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떻게 환자들의 의사 신뢰를 높일 수 있을까? 전문성, 공감성, 정직성의 검토

        최경화(Choi, Kyung-Wha),조남경(Jo, Nam-Kyoung)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6 No.3

        본 연구는 환자가 의사에 대해 갖고 있는 신뢰를 살펴보았다. 의사 중심 치료에서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로의 전환은 여타 서비스에서와 같이 수요자의 신뢰가 중요해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의료서비스에서 환자의 의사에 대한 신뢰는 치료의 질을 높이고 사회 전체의 의료비용을 낮춘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훨씬 더하다. 여기서는 먼저 환자의 의사 신뢰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구성요소를 전문성, 공감성, 그리고 정직성의 세 가지로 도출해 본 뒤, 이 세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영미권의 문헌자료 검토를 통해 어떤 요인들이 의사들의 전문성, 공감성 및 정직성에 대한 환자의 신뢰를 높이거나 낮추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분석의 틀로 삼아 우리의 의사 신뢰의 현황을 진단해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의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신뢰는 비교적 높지만, 공감성과, 그리고 특히 정직성에 대한 신뢰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신뢰의 위협요소는 전문성 발휘를 제한하는 제도적 여건과 수련의 진료로 나타났으며, 공감성에 대한 신뢰의 위협요소는 무엇보다도 교감 자체를 제한하는 짧은 진료시간이었다. 의사의 정직성에 대한 신뢰를 하락시키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과잉진료와 비급여 진료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보다도 우리 사회 내 의사 신뢰 및 신뢰 하락 요인들에 대한 경험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의사 신뢰의 하락 요인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도 차원의 접근이 유효할 수 있음을 함축한다. We examine trust patients have in doctors. Since it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treatment system where doctors are in the core to the medical service where patients have more power as ‘consumers’, users’ trust in providers obtained more significance as it does in general service areas. Yet in this sector patients’ trust in doctors invites even more attention as it contributes to heightening quality of medical care and lowering the medical cost of society. Here we drew from the literature three elements of patients’ trust in doctors: expertise, responsiveness, and patient-centeredness. Then we examined what affects these elements respectively through empirical research cases in the UK and the US. Finally we attempted to diagnose patients’ trust in doctors of our society. Patients’ trust in doctors in Korea is generally and relatively high enough, but responsiveness is not quite high and especially patient-centeredness could be said low. Threatening factors for trust in expertise could be systemic constraints on doctors to fully use their expertise and treatment by staffs in training. Trust in responsiveness appears to have been being lowered mainly by extremely short consultation hours. It looks like that patients’ trust in doctors’ patient-centeredness has been shrunk by over- examination and/or treatment and out of insurance examination and/or treatment. Our results show that it is urgently requested in our society to empirically investigate patients’ trust in doctors and threatening factors for it, and that it might need to firstly examine systemic flaws, if any.

      • KCI등재

        보문 : 성격특성과 고객지향성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백화점 여성 의류판매원을 중심으로-

        최경화 ( Kyung Wha Choi ),박광희 ( Kwang Hee Park ) 한국의류학회 2012 한국의류학회지 Vol.36 No.9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customer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customer orient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A convenience sample was drawn from salespeople working for department stores in Daegu and Pohang between September 1st to 7th 2011. A total of 337 responses were complete and usable questionnaires. Data were tested throug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ree main points are shown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correlation of all five factors extracted from salespeople personality traits with customer orien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sonality traits and customer orientation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or job performance.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and customer orientation on job satisfaction; subsequently, only two factors extracted from customer orientation (consideration for customers and customer-centered think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performance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job performance was conscientiousness, followed by likeability, openness and introvers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was competence in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followed by consideration for customers, customer-centered thinking, and a reliability-focused response.

      • KCI등재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최경화(Kyung-Wha Choi),김희수(Hee-Soo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실증적 검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소재의 B 중학교 2학년 학생 중 평소 담임교사와 상담 시에 학생 스스로 학습된 무기력감과 학습몰입도 관련 어려움을 호소하는 남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임경희(2004)의 학습된 무기력 척도와 김철(2002)의 학습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두 결과의 차이는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학습된 무기력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성장 집단프로그램이 학습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태도 개선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self-growth on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32 middle school students(located in Y-city). After the pretest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16 subjects) and control group(16 su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 test. Result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learned helplessness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which self-growth program(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self-growth) was administered.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learning attitude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which self-growth program(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self-growth) was administered. Conclusion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self-growth program is effective to decrease learned helplessnes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self-growth program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level of learning attitude. Therefore it would be a practical solution to utilize self-growth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school life due to academic fail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