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층에서 고관절 골절과 골밀도의 상관관계

        정화재(Hwa Jae Jeong),최재열(Jae-Yeol Choi),이진명(Jinmyung Lee),최규보(Kyubo Choi),전병삼(Byeongsam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3

        목적: 노년층에서 통증, 장애 등을 초래하는 근위 대퇴부 골절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골밀도의 감소, 골다공증은 이러한 근위 대퇴부 골절과 연관된 인자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저자들은 근위 대퇴부 골절이 발생한 노년층에서 골밀도를 측정하여 골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대퇴 경부골절이 있는 60명, 전자간 골절이 있는 82명을 대상으로 DEXA를 이용한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대퇴부의 경부와 전자 부에서 측정하였으며, 본원 건강 검진 센터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근위 대퇴골의 골절이 없었던 158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을 각각 성별 및 골절 유행에 따라 나눈 후 비교분석을 하였다. 결과: 근위 대퇴부 골절군에서 대조군 보다 골밀도기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대퇴 전자간 골절의 골밀도는 대퇴 경부 골절의 골밀도 보디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대퇴 경부 골절과 전지간 골절군에서 각각 형태에 따른 골밀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노년층 근위 대퇴부 골절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하여 골밀도 감소를 나타내었으니, 남성에서 발생하는 대퇴 경부 골절은 감소된 골밀도와 연관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근위 대퇴부 부위별 골밀도는 골절의 위치 및 유형과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incidence of hip fracture associated with disability, pain and death increases in old age. The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particularly due to osteoporosis, has been described as one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ximal femur fracture.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f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proximal femu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bone densities of the femoral neck and trochanteric region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in 60 patients with femur neck fractures and 82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dividuals (158 subjects) who had their BMD checked in a Health promotion center without a proximal femoral fracture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type of fracture. Results: The BMD of the hip in the patients with proximal femur fractur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subjects.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 had a lower T-score than the femur neck fracture group.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displaced and undisplaced femur neck fracture groups and between the stable and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s Conclusion: The BMD in elderly patients with proximal femur fractu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poorer association between a decreased BMD and femur neck fractures in elderly males. There were no association between the BMD and location of the fracture or fracture type.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시 오구 쇄골 인대 봉합의 필요성

        김유진(Eugene Kim),신헌규(Hun-Kyu Shin),정화재(Haw-Jae Jeong),최재열(Jae-Yeol Choi),박세진(Se-Jin Park),최규보(Kyubo Choi),임종준(Jong-Jun L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하지 않고 견봉 쇄골 관절의 관혈적 정복만 시행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변형 Phemister 술식과 갈고리 금속판 (AO hook 금속판, Wolter 금속판)을 사용하여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이 21명,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이 32명 이였다. 임상적 평가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양측 쇄골과 오구돌기 사이의 수직거리를 비교하여 방사선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Constant score는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에서는 87.59±7.8,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는 89.35±5.3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두 군에서 수술 전 손상 부위의 쇄골 오구돌기의 평균 거리는 15.9 mm 이였으며, 건측 견관절은 평균 8.0 mm 이였다. 갈고리 금속판 환자군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1.0 mm, 변형 Phemister 환자군에서는 평균 1.2 mm 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오구쇄골 인대를 복원 하지 않은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양호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evaluat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fo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after removal of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obtained for 53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n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etween 1998 and 2007. A total of 21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modified-Phemister method and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Hook plate method. All subjects were surveyed after removal of their implants. The Constant scoring system was administered postoperatively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Radiologic outcomes were evaluated by both coracoclavicular intervals on plain films. Results: Constant scores were 87.59±7.8 in the Phemister group and 89.35±5.3 in the Hook plate group. For both groups, the mean coracoclavicular interval at preoperative radiography was 15.9 mm at the injured site and 8.0 mm at the opposite site. After metal removal, the mean difference between coracoclavicular distances between normal and injured sites were 1.0 mm for the Hook plate group and 1.2 mm for the modified Phemister method group (p>0.05). Conclus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n acromioclavicular joint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shows good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