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sup>60</sup>Co γ 를 조사한 인삼모상근 돌연변이 세포주의 생장과 Ginsenoside의 생산

        최규명,권정희,반성희,양덕조,Choi, Kyu-Myoung,Kwon, Jung-Hee,Ban, Sung-Hee,Yang, Deok-Cho 고려인삼학회 2002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26 No.4

        본 연구는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모상근에 $^{60}$Co ${\gamma}$-ray의 조사에 따른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0.5~4 Krad의 다양한 방사선을 조사한 결과 모상근은 3Krad이상에서 생장이 억제되었다. 2 Krad이하의 방사선을 조사한 모상근의 정단을 제거한후 자라난 측근을 하나의 세포주로 하여 생장과 형태가 다양한 206개의 모상근 세포주를 선발하고 1/2 MS 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06개의 세포주 중 생장이 우수한 10개의 세포주를 선발하였는데 특히 대조구에 비해 ${\gamma}$-GHR 70과 ${\gamma}$-GHR 94의 생장이 각각 34.5%, 44.7% 으로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생장이 우수한 10개 세포주의 형태적 특징을 주근의 굵기와 측근의 돌기형성, 측근의 생장정도에 따라 관찰하였던 바, 생장이 우수한 세포주는 1차근이 가늘며 왕성한 생장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Ginsenoside의 함량에 있어서 생장이 우수한 10개의 세포주 중 8개의 모상근 세포주가 대조구보다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gamma}$-GHR 59와 ${\gamma}$-GHR 94는 각각 19%와 16.9%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gamma}$-ray를 조사한 모상근 세포주 중 총 ginsenoside 함량이 우수하고 생장 또한 우수한 세포주로 ${\gamma}$-GHR 70, ${\gamma}$-GHR 94를 선발하였다. 특정 ginsenoside의 함량별로 보면 항암에 효과적인 Rb$_2$는 ${\gamma}$-GHR 57가 7.6%, Rc는 ${\gamma}$-GHR 69가 16.2%의 함량 증가를 나타내어 특정 ginsenoside 생산에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돌연변이와 관련된 유전자(VNTRP)분석은 현재 진행 중에 있다. Study was performed to know the effects of Panax ginseng C.A. Meyer hairy root due to $^{60}$ Co ${\gamma}$-ray irradiation. We irradiated the hairy roots under the various $^{60}$ Co ${\gamma}$-ray; 0.5~4 Krad. The growth of hairy roots is inhibited over 3 Krad treatment. The lateral roots are used as a cell line after removing the apical meristem of hairy roots irradiated below 2 Krad. We selected 206 hairy root cell lines having various different growth rates and forms, and incubated in the 1/2 Murashige & Skoog(MS) medium in the absence of hormone. We selected 10 out of 206 showing superior growth. Among those, ${\gamma}$-GHR 70 and ${\gamma}$-GHR 94 showed higher growth; 34.5, 44.7%, respectively. We observed shapable, siza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primary roots, the process formation of the lateral roots, and the growth of lateral roots. The discriminable cell line showed that primary root is thinner, and has a vigorous growth. 8 out of 10 had much more contents than control in the aspect of the ginsenoside. ${\gamma}$-GHR 59 and ${\gamma}$-GHR 94 showed higher contents; 19, 16.9%, respectively. Therefore, we selected ${\gamma}$-GHR 70, ${\gamma}$-GHR 94 as a superior cell line in the aspect of ginsenoside contents, and growth among those irradiated by ${\gamma}$-ray. According to content of ginsenoside, Rb$_2$ effective in anticancer has 7.5% of ${\gamma}$-GHR 59. Rc, also effective in anticancer showed 16.2% content increasement of ${\gamma}$-GHR 69. It is thought that those lines will be effective in manufacturing ginsenoside. Gene analysis (VNTRP) related to the mutation is in progress.

      • KCI등재
      • 교양으로서 선교와 교육의 관계적 접근

        최규명(Choi, Kyu Myung) 신학과 실천학회 2020 신학과 복음 Vol.8 No.-

        한국교회에서 선교 130년은 현재의 한국교회를 만드는 데 놀라운 공헌을 끼쳤다. 세계 선교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의 놀라운 성장을 이룬 한국교회는 선교와 교육을 그 밑거름으로 하고 있다. 성경을 중심한 한국교회의 성장은 아주 바람직한 성장으로 인정받았고, 결국 건강하고도 탄탄한 성장을 이루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21세기 한국교회에 매우 심각한 위기가 찾아오고 있다고 하겠다. 2020년 창궐한 ‘코로나19’ 확산의 주범으로 드러난 기독교 이단인 ‘신천지’나 극우파 기독교인들의 막무가내식 ‘광화문 집회’에서 비롯된 모습을 보면서, 국민들의 기독교 인식이 크게 악화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21세기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주도하는 시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19세기 이전의 사고방식으로 살아간다면 기독교의 선교에서 ‘다음세대’는 존재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선교에서 ‘다음세대의 부재’는 중대한 위기이다. 그러므로 본 고에서는 지나온 한국교회의 선교와 교육 130년을 되짚어보고, 현재 한국교회에서의 선교와 교육의 상관관계를 살펴, 21세기 포스트모던 시대에서 획기적으로 달라진 사회상은 무엇이고,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보다 효율적이고 보편적인 한국교회의 선교와 교육의 미래는 무엇인가를 근본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The 130th year of mission in Korean churches made an amazing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the present Korean church. The Korean church, which has achieved an unprecedented growth in the history of world missions, is based on missions and education.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centered on the Bible was recognized as a very desirable growth, and eventually it achieved healthy and solid growth. However, there is a very serious crisis in the Korean church in the 21st century. It is impossible to deny that the Christian perception of the people has deteriorated greatly, as it comes from the Christian heresy, ‘Shinchonji,’ which was revealed as the main culprit of the spread of ‘Corona 19,’which was launched in 2020, or the ‘Gwanghwamun rally,’which is a barbaric ceremony of the right-wing Christians. The 21st century is the era led by postmodernism. Nevertheless, if Christians still live in a pre-19th century mindset, the "next generation" may not exist in Christian missionary work. The absence of the next generation in missionary work is a serious crisis. Therefore, this study will review the past 130 years of Korean church mission and education,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ission and education in Korean church. In the 21st century postmodern era, what is the social image that has changed dramatically, and what is the future of Korean church mission and education more efficient and universal in postmodern society.

      • KCI등재후보

        해안토지의 지적공부등록실태 연구

        최규명(Choi Gyu Myeong),최윤수(Choi Yun Soo),권재현(Kwon Jay Hyo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4 No.4

        현재 우리나라는 국토의 확장과 임해공업단지의 조성 등 해안의 공간적 이용측면과 자연환경에 대한 보전적 측면에서 해안은 국가적 중요 관심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해안지역의 세밀한 토지등록이 미흡하여 토지소유권분쟁이 발생하면 경계결정 등 해결방안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실제 해안선과 접한 토지의 지적공부 등록 실태를 파악한 후 차이가 어느 정도 분포하고 있는지 등을 알아보고 그로 인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국내외의 문헌과 관련기관의 보고서 등을 이론적인 바탕으로 하여 실증적으로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서해안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실제 해안선과 바다와 접하는 지적경계선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안지역 토지의 지적공부 등록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과 등록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coast is an important area in terms of spatial land use and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such as the expansion of a national land and the development of a coastal industrial zone in Korea. We can not provide a proper solution for a boundary determination raised by a land ownership dispute due to the insufficient coast land registration. We observed the status of the coast land registration and analyzed the proble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a land title and a coast land in the study area. We selected the west coast with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ebb and flow of the tide as the study area from a paper review, compared a cadastral line with a coast line and suggested a good guideline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understanding the status of the coast land title registration in Korea.

      • 청소년 이해와 교육목회

        최규명(Choi, Kyu Myung) 신학과 실천학회 2016 신학과 복음 Vol.2 No.-

        기독교대학의 구성원은 기독교인인 듯하나 실상은 비기독교인이라고 봐야한다. 이는 기독교대학의 설립 목적이 사실상은 선교에 있기 때문이다. 선교의 대상은 당연히 비기독교인이요, 특히 대학생들이고, 넓은 의미에서는 청소년들이다. 그러므로 기독교대학에서 사역하는 교수들이나 교목들에게 피학습자인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접근은 필수항목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이 사실을 간과하고, 무조건적으로 강단에 서는 경우가 허다하다. 게다가 19, 20세기를 살아온 교수들의 삶을 21세기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청소년들에게 무조건 강요한다면, 더불어 기독교도인 교수들이 비기독교도인 청소년들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한다면 더 이상 기독교대학의 선교에 부합한 교육이 진행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동시에 기독교대학에서의 선교는 미시적인 목표는 될지 모르나, 궁극적으로는 저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하기 위한 동반자로서의 자리매김을 가져가야만 할 것이다. 인간이 목표나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그리스도께 저들은 인도하는 것은 방법이나 기술이나 돈이 아니라, 함께 웃고 함께 우는 동반자적 공동체라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대학에서의 청소년 이해라는 과정은 그 무엇보다도 우선이 되어야 하고, 나아가서 청소년 이해가 뒷받침 된 교육목회라야 할 것이다. Korean society falls in deep swamp of low birthrate. Now one comes to think of it writer churches scares and ignores childhood and have ideas which disparage,. And now, consider once again that is precious of child and teenagerses at visual point that become older person and teacher. Past for mirror now school and church, teenagerses are someone in Christian School especially, and how may our determination and attitude about teaching in age is 21th century low birthrate, non-christian (Or anti-christian), have to change? Contemplate deeply and fathom mind of teenagerses hereupon as consider, and teenagerses with consumer center`s Christian religion education in so-called Christian School that manage center to consider education cure of souls this paper begin.

      • 청소년 문화 이해와 기독교 교수법 연구

        최규명(Choi, Kyu Myung) 신학과 실천학회 2018 신학과 복음 Vol.5 No.-

        대학은 청소년기의 마지막을 보내는 단계로서 성인과 혼합된 단계에서의 교육의 장이다. 불과 수개월 전인 고등학생때까지는 미성년으로 취급받아 일방적인 입시교육에서 시달리다가 갑자기 대학에 진학하면서는 성인으로 취급받기에 청소년들은 상당히 혼란스러운 현실에 처하기도 한다. 청소년들을 지도하는 대학교수들도 마찬가지로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이다. 미성년으로 취급할 수도 없고, 성인으로 취급하자니 아직 성인으로서의 자세가 준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업 시간에 “화장실 다녀와도 돼요?” 라고 묻는 대학생들을 보면서 현재 우리의 현실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은 청소년에 대한 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청소년들을 바르게 이끌어 갈 수가 있을 것이다. 특히나 기독교 수업은 청소년들의 바른 이해에서 시작되어야만 한다. 청소년기의 종교적인 자세를 비롯한 다양한 특성들이 기독교 교육과 교수법에 반영될 때에 비로소 조금이나마 그들을 이해하는 기독교 교육이 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의미에서 의무적으로 기독교 수업을 들어야 하는 청소년(대학생)들을 바르게 이해하고 수업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university is the stage of the end of adolescence and is a place of education at a level mixed with adults. Until high school students, just a few months ago, they were treated as minors and suffered from one-sided entrance examinations. Suddenly, when they entered college, they were treated as adults. The same is true of confusion among the college professors who teach young people, because they cannot be treated as minors, and they are not yet ready for adulthood. We can guess our reality now by looking at college students asking, "Can I go to the bathroom?" Therefore, teachers who teach young people will be able to lead young people correctly only if the right understanding of youth is preceded. In particular, Christian classes should begin with the right understanding of young people. This is because it is a Christian education that understands them a little when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religious attitude of adolescence are reflected in Christian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In this sense, I would like to present an example of the theory and the actual class for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youth (college students) who are obliged to take Christian classes in this sense.

      • 현재 개신교 현황과 청년선교를 위한 교양교육 연구

        최규명(Choi Kyu-myung) 신학과 실천학회 2021 신학과 복음 Vol.10 No.-

        2020년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정국, 특히 신천지 대구교회에서의 급격한 확진자 양상으로 인한 교회 예배의 전면적·부분적 금지가 시행되자 상당수의 교회는 대면예배를 금지하고 ‘비대면 예배’로의 전환을 통하여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동참하였다. 그러나 일부 교회는 예배사수를 외치면서 대정부 투쟁을 선언하였고, 여러 가지로 예배의 당위성을 설명하면서 대면 예배를 강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전염병 확산에 단초를 제공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국민들의 염려와 걱정은 더 커져만 갔다. 처음에는 신천지가 이단교회라서 국민들이 이해를 하는 태도를 보였지만 교회에서도 확진자가 야금야금 나타나면서, 국민들은 급기야 정통교회도 이단교회와 다를 바가 없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비록 많은 수의 확진자 발생이 아니었다고 할 수도 있으나, 교회가 모름지기 사회를 염려하고 나라를 걱정해야 할 터인데, 반대로 한국의 개신교는 자신들의 종교만을 위한 이기적인 세력이 되었다는 비난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1년여 이상 교회에서의 ‘코로나19’ 확진자들이 양산되면서, 그렇지 않아도 사회에서 신뢰도가 하락하였던 개신교는 급격한 신뢰 하락을 가져오게 되었다.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시대가 바뀌어도 여전한 개신교회들의 배타적인 모습, 전광훈과 그의 추종자들을 통해 드러난 극우적 근본주의 행태의 개신교를 보면서, 교회는 국민들을 물론이고 기존 교인들과 더불어 특히 청년·대학생들에게 많은 실망을 안겨주었고, 급기야 가나안 성도를 양산하는 교회로 나아가고 있는 모습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이러한 한국 개신교의 근본주의 개념과 행태를 살펴보고 동시에 배타성 해소를 위한 노력을 통한 이웃 종교들과의 대화 및 나아가서 21세기 시대의 흐름에 알맞은 선교 전략을 통하여 청년·대학생들이 돌아올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When the total and partial prohibition of church worship was implemented due to the rapid confirmation of the Corona 19 government, especially in the Daegu Church in Shinchonji, which started in February 2020, many churches prohibited face-to-face worship and participated in preventing the spread of Corona 19 through the transition to non-face-to-face worship. However, some churches declared the struggle of the government by shouting the worship shooter, and in many ways they explained the necessity of worship and enforced face-to-face worship. This has provided a cornerstone for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worries and worries of the people have grown. At first, Shinchonji was a heretic church, so the people showed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but as the confirmed people appeared in the church, the people became aware that the Orthodox church was no different from the heretic church. Although it may be said that it was not a large number of confirmed cases, the church should worry about the society and worry about the country. On the contrary, Protestantism in Korea was accused of being a selfish force for their religion. And as the corona 19 confirmed in the church for more than a year has been mass-produced so far, Protestantism, which had fallen in reliability in society, has led to a sharp decline in trust. In addition to this, the Protestant Church, which is still seen through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he Protestantism of the far-right fundamentalist behavior revealed through Jeon Kwang-hoon and his followers, has been disappointed with the people as well as the existing members, especially young and college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examine the fundamentalist concepts and behaviors of Korean Protestantism and at the same time, present the measures that young and college students can return through dialogue with neighboring religions through efforts to resolve exclusivity and furthermore, through mission strategies suitable for the 21st century.

      • 청소년 및 MZ세대 이해와 기독교교양 수업

        최규명(Choi Kyu-myung) 신학과 실천학회 2022 신학과 복음 Vol.12 No.-

        21세기 들어 급변하는 2030세대, 이른 바 ‘2030세대’ 혹은 ‘MZ세대’, 그리고 전통적으로 일컬어 지는 청소년(청년·대학생)들의 성향을 알고 대처하는 것은 기독교대학에서 강의하고 지도하는 교수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자세가 되었다. 이들은 지난 3월 9일 20대 대통령선거의 판세를 바뀌어 놓을 만큼 중요한 세력으로 급부상하였다. 전통적으로 기성세대에 따라가던 정치성향이 이제는 자신의 이해득실에 맞는 후보를 선택하고 조직적으로 세력을 키워나가는 시대가 되고 말았다. 이것은 대학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비 사회인 대학에서 가르치는 교수들이 이들의 생각과 고민을 모르고서는 강단에서 제대로 가르치고 대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독교대학이라면 일반적인 가르침 외에도 그리스도의 말씀과 정신을 바르게 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들을 바르게 이해하고 바르게 가르치기 위한 기독교대학의 목사·교수의 고민을 담은 글이다. The rapid change of 2030 generation in the 21st century, early 2030 generation or MZ generation, and the traditionally referred tendency of youth (young and college students) have become very important attitude for professors who teach and teach at Christian universities. They emerged as an important force to change the situation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on March 9th. The political orientation that traditionally followed the older generation has now become an age when candidates are chosen and organized to meet their interests. This is because professors who teach at universities, which are pre-social societies, can not teach and cope properly at the pulpit without knowing their thoughts and worries. In addition,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convey the words and spirit of Christ in addition to general teachings. This paper is about the troubles of the pastoral professor of Christian university to understand them correctly and teach them correctly.

      • KCI등재

        도서등록관리정책 결정요인의 중요도와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최규명(Choi, Gyu Myeong),박성현(Park, Sung 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3

        정부의 도서등록관리에 대한 미온적 태도는 도서정책의 계획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정책자료에 대한 관리 부실 및 효과적인 도서정책의 수립을 위한 지원체계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도서등록관리정책의 수립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도서등록관리정책의 결정요인을 도출하였고, 이 요인들의 중요도와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미등록 도서의 지적공부 등록 및 지적관리차원의 도서등록관리 정책으로 한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등록관리정책을 결정하는 요인을 크게 정부정책, 국가역할, 사회구성으로 구분하였고, 세부적으로 제도정비, 조직구성, 예산확보, 집행결정, 집행과정, 집행산물, 참여집단, 자유경쟁, 사회관계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결정요인들의 중요도와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AHP법과 DEMATEL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도서등록관리정책의 가장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결정요인은 예산수립이며, 이 요인으로 인해 제도정비, 조직구성, 정책집행, 정책과정, 정책산물, 참여집단이라는 요인들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제도정비 또한 근본적이며 중심적인 특징에 가까우며, 도서등록관리정책에서 간과할 수 없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구성은 중심적인 특성에 가까우며, 도서등록관리정책의 결정요인들 중에서 매개효과를 가장 크게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책집행은 가장 중심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 또한 도서등록관리정책의 결정요인들 중에서 매개효과를 크게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ugges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establishment of the island registration and management policy (IRMP), and its policy scenario. In order to perform this research, determinants of the policy are drawn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IRMP, and both the importance and the influence relations are analysed. The scope of analysis is limited to the registration of unregistered islands in the cadastral record and IRMP in terms of cadastral management. In this research, the determinants of IRMP are largely classified into government policy, roles of the government and social composition. In detail, system maintenance, composition of organization, security of budget, determination of execution, process of execution, outcome of execution, participation group, free competition and social relations act as the determinants. In order to analyse the importance and the influence relations of the determinants, the AHP and DEMATEL theory are applied. As a results, first of all, the security of budget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IRMP and it has strongly influence on system maintenance, composition of organization, execution of policy, process of policy, outcome of policy and participation group. Secondly, the system maintenance also tends to be fundamental and central characteristics and it must not be over-looked for IRMP. Thirdly, the composition of organization tends to be central characteristics, and it is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 rather than others of IRMP in terms of the mediator effects. Last but not least, the execution of policy tend to be considerably central characteristics, and it also show significant mediator effects among the determinants of IRMP.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양교육으로서의 기독교 교육

        최규명(Choi Kyu-myung) 신학과 실천학회 2021 신학과 복음 Vol.11 No.-

        각종 수치와 통계상의 모습들은 21세기 초를 살면서 대학에서 기독교를 교양으로 가르치는 우리 대학과 교수들의 생각이 급격하고도 신속히 바뀌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불과 5년전까지만 하여도 기독교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들중 일부는 학생들에게–그 학생이 그리스도인이건 비그리스도인이건 무관하게-과제로 교회에 출석하고 주보를 그 증거물로 가져오게 할 수 있었다. 반면에 학생들도 기독교 대학에 와서 교양필수로 듣는 수업이기에 그것에 대하여 특별한 반감(反感)없이 수행을 하였고, 그것에 의하여 학점이 주어지기까지 하였었다. 그러나 이제 이것은 까마득한 옛날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지금은 도저히 불가능한 과제이다. 인권과 학생들의 반감과 각종 불만의 글을 올릴 수 있는 다양한 방면의 수단이 존재하는 지금의 형편에서는 감히 엄두를 낼 수 없는, 그야말로 어불성설이 되고 말았다. 불과 5~10년 사이에 기독교 대학에서의 기독교 과목을 교양과목으로 강의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야전에서의 전투를 방불케 하는 상황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여기에 2020년 2월 터진 코로나19 문제는 지금 기독교 대학에서의 종교학과 기독교 교양과목을 고사 직전까지 몰고 오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난 2년여간의 코로나 19로 인한 급변하는 기독교인들의 생각과 태도를 먼저 점검해 보고 본격적으로 2022년부터 포스트코로나 시대 다시 대면수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점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서 교양교육으로서의 기독교 과목’의 타당성에 대하여 재정비해 보고자 한다. Various figures and statistics make us think that the thoughts of our universities and professors who teach Christianity in the university should be changed rapidly and quickly in the early 21st century. Even only five years ago, some of the professors who teach Christian subjects were able to make students attend the church and bring the weekly report to the evidence, regardless of whether the student is a Christian or a non-Christian. On the other hand, students came to Christian universities and listened to them as a liberal arts necessity, so they performed without any special antipathy and even gave credits. But now this is a long-standing story. It’s impossible now. It has become a ridiculous thing that can not be dared to do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re are various means of posting human rights and students" antipathy and various complaints. In just five to ten years, teaching Christian subjects at Christian universities as liberal arts courses has become a situation that reminds me of the battle in the field. The Corona 19 issue, which broke out in February 2020, is now showing the results of bringing religious and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s at Christian universities to the brink of examination. In this paper,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apidly changing Christians" thoughts and attitudes due to Corona 19 for the past two years, and redefines the validity of "Christian subject as liberal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nsition from 2022 to the postcorona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