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전문성의 관계

        최미애(Choi, Mi Ae),김순영(Kim Soon Young),최양미(Choi, Yang 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하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 17일부터 28일까지 서울·경기 지역 유치원 교사 총 325명에게 방문 조사를 통해 설문을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2.0과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성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자유선택활동을 교육하는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도 교사의 전문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사 전문성에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셀프리더십과 교사 전문성 간의 관계를 간접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셀프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수준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업무환경에 대해 교사들에게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등을 제공하고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촉진자 및 조력자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of teachers who conduct free-selection activities in kindergartens. In addition, we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self-efficac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gather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on 325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from September 17 to 28, 2018. To analyze the data, the author used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0.0 programs to conduct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showed that self-leadership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engaged in free-selection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self-efficacy. Self-leadership of teachers who employed free-selec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tise of teachers as well. Also, self-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positively affected expertise of these teachers. In addition, the self-leadership of kindergarten teachers mediated self-efficacy, so that the indirect effect on teacher experti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direct effect of self-leadership on expertise of teachers was significant, which showed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indirec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expertise of the teachers. This study showed that to enhance expertise of kindergarten teachers, this requires enhancing self-leadership of teachers. Also,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teachers,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that can enhance self-efficacy of these teachers in their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someone who can play the role of active facilitator or helper is needed in order to enhance expertise of these teachers.

      • 컴퓨터 과학 교육 1 : 수업 사례를 통해 본 로봇 활용 교육의 가능성 탐색

        최미애 ( Mi Ae Choi ),신승용 ( Seung Young Shin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9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3 No.1

        급변하는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우리에게는 다양한 능력들이 필요하다. 특히 창의력, 문제 해결력, 고차원적 사고력 등은 급변하는 지식정보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능력으로 평가 되며 필요성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와 노력들이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로봇``이다. 특히 로봇을 교구용으로 제한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로봇 활용 교육은 직접 경험(Hands-on)과 학습자 중심(Learner-centered)의 학습을 지향한다. 이는 구성주의적 관점과도 일맥상통하며 지식의 실천(knowledge in action)적 측면에서도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학습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한 이유로 문제 해결력, 창의적 사고 능력, 동기 유발과 몰입 증진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로봇 활용 교육은 새롭고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 주며 미래 교육의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업 사례를 통해 로봇 활용 교육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해 봄으로써 그 가치와 효과를 극대화하고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소교육을 위한 포르멘선묘의 입체표현 가능성 연구

        최미애(Choi, Mi A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2

        루돌프 슈타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포르멘선묘는 아동이 자신의 내적 심상을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표출해낼 수 있게 교육하는 감정훈련으로써 평면 안에서 구현되는 미술수업이다. 아동의 균형과 통합적 사고를 유도함으로써 전인교육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한 교육방식인 포르멘선묘를 재해석하고, 입체로의 표현 가능성을 탐구해봄으로써 어떻게 초등미술교육 안에서 적극적으로 입체 교육 즉 조소교육을 시행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20세기 현대 미술의 영역을 확장시킨 조각가 알렉산더 칼더, 알베르토 자코메티의 작품세계를 통해 포르멘선묘의 입체표현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본다. Formenzeichnen developed by Rudolf Steiner, the creator of anthroposophy, is a form of emotional training to teach children to express their inner images more actively and offer art lessons on a plane. By reinterpreting Formenzeichnen, which brought an important turning point to whole-person education by inducing balance and integrated thinking in children, and making an inquiry into its expressive possibilities in three dimensions,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ctive 3D education or sculpture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ies of Formenzeichnen s expansion as 3D expressions in the creative worlds of Alexander Calder and Alberto Giacometti that expanded the area of modern art as sculptors in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전문성의 구조적 관계

        최미애(Choi, Mi Ae),최양미(Choi, Yang M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교사 전문성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40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교사전문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교사전문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은 반성적 사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교사 전문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교사 전문성에 정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간의 영향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f the head,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in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For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ed on 404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among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heads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flective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wed that the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heads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flective thinking, as well as o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lso, the reflective thinking of teac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ird, the reflective thinking of teachers act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heads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독일 Bauhaus의 작업장을 통해 본 조각교육 연구

        최미애(Choi, Mi A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1

        회화, 조각, 건축을 중심으로 총체적인 예술을 구현하고자 만들어진 독일의 조형예술학교인 바우하우스는 시각예술 전반에 걸친 새로운 사고와 교육방식으로 10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연구되며 그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바우하우스 예비과정의 철학적, 인문학적 교육은 예술의 전체성을 인정하고, 영역을 넘나드는 연계와 통합을 이루어, 조각을 포함한 순수미술에 있어 자유 작업을 하는 데 큰 영향력을 끼쳤다. 또한 작업장교육을 통해 재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오브제들을 입체 작업의 소재로 들여왔다. 바우하우스에서 조각은 전통적인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예비과정과 작업장과정으로 이루어진 교육을 통해 기술의 과학적 접근과 사물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대 조각을 비약적으로 확장시켰다. 이러한 바우하우스 교육체계 속에서 조각교육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연구해 보고, 새로운 장르로 확장을 꾀할 수 있었던 가능성에 대해 확인해 본다. Bauhaus was a German formative art school founded to embody total art around paintings, sculpture, and architecture. Known for its new ideas and educational approaches across the field of visual art, it has been the subject of research for approximately 100 years and still exerts its influence. Its philosophical and humanistic education in its preparatory course recognized the totality of art and achieved connection and integration among different areas, having enormous impacts on free works in pure fine arts including sculpture. In addition, Bauhaus promoted the understanding of materials through workshop education and introduced various objets as materials for three-dimensional works. At Bauhaus, sculpture did not remain in the traditional realm. Its education comprised of the preparatory and workshop courses enabled a scientific approach to technologies and a philosophical one to objects, thus expanding modern sculpture rapidl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how sculpture education proceeded in this educational system of Bauhaus and check its possibilities of expanding into a new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