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응조의 실천적 성화론 분석 연구

        홍종국(Hong, Jong-Kug) 신학과 실천학회 2022 신학과 복음 Vol.12 No.-

        본고의 목적은 김응조의 실천적 성화론을 연구하려는 데 있다. 본 연구자가 그의 성결․성화론 연구에 몰두하게 된 계기는 오랜 기간 목회 일선과 현장사역에 전무하면서 기독교인들의 생활에 고질적인 병폐가 있다고 간파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이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김응조의 사도적 삶을 고찰하는 학적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에서는 그의 성결·성화론의 이론적인 면과 실천적인 면 양자를 모두 조명하여 특별히 신학과 삶을 한 지평에서 통합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김응조의 실천적 성화론은 본고의 핵심 주제요, 김응조가 거룩한 삶을 통해 보여준 성경적 실천의 삶이었다. 특정한 시대에 한국교회를 위해 살다간 인물들을 찾아 삶과 신학사상, 그리고 후세에 미친 영향 등을 조명한다고 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이다. 이는 더욱 구체적이고 확실한 자료에 근거해 공시적, 통시적 차원에서 면밀하게 분석해내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의 성화론에는 영성이 깊이 스며있다. 그는 성령의 사람이자 기도의 사람이었다. 성령의 능력을 사모했고, 기도로 시작해서 기도로 생을 마감한 인물이다. This article has been performed to research the holiness and sanctification theory of Eung-Jo Kim. Devotion to the holiness and sanctification theory started after pastoral duties and field ministry for a long time, realizing that Christians have chronic ills. Above all, a theoretical study on Eung-Jo Kims experience life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s. This study will examin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and focus, in particular, on integrating theology and the life on one prospect. The practical sanctification theory of Kim Eung-jo was the core theme of this paper, and it was the life of biblical practice that Kim Eung-jo showed through his holy life. It is very difficult to highlight the life and theological thought of the features in Korean Church of the specific era and its effect on next generations. For it should be scrupulously analyzed in a synchronic and diachronic aspect based on more detailed and obvious data. Spirituality is deeply rooted in his sanctification theory. He is the person of the Holy Spirit and the prayer. He admired the Spirit of God and began and ended his life with prayer.

      •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한 기독교인성수업 모델 연구

        김대인(Kim Dae In) 신학과 실천학회 2017 신학과 복음 Vol.4 No.-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으로 시작하여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백석대학교가 2008년도에 설립자 장종현 박사를 통해 성경의 가르침과 개혁주의 신학을 계승하여, 사변화 된 신학을 반성하고, 회개와 용서로 하나 되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신 영적생명을 회복하여 성령의 도우심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그리스도의 주권을 실천하며,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선언하였다. 이러한 개혁주의생명신학관은 필자가 사역하고 있는 교목실 사역에서도 매우 중요한 학원복음화의 핵심이자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특별히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하여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한 교목실의 양대사역중 하나인 기독교교과목은 다시한번 기독교이해 수업을 통한 학원복음화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도전하게 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학원복음화를 한층 더 발전시켜 나아가는데 매우 필요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석대학교가 주창하고 있는 개혁주의생명신학과 학원복음화에 대한 배경과 관계는 무엇이며, 개혁주의생명신학이 근거한 기독교이해수업의 목적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기독교이해수업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제1장에서는 서론적 언급을 한 후 제2장에서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나타난 학원복음화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고, 다음으로 제3장에서는 개혁주의생명신학과 기독교이해수업에 있어서 의미와 대상에 대한 관점과 수업의 내용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한 기독교이해수업에 대한 모델의 제시를 통하여 예수그리스도께서 주신 영적생명을 회복하여 복음화로 나아가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었던 기독교이해수업의 의미와 평가 그리고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한 기독교이해수업이 가지는 가치는 무엇인지 피력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on how Baekseok University, a school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starting as a Christian university to achieve campus evangelization, succeeded the teachings of the Bible as well as the Reformed theology through the founder, Dr. Jong Hyun Jang in 2008, and thereby reproached the speculative theology, became one with repentance and forgiveness, embraced the power of Jesus Christ in all aspects of life with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by restoring the spiritual life given by Jesus Christ, and in final, declared the Reformed life theology to pass the glory only to God. Such Reformed life theology can be said to be the crucial core as well as the value of campus evangelization in the chapel ministry as currently ministered by the author. Christianity education, one of the two major ministries of the chapel for achieving campus evangelization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will allow us to reconsider and pursue the essence of campus evangelization through the lesson on Understanding Christianity, and this study will be extremely significant for us to progress one step further in development of campus evangelization. Therefore, we must explore the background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reformed life theology and campus evangelization as advocated by Baekseok University, observe the purpose of the lesson on Understanding Christianity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and evaluate how such lesson can be applied to the students. First, we are to begin Chapter 1 with the introduction,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campus evangelization emerged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Chapter 2, and then in Chapter 3, explore the perspective towards its definition and the subject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and lesson on Understanding Christianity, as well as what its content should be. In Chapter 4, we are to explore how to restore the spiritual life given by Jesus Christ in order to progress to evangelization by presenting the model demonstrating the lesson on Understanding Christianity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Finally in Chapter 5, we are to reveal the definition and evaluation of the past lessons on Understanding Christianity, and to proclaim the value of lesson on Understanding Christianity as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 변선환(邊鮮煥)의 “타종교와 신학” 소고

        안수강(Ahn, Su-Kang) 신학과 실천학회 2016 신학과 복음 Vol.2 No.-

        본 논문은 변선환의 “타종교와 신학”을 중심으로 개혁주의 신학관점에서 그의 종교다원주의를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특별히 그의 토착화신학과 종교간 대화에 초점을 맞추어 논증의 주된 관점들이 무엇인지를 밝힐 것이다. 변선환은 종교다원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교회가 토착화와 종교간 대화를 실천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 결과 그의 신학은 유일무이한 기독교복음의 권위를 상대화하고 성경의 칭의교리를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변선환이 자신의 토착화신학과 종교다원주의 신학에서 보여준 중요한 논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기독교와 다양한 타종교의 대화 ②한국기독교의 창의적 토착화 ③기독교와 타종교와의 동등성의 원리 ④타종교에 대한 배타성 극복 방안 ⑤우주적 그리스도에 대한 성찰 ⑥종교다원주의를 통한 휴머니티의 회복 ⑦기독교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This study intends to show Seon-Hwan Byeon’s religious pluralism through his “Other Religions and Theology”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Especially focussing on his indigenous theology and religious dialog, I will clarify what is the main viewpoints of his argument. On the basis of religious pluralism, he urged that Korean Church should practice indigenization and interreligious dialogue. As a consequence, his theology relativized the authority of the unique Christiam Gospel and denied the doctrine of biblical justification. The main points Byeon left behind use on the basis of his indigenous theology and religious pluralism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①religious dialog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various religions ②creative indigenization of Korean Christianity ③principle of parity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④ways to overcome exclusivity for other religions ⑤consideration on cosmic Christ ⑥restoration of humanity through religious pluralism ⑦research on new paradigm for Christian missions

      • 깊은 영의 기도와 영성개발

        정회현(Chung, Hoi-Hyun) 신학과 실천학회 2016 신학과 복음 Vol.2 No.-

        본 논문은 변선환의 “타종교와 신학”을 중심으로 개혁주의 신학 관점에서 그의 종교다원주의를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특별히 그의 토착화신학과 종교간 대화에 초점을 맞추어 논증의 주된 관점들이 무엇인지를 밝힐 것이다. 변선환은 종교다원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교회가 토착화와 종교간 대화를 실천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 결과 그의 신학은 유일무이한 기독교복음의 권위를 상대화하고 성경의 칭의교리를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변선환이 자신의 토착화신학과 종교다원주의 신학에서 보여준 중요한 논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기독교와 다양한 타종교의 대화 ②한국기독교의 창의적 토착화 ③기독교와 타종교와의 동등성의 원리 ④타종교에 대한 배타성 극복 방안 ⑤우주적 그리스도에 대한 성찰 ⑥종교다원주의를 통한 휴머니티의 회복 ⑦기독교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This paper was focused on Deep Spiritual Prayer and Spirituality Development for Christians. In Korea many Christians have lots of prayer problems. Even if they pray, they focus on Shamanic prayer. So they show lots of problems. In this situation, the author suggests `Prayer in the Spirit` as a Biblical prayer. `Prayer in the Spirit` is the prayer being led by the Spirit. Therefore the Spirit`s Presence is very important in this prayer. If there is the Spirit`s Presence, we do nothing but follow the Spirit`s Guidance. But it is not easy to induce the Spirit`s Presence for us. The author suggests Abdominal breathing prayer, Words meditation prayer, and Tongues prayer. But one among these prayers is not absolute. We must practice one by one and select one method to go with us best. The author also has practiced one by one in various situations and selected Abdominal breathing prayer and continued to do Abdominal breathing prayer till now for almost four years.

      •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한 기독교이해과목에 대한 연구

        김대인(Kim, Dae In) 신학과 실천학회 2022 신학과 복음 Vol.12 No.-

        기독교 인성교육은 기독교 신앙과 기독교적 가르침을 토대로 한 교육이다. 그런의미로 기독교대학에서 실시되는 기독교교양 수업은 기독교 신앙에 의거한 학교의 설립이념과 정체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교육이다. 그러나 기독교 건학이념으로 설립된 학교들이 채플과 기독교 교양과목을 운영하고는 있지만 기독교 인성교육이 아직 체계적으로 수립되어 프로그램화 되어 있지는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상황 속에서도 기독교 인성교육을 수립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물론 인성교육이라고 할 때 기독교 인성과 전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 현상으로 유사하고 겹쳐지는 부분도 분명히 있고, 서로 상통 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성과 일반적인 인성은 근본적인 차이를 지닌다. 그것은 기독교 인성교육은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보고 있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기독교 인성교육의 기본적인 윤곽을 그려 놓는 기여를 했지만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별히 기독교대학에서 실시되어지는 기독교 교양수업은 이론적인 연구와 아울러 구체적인 교육 모델 혹은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필자는 기독교대학에서 실시되어지는 기독교교양수업을 통하여 기독교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에 대한 이론적인 토대와 아울러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먼저, 1장에서는 서론적 언급을 한 후 제2장에서는 기독교대학의 기독교교양수업의 교재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기독교인성의 의미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기독교인성을 함양하는 기독교교양수업에 대한 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기독교대학에서 실시하는 기독교인성수업의 과제는 무엇인지 피력하고자 한다.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s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and teachings. In that sense, elective courses on Christianity offered by Christian universities are the centripetal to the ideology behind its foundation, as well as establishing its identity. Although universities founded on the Christian mission have been operating chapels and offering elective courses on Christianity,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has yet to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Even so,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institute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the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s not too different from general character education. There may be parts that overlap or even completely match with each other. However,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nd general character education does have a fundamental difference. It is that in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the human character is seen as an image of God, and that only through Jesus Christ, the image of God can be restored. Although it is true that previous studies have laid out the basic foundation for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t is also true that they have clear limitations. Specifically, Christianity elective courses offered in Christian universities have failed to provide a distinct education model or program in addition to theoretical research. Therefore, the research will lay out a theoretical footing and suggest measur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Christianity elective courses that will cultivate the Christian character. First, the research topic will be introduced in Chapter 1. Second, Chapter 2 will discuss the current situation and textbook of Christianity elective courses in Christian universities. In chapter 3, the paper will elaborate on the meaning of the Christian character. Following that, Chapter 4 will look into how to provide an elective course on Christianity that cultivates the Christian character. Lastly, in chapter 5, the research will convey what the tasks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offered by Christian universities are.

      • 말씀과 성령으로 능력있고 승리하는 삶

        정회현(Chung, Hoi-Hyun) 신학과 실천학회 2017 신학과 복음 Vol.3 No.-

        보이스는 현대교회의 문제를 세속주의, 인본주의, 상대주의, 물질주의, 실용주의, 어리석음 등이라고 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혁주의의 5대 솔라를 실행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필자가 보기에 이것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개혁주의의 5대 솔라인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 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직 하나님께 영광에는 성령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개혁주의에서는 성령운동을 실천 강령으로 하고 있지만 필자가 보기에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을 강조함에 있어서 성령님에 대한 언급을 5대 솔라의 하위 개념인 실천 강령에 포함시킨 것은 성령의 역할을 약화시킨 것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필자는 ‘오직 성령’을 5대 솔라 차원으로 올려서 6대 솔라로 표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면 오직 성경(말씀)과 오직 성령이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균형있게 표기되기 때문이다. 물론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다를 수가 있겠지만 성경에는 말씀과 성령의 역사가 균등하게 언급되고 있고 이것은 복음서와 사도행전에는 물론이고 서신서에도 잘 나타나 있다. J. M. Boyce tells that the problems of modern church are secularism, humanism, relativism, materialism, pragmatism, foolishness and we must carry out the 5 Solas of Reformationis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But in view of the author this has some limits because the 5 Solas of Reformationism; Sola Scriptura, Sola Christus, Sola Gratia, Sola Fide, Soli Deo Gloria do not involve the work of the Spirit. Of course, the Reformationism refers to the work of the Spirit as a practical principle. But the author thinks that the reference to the work of the Spirit as a practical principle, the under notion of the 5 Solas weakens the role of the Spirit. Therefore the author thinks that the 6 Solas involving Sola Spirit by emphasizing the work of the Spirit are more desirable because Sola Scriptura and Sola Spirit will be mentioned in balance as the means to achieve the goal, Soli Deo Gloria. Of course, it will be different accordance to the view of people. But the Word and the work of the Spirit are mentioned together in balance. It is revealed not only in the four Gospels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but also in the epistles.

      • 이용도 관련 문헌지(文獻誌) 및 연구동향 고찰

        안수강(Ahn, Su-Kang) 신학과 실천학회 2017 신학과 복음 Vol.4 No.-

        일본 강점기 1930년대에 이용도(1901-1933)가 전개한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에 주목할 만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비록 한국교회 현장에서 3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지만 많은 학자들은 그의 신비주의를 한국개신교 역사에서 의미심장한 한 국면으로 숙고한다. 지금까지 주로 신비주의와 영성적 관점에서 그의 생애와 사상을 논한 논문들을 살펴보면 “고난의 그리스도 신비주의”(민경배), “사랑의 신비주의”(박봉배), “열정적 신비주의”(유동식), “열광적 신비주의”(박영관), “그리스도 신비주의”(변선환), “십자가 신비주의”(윤성범), “합일(合一) 신비주의”(안수강), “영적 영향”(김수천), “동양적 영성”(왕대일), “종교적 영성”(차옥숭), 그리고 “문화와 영성”(김상일) 등이 주요 주제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도와 관련된 주요 문헌지와 연구동향을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두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자료들을 살펴볼 것이다. 첫째, 이용도 관련 주요 자료들: 이용도 전집, 설교집, 생애, 예수교회 기관지, 김인서의 저작물, 「基督申報」 기사, 장로교 총회록 등. 둘째, 연구동향 관련 주요 자료들: 과거 학자들의 고전적 저작물, 학술단체의 단행본, 신학회지(神學會誌),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등 The revival movement of Yong-Do Lee(1901-1933) which took place about the time of 1930s under a colonial policy of Japan, had a remarkable effect on the Korean church. Even though he had disappeared from the stage of Korean Christianity when he was 32 years old,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his mysticism as a significant aspec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Until now main topics of theological articles on his life and thoughts mainly have been demonstrated his mystic tendency and spirituality such as “the mysticism of suffering Christ”(Gyeong-Bae Min), “the mysticism of love”(Bong-Bae Park), “the mysticism of enthusiasm”(Dong-Sik Ryu), “the mysticism of fanaticism”(Yeong-Gwan Park), “the Christ-mysticism”(Sun-Hwan Byeon), “the mysticism of the cross”(Seong-Beom Yun), “Mystical Unity” (Su-Kang Ahn), “Asian Spirituality ”(Dae-Il Wang), “the spiritual influences”(Su-Cheon Kim), “Religious Spirituality”(Ok-Sung Cha), “Culture and Spirituality”(Sang-Il Kim),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documents an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ng-Do Lee. The all sorts of documen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in sources related to Yong-Do Lee: complete works, sermon collection, life-history, official journal of ‘Jesus Church’, In-Seo Kim’s works, articles of the Kidoksinbo, public record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so on. Second, main sources related to research trends: classic works of old scholars, books of academic associations, theological journals, theses and dissertations, and so on.

      • 기독교인성을 함양하는 기독교 교양수업 연구

        김대인(Kim, Dae In) 신학과 실천학회 2021 신학과 복음 Vol.11 No.-

        기독교 인성교육은 기독교 신앙과 기독교적 가르침을 토대로 한 교육이다. 그런의미로 기독교대학에서 실시되는 기독교교양 수업은 기독교 신앙에 의거한 학교의 설립이념과 정체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교육이다. 그러나 기독교 건학이념으로 설립된 학교들이 채플과 기독교 교양과목을 운영하고는 있지만 기독교 인성교육이 아직 체계적으로 수립되어 프로그램화 되어 있지는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상황 속에서도 기독교 인성교육을 수립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물론 인성교육이라고 할 때 기독교 인성과 전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 현상으로 유사하고 겹쳐지는 부분도 분명히 있고, 서로 상통 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성과 일반적인 인성은 근본적인 차이를 지닌다. 그것은 기독교 인성교육은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보고 있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기독교 인성교육의 기본적인 윤곽을 그려 놓는 기여를 했지만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별히 기독교대학에서 실시되어지는 기독교 교양수업은 이론적인 연구와 아울러 구체적인 교육 모델 혹은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필자는 기독교대학에서 실시되어지는 기독교교양수업을 통하여 기독교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에 대한 이론적인 토대와 아울러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먼저, 1장에서는 서론적 언급을 한 후 제2장에서는 기독교대학의 기독교교양수업의 교재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기독교인성의 의미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기독교인성을 함양하는 기독교교양수업에 대한 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기독교대학에서 실시하는 기독교인성수업의 과제는 무엇인지 피력하고자 한다.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s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and teachings. In that sense, elective courses on Christianity offered by Christian universities are the centripetal to the ideology behind its foundation, as well as establishing its identity. Although universities founded on the Christian mission have been operating chapels and offering elective courses on Christianity,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has yet to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Even so,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institute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the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s not too different from general character education. There may be parts that overlap or even completely match with each other. However,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nd general character education does have a fundamental difference. It is that in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the human character is seen as an image of God, and that only through Jesus Christ, the image of God can be restored. Although it is true that previous studies have laid out the basic foundation for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t is also true that they have clear limitations. Specifically, Christianity elective courses offered in Christian universities have failed to provide a distinct education model or program in addition to theoretical research. Therefore, the research will lay out a theoretical footing and suggest measur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Christianity elective courses that will cultivate the Christian character. First, the research topic will be introduced in Chapter 1. Second, Chapter 2 will discuss the current situation and textbook of Christianity elective courses in Christian universities. In chapter 3, the paper will elaborate on the meaning of the Christian character. Following that, Chapter 4 will look into how to provide an elective course on Christianity that cultivates the Christian character. Lastly, in chapter 5, the research will convey what the tasks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offered by Christian universities are.

      • The Cleansing the Temple and the Cursing of the Fig Tree

        Yang, Jong Rae(양종래) 신학과 실천학회 2020 신학과 복음 Vol.8 No.-

        이 논문은 백석대학교의 기독교교양과목 ‘바이블로드:신약’과 관련된 성전청결사건과 무화과나무저주 사건에 대한 이해이다. 성전청결사건과 무화과나무 저주사건은 유대 권세자들이 예수님을 예루살렘에서 체포하여 십자가에서 처형하는 사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공관복음서에서는 예수가 누구신지 그 정체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마가복음은 그리스도로서 예수님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있고, 두 고백 사이에서 예수님의 고난이 발전되었다. 그리고 무화과나무 저주사건과 성전청결은 이런 예수님 고난의 진행 과정 한 중간에 위치한다. 메시아로서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 부활 사건에서 이 두 사건은 예수님 고난의 출발점으로 알려지고 있다. 누가복음에서는 예수님이 예루살렘으로 가시는 길 위의 사역을 중심으로‘지역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예수님의 고난 예고도 예루살렘으로 가시는 지역 순서에 따라 나타난다. ‘예루살렘으로 가시는 길’이라는 표현이 자주 사용되는데, 누가에게 예루살렘은 선지자들이 죽임을 당하는 고난과 배반당하심과 불순종과 파괴의 지점이다. 따라서, 누가복음이나 마태복음에서 성전청결사건의 중요성은 마가복음 만큼 강조되지 않는다. 두 사건의 배열은 마태, 마가, 누가복음이 각각 다른 시간 배열을 갖는다. 마가복음은 두 사건이 3일 안에 발생한 것으로, 마태는 성전청결사건 후 무화과 나무 저주사건을, 반면에 누가복음은 이 두 사건에 많은 관심을 기울 이지 않는다. 마가복음에서 무화과저주 사건은 하나님 앞에 선 이스라엘의 신분을 언급하는 것으로 그들의 심판과 관련되어 있으며, 성전청결사건은 성전청결을 넘어 이스라엘 예배의 파괴와 다시 세움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것은 잘못 인도된 예배의 종말론적, 실제적 개혁이며 ‘주의 날’에 대한 말리기 예언의 성취이다. In the position of the two events, the cleansing of the temple and the cursing of the fig tree, we can see that the two are located on the central point of Jesus’ identity and passion in Mark, on the starting point realized Jesus’ passion in Matthew. However, Luke shows Jesus’ passion in geographical perspective and he shows the first action of Jerusalem to Jesus’ cleansing of the temple. The two events shows the fate of the destruction of Israel as the withering leaves of the fig tree and the action of cleansing of the temple were kinds of Jesus’ challenge against the national religious authorities. Not only the action shows Messiah’s eschatological fulfillment, but also, through the cleansing of the temple, Jesus reforms the wrong using the temple habitually. However, the action becomes one specific charge against Him by the Sanhedrin.33) Jewish authorities might regard the Jesus’ behavior in the temple as attacking the national center of their religion.

      • 기독교대학의 채플 평가제도와 복음화의 상관관계 연구

        김대인(Kim Dae In) 신학과 실천학회 2016 신학과 복음 Vol.1 No.-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에서의 채플의 평가제도와 학원복음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대학의 학원복음화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지금까지는 채플의 평가제도와 학원복음화에 대한 상관관계는 다양한 주장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관관계에 있어서 학생들이 나타내는 채플에 대한 만족도는 학원복음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대학마다 채플의 평가제도와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필자가 사역하고 있는 B대학교의 채플평가제도와 아울러 이러한 평가제도속에서 학원복음화를 위해 시스템화하고 있는 제도가 다른 대학의 학생들과 비교하여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먼저, 제1장에서는 서론적 언급을 한 후 제2장에서는 기독교대학중 주요한 몇 개 대학을 대상으로 해서 채플평가형태는 어떠한지 살펴보려고 한다. 다름으로 제3장에서는 채플의 평가제도와 학원복음화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채플을 통한 학원복음화의 역할과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서 채플 평가제도와 학원복음화의 상관관계성이 있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학원복음화를 위하여 학원당국의 의지와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결론적 맺음말이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mpus evangelization and ministry through campus chapels and the evaluation systems of campus chapels at Christian colleges. There have been various methods of campus chapels that have been correlated to evaluation systems with a variety of claims.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ttending chapels has found to be in close correlation to the very existence of evaluative systems for campus chapels.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the address the need to understand how the systemization of both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chapel system correlates with student satisfaction of chapel services at a B University in comparison to chapel ministries and their evaluations at other Christian colleges. Firstly, after the introduction in chapter 1, chapter 2 looks at the evaluation of a few prominent chapel ministries of some Christian universities. In chapter 3 data about student satisfaction from evaluation systems of chapel ministries are studied to see if there is also a strong correlation with student satisfaction and these very same evaluation systems. Finally, in Chapter 4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will of the school authorities in supporting effective campus evangelization and ministry through chapel ministries is add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