responding to these problems, a ambivalent awareness of the repatriated Korean diaspora was created. In other words, when analyzed at the local level, the repatriation of the Korean diaspora was not a legitimate issue as a national task, and gazes on it showed complex aspects due to various social fact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