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녹색 레이저 발진용 NYAB 단결정 성장

        최덕용,정선태,박승익,정수진 한국세라믹학회 1995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2 No.2

        Nd : YAl3(BO3)4 (NYAB) single crystal has been developed for green laser. In this experiment, we found K2O/3MoO3/0.5B2O3 to be a suitable flux for NYAB crystal growth, and grew NYAB crystal by TSSG method using this flux. By varying the cooling rate of solution, seed orientation, and rotation speed, the effects of these growth conditions on the crystal quality and its morphology were examined. Suitable growth conditiions were a cooling rate slower than 2.4$^{\circ}C$/day, the rotation speed of 25~30 rpm, and the <001> seed orienttion. The phases of grown crystal, coexisting and volatil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In addition, the possiblity of laser action was examined by UV analysis.

      •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에 따른 주요 혈관의 TOD(Table-Object Distance) 통계학적 분석 및 유용성 고찰

        최덕용(Deok-yong Choi),김용준(Yong-jun Kim),이우용(Woo-yong Lee),이주철(Ju-chul Lee),박두석(Du-seok Park)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8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1

        목적 :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CT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에 따른 주요 혈관의 TOD (Table-Object Distance)값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고 TOD값을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도출하여 TOD Calibration 적용 시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7년 한 해 동안 본원에서 시행된 CT조영검사(복부, 상지, 하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요혈관(복부대동맥, 상완동맥, 총대퇴동맥, 슬와동맥)의 TOD값을 측정하여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에 따른 TOD 변화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TOD에 영향을 주는 테이블 쿠션패드나 팔 거치대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골반모형팬텀을 이용하여 Dyna CT촬영을 하여 패드의 눌림 정도를 측정하였다. TOD ‘0’ 상태인 패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아크릴 판을 5, 7.5, 10, 12.5, 15, 17.5, 20 ㎝로 준비하고 그 위에 납자를 올려 촬영하였다. 촬영된 영상에서 납자의 길이(10 ㎝)를 TOD Calibr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TOD값은 장비 기본 설정값인 15 ㎝로 고정하였다. 결과: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에 따른 혈관의 TOD를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은 복부대동맥(남:TOD=48.870+0.140<SUP>*</SUP>Age+2.585<SUP>*</SUP>BMI, 여:TOD=49.086+0.129<SUP>*</SUP>Age+2.303<SUP>*</SUP>BMI), 상완동맥(남:TOD=62.587-0.253<SUP>*</SUP> Age+0.735<SUP>*</SUP>BMI, 여:TOD=42.833+0.536<SUP>*</SUP>BMI), 총대퇴동맥(남:TOD1=94.393+2.242<SUP>*</SUP>BMI, 여:TOD1= 98.838+1.850<SUP>*</SUP>BMI), 슬와동맥(남:TOD2=7.447+1.750<SUP>*</SUP>BMI, 여:TOD2=30.301-0.311<SUP>*</SUP>Age+1.630<SUP>*</SUP>BMI)으로 나왔다. TOD에 영향을 주는 테이블 쿠션패드 높이는 2.25~4 ㎝, 팔 거치대의 높이는 5.5 ㎝로 측정되었다. TOD 설정값 오류에 따른 길이측정값 오차 실험 결과 TOD 설정값이 1 ㎝ 차이 남에 따라 길이측정값은 약 1.26%의 측정 오차를 나타내었다. 결론 : TOD Calibration을 이용한 길이 측정 시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에 따른 주요 혈관의 TOD값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학적 방정식을 이용하여 TOD값을 설정하는 것은 길이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Purpose : Using CT Image data, Statistically analysis the TOD(Table Object Distance) of major vessels by gender, age, BMI(Body Mass Index) and estimate the appropriate TOD calibration values. Object and Method : Based on CT angiography data(abdomen, upper and lower extremity) taken in last year(2017), measure the TOD value of major vessels(abdomen aorta, brachial artery, common femoral artery, popliteal artery) and statistically analyze the variation of TOD by gender, age, BMI. Several factors influence TOD (Thickness of arm rest and cushion pad) were measured using DYNA CT and pelvis phantom. Without cushion pad, take a x-ray imaging of lead ruler on acrylic panel various height(5, 7.5, 10, 12.5, 15, 17.5, 20 cm). TOD was fixed default value(15 cm), measure the length of lead ruler. Result : The equation of estimating TOD is abdomen aorta(male:TOD=48.870+0.140<SUP>*</SUP>Age+2.585 <SUP>*</SUP>BMI, female:TOD=49.086+0.129<SUP>*</SUP>Age+2.303*BMI), brachial artery(male: TOD=62.587-0.253<SUP>*</SUP> Age+0.735<SUP>*</SUP>BMI, female:TOD=42.833+0.536<SUP>*</SUP>BMI), common femoral artery (male:TOD=94.393 +2.242<SUP>*</SUP>BMI, female:TOD=98.838+1.850*BMI), popliteal artery (male:TOD=7.447+1.750<SUP>*</SUP>BMI, female:TOD=30.301-0.311<SUP>*</SUP>Age+1.630 <SUP>*</SUP><SUP></SUP>BMI). Table cushion pad is measured 2.25 ~ 4 cm, and arm rest is 5.5 cm. By wrong TOD calibration setting, distance measurement error is 1.26% per 1 cm. Conclusion : When measure the length with TOD calibration, it is considered correct and useful method that setting proper TOD calibration value using statistical equation estimating TOD of major vessels by gender, age, BMI.

      • NYAB 결정육성시 종자정의 방향이 성장외형 및 표면형상에 미치는 영향

        정선태,최덕용 한국결정학회 1994 韓國結晶學會誌 Vol.5 No.2

        K2O/3MOOS/0.SBB03 융제를 사용하여 TSSG 법으로 육성한 Md:Yal3(BO3)4 (NYAB) 단결정의 결정외형 및 표면형상을 연구하였다. <100>과 <120> 종자정을 사용한 경우는 서로 다른 크기의 프리즘 면들과 (101) 면들이 발달하였고 <001> 종자정을 사용하였을 때는 (001) 면이 함께 발달하였다. 종자정의 방향이 <100>또는 <120> 일때 프리즘 면 위에 성장구룽이 많이 형성되었으나, <001> 일때는 이웃하는 (101) 면에 평행한 줄무늬가 형성 되었다. (101) 면은 이차원 핵생성에 의한 성장이 지배적이고, <001> 종지정을 사용할 때 발달하는 (001) 면은 나선형 전위에 의한 성장이 지배적이었다. 종자정의 방향은 성장외형을 변화시키고 성장외형과 결정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성장변수로 작용하였다. Growth form and surface morphology of NYAB single crystal grown by TSSG technique using a K2O/3MoOS/0.5B203 flux was investigated. In the crystal grown from <100> or <120> seed, prismatic and (101) faces were well developed with different size each other. (001) face was also developed in the crystal grown from <001> seed. While growth hillocks were observed on the prismatic face of the crystal grown from <100> seed, surface striations parallel to neighbor (101) faces were formed on that face of the crystal grown from <001> seed. The (101) faces were grown by two dimensional nucleation growth. (001) face which was developed at slow growth velocity of [001] direction was grown by screw dislocation Anisotropy of growth velocity as to seed orientation affected on crystal morphology and surface morphology.

      • 노이즈 결정화 방식을 이용한 특허 노이즈 필터링 방법

        김무진,윤장혁,최덕용,경진영 한국경영과학회 2015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특허정보를 활용한 모든 분석의 선행단계로 관련기술의 특허수집을 실시하는데, 이때 노이즈 특허 필터링은 필수적이며 전문인력에 의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1) Shannon Entropy의 정보량 분석기법을 응용해 노이즈 특허 시드를 추천하고, 2) 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의 특허간 의미론적 유사성 분석 통해 노이즈 시드 특허에 대한 결정화를 실시함으로써, 노이즈 특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분석 방법의 필수적 선행단계인 유효특허 정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 노이즈 결정화 방식을 이용한 특허 노이즈 필터링 방법

        김무진,윤장혁,최덕용,경진영 대한산업공학회 2015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특허정보를 활용한 모든 분석의 선행단계로 관련기술의 특허수집을 실시하는데, 이때 노이즈 특허 필터링은 필수적이며 전문인력에 의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1) Shannon Entropy의 정보량 분석기법을 응용해 노이즈 특허 시드를 추천하고, 2) 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의 특허간 의미론적 유사성 분석 통해 노이즈 시드 특허에 대한 결정화를 실시함으로써, 노이즈 특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분석 방법의 필수적 선행단계인 유효특허 정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 Electronic Shutter 변화에 따른 선량 비교와 선량 경감을 위한 적정 설정 값 제시

        김용준(Yong-jun Kim),최덕용(Deok-yong Choi),이우용(Woo-yong Lee),이주철(Ju-chul Lee),김현주(Hyun-ju Kim)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7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0 No.1

        목적 : Electronic shutter의 설정 값에 따른 조사야 조절 기구(Collimator)와의 거리 차이와 그에 의한 선량의 변화를 알아보고 보다 효율적인 Electronic shutter의 위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의 Siemens 장비와 Water phantom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은 water phantom을 table에 올려놓은 후 엔지니어와 함께 장비의 collimator 크기를 인위적으로 튜브에서 조절하여 5단계로 고정한 후 선량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같은 확대율에서는 Collimator 크기를 단계별로 변화를 주면서 선량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Collimator의 크기가 2000 mm에서 2032 mm까지 커지면서 선량 값이 평균 68.044 μGy에서 68.3583 μGy까지 5%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확대율에 따라서는 확대율이 높을수록 DAP값이 감소하였으며 같은 확대율에서도 collimator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DAP값은 감소하는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collimator를 사용 안했을 때의 선량과 3.2 mm의 collimator를 사용하였을 때의 선량이 평균 1.12710-5Gy・m2 DAP의 선량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및 고찰 : 우리나라는 아직 Electronic shutter에 대한 규정이 없어서 여러 병원 사정에 의해서 아니면 장비 회사마다 설정해놓은 값에 따라서 Electronic shutter가 무작위로 들어가게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Electronic shutter를 제거했을 때 collimator의 크기는 그대로 있고 Electronic shutter를 사용한 이미지의 data와 실제로는 collimator를 조절하지 않고 얻은 이미지 data 사이에는 선량 값의 차이가 있다. 이에 우리는 우리나라도 Electronic shutter와 collimator 사이 값을 규정으로 정해서 환자가 받는 선량을 경감하고 좀 더 나은 이미지를 얻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Purpose : To estimated the appropriate setting value of electronic shutter in order to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by analyzing the changes of radiation dose which correlate with differences in distance between collimator and electronic shutter value. Material & Method : Artis Zee Ceiling FPD Single-plane (Siemens), Acryl Phantom(30 x 30 x 30 ㎝) filled with water, and Dosimeter(Unfors) were used. Firstly, exposure dose were measured with Water Phantom and Dosimeter, as exposing 100 kVp, 250 mA, 1000 ms in a single exposure without shutter. and set FOV 200*200mm using collimator. Then, the exposure dose were calculated whose value were same as shutter value __ by increasing FOV by 8mm from 0 to 20 pixels at 5 pixels intervals. Secondly, to measure the exposure dose with Water Phantom and magnification factor, magnification factors were changed following 48, 42, 32, 22, 16 and 11cm in auto control mode, and exposed x-ray with decreasing FOV by 0.8mm intervals for each magnification factor. Based on the results, DAP value and Air-kerma of SR-report were calculated. Results : The study on exposure dose using Water Phantom and Dosimeter has shown that as FOV increased from 200.0mm to 203.2mm, the mean value of exposure dose increased from 68.044 μGy to 68.385 μGy. Secondly, the result of study on exposure dose using Water Phantom and magnification factor has shown that the higher the magnification factor, the lower the DAP value. In the setting of fixed magnification factor, the DAP values also decreased with decreased FOV. Conclusions : Unnecessary radiation exposure covered by the shutter can be curtailed by decreasing the value of the electronic shutter set toward less than zero.

      • KCI등재

        Highly Efficient Trans-Reflective Color Filters Incorporating TiO2-MgF2 Multilayer Stacks

        Vivek Raj Shrestha,이상신,박철순,Ishwor Koirala,최덕용 한국광학회 2015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19 No.6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highly efficient trans-reflective color filters capable of demonstratingcoloration in both transmission and reflection modes by taking advantage of a multilayer stack consistingof MgF2 and TiO2 used respectively as the low and high index materials. In order to enable suchtrans-reflective performance, securing an optimal stop band assuming an appropriate bandwidth within thevisible regime is pivotal, which was realized by tailoring the thicknesses and the numbers of TiO2-MgF2bi-layers. Three devices were designed through rigorous simulations and developed via e-beam evaporationto demonstrate vivid blue, green, and red colors in the reflection mode, and yellow, magenta, and cyancolors in the transmission mode, featuring an enhanced efficiency exceeding 90% under normal incidence. The color performance of the filters was examined by referring to the chromaticity coordinates of thetransmission and reflection spectra, alongside photographed color images. The dependence of theperformance on the angle of incidence was explored with respect to incident polarization, indicating thata transmission surpassing 60% could be stably maintained up to an angle of 75°. Polarization independenttransfer characteristics were especially achieved for the normal incidence. The proposed devices may bereadily extended to other spectral regimes by adjusting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