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디 추출물이 갱년기 유도 흰쥐의 혈행 개선에 미치는 영향

        최경하,손재학,최인순,최영주,배송자,김미향,Choi, Kyung-Ha,Shon, Jae-Hak,Choi, In-Soon,Choi, Young-Ju,Bae, Song-Ja,Kim, Mi-Hyang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extracts 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blood flow improvement. Four groups were surgically ovariectomized (OVX). The fifth group was sham operated. Sprague-Dawley strain femal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sham-operated rats(Sham), ovariectomized control rats(OVX-Control),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80% ethanol extracts from fruits of Tajikistan mulberry (OVX-TM), Korea mulberry (OVX-KM) and China mulbery (OVX-CM) at 200 mg/kg bw/d. The mulberry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rated at 1 ml per day. The body weights of OVX rats were significantly heavier than the sham-operated rats at all values (p<0.05). The serum triglycerid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upplemented with the CM and KM extracts. The serum HDL-cholesterol level in the OVX-K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OVX-control group. The passage time of whole bloo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riglyceride but reverse correlation with HDL cholesterol. The ability of platelet aggregation of groups treated with mulberry extracts was less than OVX-control group. Taken these together, mulberry extracts may be used to possib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여성의 폐경에 의한 estrogen의 감소는 심혈관계질환을 빠르게 진행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새로운 estrogen 대체 식물로 주목받고 있는 오디 추출물을 갱년기장애를 일으킨 흰쥐에 투여하여 혈액 유동성, 항 혈소판 응집능 및 혈 중 지질 수준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오디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Ovx-control군보다 혈액 유동성이 빠르게 나타났고, 한국산 오디의 경우 sham군 정도의 혈액 유동성을 보였으며, 중국산의 경우는 sham군 보다 빠른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각 산지별 오디 추출물 투여군이 OVX-control군 보다 빠른 시간에 통과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오디가 혈액의 유동성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오디 추출물을 갱년기를 유도한 흰쥐에 투여하여 혈소판 응집 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난소절제에 의하여 혈소판응집이 활성화 되었는데, 오디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혈소판응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난소 절제하여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흰쥐에 각각의 오디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total-cholesterol 및 혈 중 중성 지방이 낮아지고, HDL-cholesterol 함량이 높아지는 결과로 보아 국산 오디 추출물 뿐 아니라 타지키스탄, 중국산 오디 추출물 투여가 난소 절제에 의해 소실된 estrogen의 지질대사 불균형에 유익한 영향을 주어 관상동맥 질환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오디가 난소를 절제한 흰쥐 결함조직 중의 collagen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경하,박미화,김미향,Choi Kyung-Ha,Park Mi-Hwa,Kim Mihyang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6

        폐경을 앞둔 여성에게는 폐경을 전후하여 지속되는 골 손실 가속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폐경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난소 절제 쥐에서의 골 손실의 유무를 결합조직 중의 collagen함량 변화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생화학적 골 대사 지표인 혈 중 ALP활성은 난소 절제로(OVX-control)로 인하여 증가하는 반면,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OVX-EE, OVX-EA)로 혈 중 ALP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골 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에 의해 폐 조직과 골 $\cdot$ 연골 조직에서 collage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중 연골 조직에서는 collagen 함량의 저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피부 조직에서도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collagen 합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오디 추출물이 estrogen감소로 인한 collagen 합성저하를 회복시킨 본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오디 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유사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국내산 오디뿐만 아니라 중국산 오디에서도 갱년기 유도에 의한 collagen 함량 저하를 회복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외인성 estrogen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폐경기 여성에게 오디의 섭취는 폐경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estrogen의 장기간 복용에 의한 부작용을 오디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그 부작용을 감소시켜 줄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의 구조 및 기전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mulberry cultivars extracts on the collagen content of the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From day 2 until day 37 after ovariectomy,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 sham-operated rats (Sham), ovariectomized control rats (OVX-control), and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80\%$ ethyl alcohol extracts from various kinds of Tajikistan mulberry, Korea mulberry and China mulberry at 200 mg/kg bw/day, respectively. The mulberry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rated at 1 mL per day. The OVX rats were significantly heavier than the sham-operated rats were at all time points, but supplementation with the mulberry extracts tended to gain weight less than OVX-control did. The ovariectomy caused a decreasing in the levels of collagen content in bone and cartilage tissues. However, supplementation with mulberry extracts prevented the decrease in the collagen level in bone and cartilage tissues. Therefore, it may be used to possib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 KCI등재

        난소를 절제한 흰쥐에서 오디가 혈 중 지질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경하,박미화,김미향,Choi Kyung-Ha,Park Mi-Hwa,Kim Mihyang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5

        여성은 폐경 시 음식물 섭취가 증가하여 체중이 증가되고, 정상 여성보다 혈류관련질환 발병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갱년기 장애시 유발되는 체내 지질 함량 증가에 있어 오디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인위적 폐경을 유발시킨 난소절제 횐쥐에 오디추출물을 투여하여 그에 따른 혈 중 효소 활성 및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난소 절제 후 오디추출물 투여는 난소절제로 인해 야기되는 혈 중 total- cholesterol 함량 및 혈청 지질농도의 증가를 감소하였다. 하지만 HDL-cholesterol은 난소절제 군에 비해 난소절제 후 오디추출물을 투여할 경우 그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LDL-cholesterol은 반대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어 오디추출물이 갱년기 장애 시 발생할 수 있는 혈 중 지질함량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혈류관련질환에 대한 개선 식품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extracts on serum lipid contents in ovariectomized estrogen-deficient rats.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sham-operated rats (sham), ovariectomized control rats (OVX-control),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 80\% $ ethyl alcohol extracts from various kinds of Tajikistan mulberry (OVX-TM), Korea mulberry (OVX-KM) and China mulberry (OVX-CM) at 200mg/kg bw/day, respectively. The mulberry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rated at 1mL per day. The body weights of OVX rats were significantly heavier than the sham-operated rats at all values (p <0.05). The ovariectomy caused an expected increasing in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e serum HDL-cholesterol level on the OVX-TM, OVX-KM and OVX-CM groups were higher than in the OVX-control group.

      • KCI등재

        Alleviating Effects of Mulberry Fruit Extract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yung Ha Choi(최경하),Ji-Hye Kang(강지혜),Ji-Sook Han(한지숙)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8

        식후 고혈당은 제2형 당뇨병 초기 진단과 항당뇨병의 중요한 바이오마커 중 하나이다.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는 소장에서 탄수화물 소화의 속도를 방해함으로써 식후 고혈당을 조절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디열매추출물이 α-글루코시다아제와 α-아밀라아제에 미치는 억제효과 및 스트렙토조토신(STZ)이 유발하는 당뇨병 생쥐의 식후고혈당에 미치는 완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α-글루코시다아제와 α-아밀라아제에 대한 오디열매추출물(MFE)의 IC50값은 각각 0.16과 0.14 mg/ml의 결과값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acarbose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STZ으로 유발된 당뇨병 흰쥐의 식후 혈당 수치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오디열매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더욱이, 오디 열매추출물 투여는 당뇨병 흰쥐에서 포도당 반응에 대한 곡선하면적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오디열매 추출물은 α-글루코시다아제와 α-아밀라아제 활성의 강력한 억제제이며 식후 고혈당을 완화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오디열매추출물은 당뇨병 치료제 및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Postprandial hyperglycemia is an early defect of type 2 diabetes and one of primary anti-diabetic targets.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s regulate postprandial hyperglycemia by impeding the rate of carbohydrate (such as starch) digestion in the small intestin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actions of mulberry fruit extract (MFE) on α-glucosidase and α-amylase activities, and its alleviating effect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Male four-week old ICR mice and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mice were treated with mulberry fruit extract. MFE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s against α-glucosidase and α-amylase activities, with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of 0.16 and 0.14 mg/ml, respectively, and was more effective than acarbose,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increase in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as more significantly attenuated in the MFE-administered group mice than in the control group mice of both STZ-induced diabetic and normal mice. Moreover, the area under the glucose response curve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MFE administration in diabetic mi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FE may be a potent inhibitor of α-glucosidase and α-amylase, and helpful in suppressing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The mulberry fruit extracts may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 KCI등재

        보호대상자의 심리건강척도 개발

        최경하(Choi Kyung ha),김석웅(Kim Seok woong),임형문(Lim Hyung moon),김세영(Kim Seo young),전기숙(Jeon Ki suk),오수성(Oh Su sung)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보호대상자의 심리사회적인 특성이 반영되어 있고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심리건강척도를 개발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한 뒤 보호대상자 12명에게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질적분석하여 10개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기존의 임상심리 척도를 참고하여 문항을 선정하였다. 1차 예비문항으로는 89개를 선정하여 167명의 일반인 및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고 내적일치도를 확인하였다. 2차 예비문항 선정 시 1차 조사의 결과를 반영하여 9요인 8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78명의 시설 입소 청소년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내적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9요인, 75문항으로 구성된 예비척도를 완성하였고, 9개 소척도는 각각 ‘우울(DEP)’, ‘불안(ANX)’, ‘대인예민성(IS)’, ‘신체화(SOM)’, ‘정신증(PSY)’, ‘반사회성(AS)’, ‘음주문제(AP)’, ‘사회적지지(SS)’, ‘자존감(SE)’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335명의 보호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뒤 자료를 확인적 요인분석 한 결과, 소 척도의 신뢰도는 .82-.92 사이에 분포하여 양호하였고, 적합도지수 TLI, CFI, RMSEA도 양호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 후 4개의 문항을 삭제하였고, 피검자의 반응 타당성을 측정하기 위한 타당도 척도 4문항을 추가하여 최종 척도를 구성하였다(기본척도 7개 61문항, 보충척도 2개 10문항, 타당도척도 4문항). 구성된 최종척도를 일반인에게 실시한 뒤, 보호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자료와 차이검증을 하였다. 끝으로 보호대상자 심리건강척도 개발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venient tool for practicians and researchers in correction system and to verify its validity that can measure released-convicts’ psychological health state. Firstly, we analysed preceding researches of released prisoner and secondly did semi-structured interview over 12 released-convicts. After quality data analysis was done with the interview transcript, 10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of released-convicts were established. We referred to scales of mental health state and drafted items that fit in the concept of 10 factors. The first preliminary scale consists of 89 items and applied to 167 subjects. Confirmatory analysis was done with the data and inter-item consistency was also checked. Adjusted scale consisted of 9 factors and 81 items were applied to 78 imprisoned juveniles and inter-item consistency was again examined. Improved scale consists of 9 factors and 75 items and subscales were named as ‘Depression(DEP)’, ‘Anxiety(ANX)’, ‘Interpersonal Sensitivity(IS)’, ‘Somatization (SOM)’, ‘Psychosis(PSY)’, ‘Antisocial Personality(AS)’, ‘Alcohol Problems(AP)’, ‘Social Support(SS)’, ‘Self-esteem(SE)’. Confirmatory analysis was done and criterion validity was checked with 335 released convicts’s data. 9 factors’ Cronbach’ 􀈻􀁇 was in adequate range of .82-.92 and fitness rate of TLI, CFI, RMSEA also showed favorable result. Items showing low criterion validity were deleted and new items checking examinee’s response validity were inserted. Finally, Psychological Health Scale for Released Convicts were developed and consists of 7 basic scales with 61 items in, 2 supplementary scales with 10 items in and a validity scale with 4 items in. The KPHI-RC was applied to normal subjects and t-test was done with the data comparing to released convicts’ data. We discussed significanc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최영주(Young Ju Choi),최경하(Kyung Ha Choi),박미화(Mi Hwa Park),김미향(Mi Hwang Kim),공창숙(Chang Suk Kong),김세원(Se Won Kim),정경임(Kyung Im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1

        본 연구에서는 쌀 소비 촉진방안 마련 및 머핀의 품질 향상을 위한 소재 개발을 위하여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을 0%, 10%, 20%, 30% 및 50%를 첨가한 머핀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알아보았다. 머핀의 중량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 50% 첨가군에서 55.17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높이는 4.93~5.58 cm로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머핀의 굽기 손실률은 50% 첨가군에서 8.06%로 가장 낮게 나타나 무첨가군(8.98%)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머핀의 수분 함량은 27.20~28.35%로 5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머핀의 pH는 8.43~8.60으로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머핀의 내부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머핀의 경도는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 50%첨가군에서 158.00 g/cm2로 가장 높게 나타나 무첨가군(126.33 g/cm2)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P<0.05), 응집성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 50% 첨가군에서 69.41%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무첨가군 및 10%와 20%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탄력성은 91.67~93.03%로 3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씹힘성은 50% 첨가군에서 231.05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무첨가군 및 30% 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파쇄성은 50% 첨가군에서 21.23 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무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외관과 내부색은 무첨가군이 각각 5.63과 5.7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과 맛 및 조직감은 50% 첨가군에서 각각 5.17과 5.88 및 5.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50% 첨가군이 5.83으로 가장 높았고(P<0.05), 그다음으로 20% 첨가군(5.33), 30% 첨가군(5.29), 무첨가군(5.08), 10% 첨가군(4.96)의 순으로 나타났다.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DPPH 라디칼 소거능 역시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는 머핀의 기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 머핀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제품 개발을 위한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0%, 10%, 20%, 30%, 50%) of fucoidan red yeast (Monascus purpureus) rice powder (FRYR). The weight and pH of muffins increased as the amount of FRYR increased. The height and baking loss rate of muffin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amounts of FRYR increased (P<0.05), whereas moistur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l samples. L value and b value of muffin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amounts of FRYR increased (P<0.05). However, a value of muffin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amounts of FRYR increased (P<0.05).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FRYR concentration. Cohesiveness was higher with 30% FRYR, whereas spring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ample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appearance and crumb color of muffins was higher in groups containing 0% FRYR, whereas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were highest for muffins with 50% FRYR add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ffin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of FRYR (P<0.05). Therefore, addition of FRYR could satisfy the sensory function and functional requirements of muffin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using fucoidan red yeast rice.

      • KCI등재

        불레기말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갱년기 장애 모델의 혈청 지질 변화 및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주영(Juyeong Lee),김보경(Bokyung Kim),박미화(Mi-Hwa Park),최경하(Kyung-Ha Choi),공창숙(Changsuk Kong),이상현(Sang-Hyeon Lee),김육용(Yuck Yong Kim),유기환(Ki Hwan Yu),김미향(Mihya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에서는 갱년기 장애를 유발한 흰쥐의 혈중 지질 농도, 항혈소판 응집능, 혈중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및 collagen 함량 검토를 통하여 갈조류인 불레기말 추출물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9주령 흰쥐를 각 군당 6마리씩 난소절제 모의 수술군(SHAM군), 난소절제군(OVXCON군), 난소절제 후 불레기말 추출물 50 mg/kg bw 투여군(OVX-CS50군) 및 200 mg/kg bw 투여군(OVX-CS200군)의 4군으로 나누어 시술 후 6주간 추출물을 투여하며 사육하였다.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경우 난소절제군이 비 난소절제군과 비교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난소절제 후 불레기말 추출물 200 mg/kg bw의 투여로 인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난소절제로 인해 증가한 중성지질 함량은 불레기말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OVX-CS50군 및 OVX-CS200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항혈소판 응집력을 검토한 결과 난소절제에 의해 혈소판 응집력이 증가하였으나 불레기말 추출물 50 mg/kg bw 투여로 인해 응집시간이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골아세포 분화의 초기 표지자인 혈중 ALP 활성은 난소절제로 인해 증가하였으나, 불레기말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은 연골, 뼈, 피부에서 난소절제로 인해 감소한 콜라겐 함량이 불레기말 추출물 투여로 인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이 불레기말 추출물을 이용하여 난소절제로 갱년기를 유발한 동물에 대한 지질변화 및 골 형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불레기말 추출물이 지질 및 혈소판 응집능에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결합조직 중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식품 소재 및 기능성 식품 개발에 접목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lpomenia sinuosa (CS) extract on serum lipid level and bone formation in an ovariectomized animal model were investigated. Twenty four nine-week old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sham-operated rats (SHAM), ovariectomized control rats (OVX-CON), and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CS extract at 50 mg/kg bw (OVX-CS50) or 200 mg/kg bw (OVX-CS200). Three OVX groups were surgically ovariectomized while the SHAM group was sham-operated. CS extract was orally administrated at 1 mL per day. Analysis of serum lipid contents found that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 the OVX-C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HAM group. Notably, upon administration of CS extract after ovariectomy, triglyceride levels tended to significantly decrease. In addition, platelet aggregation ability decreased in groups treated with CS extract compared to the OVX-CON group.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 an indicator of bone formation was lower in the CS extract group compared to the OVX-CON group. Collagen contents in bone and cartilage were reduced by ovariectomy, whereas the CS extract-supplemented groups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in bone. According to these results, CS extract improved serum lipid parameters and osteogenesis in ovariectomized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