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난 치졸미(稚拙美)에 관한 연구

        천애리,김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2

        The classical notion of beauty which indicated that absolute ‘beauty’ is a result of perfect proportion and balance is now changing with the emergence of new media. In accordance with the stream of times, ideal standard of beauty has been effected and changed by various external conditions including gender, occupation, level of education, climate, race, age, ethical belief and others. However, the domain of beauty and the bisected concept regarding the beauty of crudeness has remained mostly unchanged. Nowadays, via experiencing industrialization among other rapid chronological changes as well as the advancement in media which constantly demands new look, there has been a feeling of repulsion and dullness regarding existing ideals of beauty, and thus individualism and interesting sensibility are newly being incorporated into the domain of beauty. ‘Ugliness’ which was conceptually regarded as opposite of ‘beauty’, is no longer a negative factor, rather it is considered to be another domain of beauty.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the beauty of crudeness, possessed by designs in recent times, express liberal sensibility in various domain outside of rigid formality of beauty which is noble and classical. This study looks into the change in ideal beauty along with the time setting, the background and the concept regarding the emergence of the beauty of crudeness, an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for each of the types,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nges in aesthetical expression sensibility and expression sensibility present in the graphic design today. 절대적 ‘아름다움(美)’은 완벽한 비례와 조화로부터 나온다는 고전적 미에 대한 개념이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변화하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이상적인 미의 기준은 성별, 직업, 교육 정도, 기후, 인종, 나이, 윤리관 등과 같은 다양한 외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변화해 왔다. 하지만 미의 영역과 미추(美醜)에 대한 양분화 된 개념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오늘날 산업화를 비롯한 급격한 시대적 변화와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을 요구하는 미디어의 발전을 경험하면서 기존의 미적 이상에 대해 거부감과 지루함을 느끼고 개성적이고 흥미로운 감성들을 새롭게 미의 영역에 편입시키고 있다. ‘미(美)’와 반대 개념으로 여겨졌던 ‘추(醜)’는 더 이상 부정이 아니라 아름다움의 또 다른 영역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 디자인에 담긴 다양한 유형의 ‘치졸미(稚拙美)’는 숭고하고 고전적인 미의 엄격한 형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다양한 영역의 감성을 표현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적인 미의 변화를 시대적 배경과 함께 논의해 보고, 치졸미의 등장 배경과 개념, 유형별 특징과 사례를 분석하여 오늘날 미적 표현감성의 변화와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난 표현 감성의 변화를 인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역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전통시장 캐릭터 디자인 개발 -성북구 정릉아리랑시장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천애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2

        This is a case study of character design project in Jungrung Arirang Market, Sungbuk-gu and was conducted as part of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traditional market and university. The purposes wer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roblems in the traditional market and to suggest the design strategy by development of unique local cultural contents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First, industry-academy collaborative growing educational program was operated to realize the social values of community and university, local cultural contents were developed with the history and identity, and stepwise implementation strategies were developed to organize the participation organization of local specialists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system. Problem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ree strategies and utilization potential of local cultural contents were reviewed. It was tried to provide people with new values to design the unique contents for Jungrung Arirang Market which can connect tradition to the present with familiar and interesting story and to seek the traditional market again. The scope of design development was limited to the characters that can have the unlimited potential as the contents and development of character designs were progressed from research, storytelling, and the process of their design development. Unique and interesting narratives only for Jungrung Arirang Market were developed, Projects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the traditional markets are necessarily changed. Designs using local cultural contents are anticipated to provide the new values to the traditional markets. 본 논문은 성북구 정릉아리랑시장의 캐릭터 디자인 프로젝트 사례연구로, 전통시장 대학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전통시장이 지닌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지역의 특성을 살린 독창성 있는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지역사회와 대학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산학동반 성장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하고,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이 담긴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하며,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위해 지역 전문가들의 참여형 조직을 구성하는 단계별 추진전략을 구상했다. 3가지 전략을 바탕으로 지역 문화콘텐츠 활용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콘텐츠로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로 디자인 개발 범위를 한정했고 캐릭터 디자인 개발은 리서치, 스토리텔링,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로 진행했다. 정릉의 역사적 특색을 살려 정릉아리랑시장만의 흥미롭고 독자적인 내러티브를 발굴, 개념화 및 시각화하였고 최종적으로 새로운 캐릭터 브랜드가 지역사회의 문화콘텐츠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문화화하는 과정을 사례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총 9개의 정릉아리랑시장 캐릭터 시안이 개발되었으며, 신덕왕후와 오랜 시간 정릉을 지켜온 수호신들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캐릭터 ‘정릉아리랑즈’가 최종 선정되었다. 전통시장 환경개선 사업은 전환이 필요하다. 지역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은 사람들이 전통시장을 다시 찾을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전통시장 환경개선디자인 연구 -성북구 정릉시장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천애리,김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Past traditional market was the center of commerce where various commodities gathered in one place and the largest communication place in the region where people gathered from the region. Now is the time for the traditional market to secure a new paradigm for the customers to come to the traditional market again. In order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iscover and properly interpret the local traditions and cultures prior to simply modernizing the facilities and decorating its superficial appearance.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of Jeongneung Market in Seongbuk-gu which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Seoul City's new market development project from September 2015 to February 20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problems in traditional market and to present a design improvement strategy through the development of original cultural content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traditional market with a limited budget,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latform was constructed and 3 core strategies were planned including industry-university win-win growth program operation, storytelling-type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type organiza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cultural contents, first,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such as people, environment, life and history and present of the industry and unique stories of Jeongneung Market were made. Current problems of Jeongneung market design were analyzed and based on 3 strategies, design improvement directions were suggested and empirical designs were presented. 과거 전통시장은 다양한 상품들이 한곳에 모이는 상업의 중심지이자 지역의 사람들이 모이는 지역 최대의 소통의 장소였다. 오늘날 대형 유통업체에 밀려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전통시장은 구태의연한 곳이 되어버렸다. 고객들로 하여금 전통시장을 찾을만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기이다.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단순히 시설을 현대화하고 겉모습만 꾸미기에 앞서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발견하고 제대로 해석하는 연구가 선행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서울시의 ‘서울형 신(新)시장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 9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진행한 성북구 정릉시장의 환경개선 프로젝트 사례연구로, 전통시장이 안고 있는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지역의 특성을 살린 독창성 있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디자인 개선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정된 예산 안에서 지속적인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산학협력플랫폼을 구축하고 산학동반성장형 프로그램 운영, 스토리 텔링형 문화콘텐츠 개발, 참여형 조직 구성과 같은 3가지 핵심전략을 구상했다. 특화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활성화를 위해 먼저 지역의 사람과 환경, 생활, 산업의 역사와 현재 등 지역문화 특성을 개관하고 정릉시장만의 독자적인 이야기를 만들었다. 현재 정릉시장 디자인의 문제점을 현황 분석하였으며, 3가지 전략을 바탕으로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 실증적 디자인을 예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낙상위험요인 평가 및 낙상예방활동 임상진료지침

        자혜,김현아,곽미정,김효선,박선경,김문숙,애리,황지인,김윤숙,Chun, Ja-Hae,Kim, Hyun-Ah,Kwak, Mi-Jeong,Kim, Hyuo-Sun,Park, Sun-Kyung,Kim, Moon-Sook,Choi, Ae-Lee,Hwang, Jee-In,Kim, Yoon-Sook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8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4 No.2

        Purpose: Fall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 health events in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they can be predicted and prevented. The Quality Improvement Nurs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teering Committee developed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assessment and prevention of falls in adult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isk factors for falls in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to present an evidence for preventing falls, formulate a recommendations, and indicators for applying the recommendations. Methods: Thi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was developed using a 23-step adap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Handbook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eveloper (version 1.0) by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Evidence levels and recommendation ratings were established in accordance to SIGN 2011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Results: The final 15 recommendations from four domains were derived from experts' advice; 1) assessment of risk factor for falls in adult 2) preventing falls and reducing the risks of falls or falls-related injury 3) management and reassessment after a person falls 4) leadership and culture. Conclusion: Thi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an be used as a basis for evaluation and prevention of fall risk factors for adults, to formulate recommendations for fall risk assessment and fall prevention, and to present monitoring indicators for applying the recommendations.

      • KCI등재

        사회적 가치를 위한 소셜 디자인 프로젝트 사례연구

        최나래,천애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4

        현대 사회적 관점에서의 디자인은 시장과 자본의 논리뿐 아니라 지역의 공동체적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윤리적 책임을 실천하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는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며 변화하고 있다. 디자인은 실체적인 생산 활동과 소비의 연결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다른 어느 분야에서보다 사회적 가치에 대한 연구와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디자인의 사회적 기여가 사회 전반에 대두되고 있는 요즘,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며 실천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소셜 디자인의 특성과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소셜 디자인의 유의미한 특성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소셜 디자인 특성은 '사회교류 지향', '소수지원 지향', '문화예술 지향', '지역발전 지향', '친환경 지향 ', '교육지원 지향' 등 6가지이다. 또한 소셜 디자인 특성 별 사례조사를 통해 소셜 디자인의 사회적 메시지 전달과 사회문제 공유, 사회적 약자의 지원을 통한 공동체의 상생가치 지향, 사회적 가치의 공유와 참여를 통한 사회적 포용 실행과 소속감 부여, 사회적 발전을 위한 지역 활성화, 사회적 교류를 통한 친환경 활동의 실천, 사회구성원의 역량 강화를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 등 소셜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소셜 디자인 프로젝트 사례로서 참여형 사회문제 해결 활동인 한화그룹의 사회공헌을 위한 그래픽 아이덴티티 개발 등 프로젝트 기반의 산학연계 교육(Project based learning)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소셜 디자인의 사회적 기여와 역할이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소셜 디자인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사회적 변화를 고려하고, 향후 지속 가능한 소셜 디자인의 실행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소셜 디자인 특성에 대한 융·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소셜 디자인의 실행 과정에서 사회적 가치를 소셜 디자인 실행자와 수혜자 모두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더욱 다양하고 의미 있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소셜 디자인이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when the social contribution of design has been rising in the overall society, this study drew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social design from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design a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as a basis for aiming for and practising the social value. There are six social design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is study: 'Social Communication Oriented', 'Minority Support Oriented', 'Culture and Art Oriented', 'Regional Development Oriented', 'Green Environment Oriented' and 'Educational Support Oriented'. And the researcher also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project-based learning such as the development of graphic identity for the social contribution of Hanwha Group, on top of the analysis on cases of each characteristic.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 in which the social contribution and roles of social design could be effectively increased in more diverse area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or social change and sustainable social design, a combination of considerations is needed for the various social design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o share and participate in social values, both among the designers and beneficiaries of social design,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of social design.

      • KCI등재

        산학협력을 통한 브랜드개발에 관한 연구 - 반려동물 전문브랜드‘TheDogCat’-

        조안나,천애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1

        Design has been a part of the management strategy, but the business role and value of design are gradually expanding as the Industry 4.0 comes along with changes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This study examines industry-academy design education, which is the base of training next generation design work force, and presents the paradigm of next generation design education. TED developed the industry-academy related brand‘TheDogCat’as a part of the five year long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a Degree Award Project. It was to conduct a practical process of transferring technology, products and designs developed by master and doctoral students to companies after patent application, trademark right and design right. By examining the whole process of cooperation brand‘TheDogCat’and capstone design, it was possible to measure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ed research development and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However, there was also a space to settle the sustainable system. First, there is a lack of permanent council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al supplement to coordinate the academic schedule and the situation of the company. Seco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gap between student capacity and industrial needs. Third, professional knowledge and financial support for new product launches and distribution management need to be reinforced.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be able to produce designers required by the next generation of the design industry, through the strengths of the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As well, by the Industry 4.0,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develop educational circumstance for Design, which is able to unite Design and other majors. 디자인은 그동안 경영전략의 일부 기능만을 담당해왔으나, 생산과 유통과정의 변화와 함께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디자인의 비즈니스 역할과 가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4차 산업의 생산과 유통환경 변화는 디자인 산업과 교육에 새로운 콘텐츠와 제조융합 솔루션을 요구하여 그 의미와 영역을 확장하게 했다. 이 연구는 디자인 전문인력양성의 거점이 되는 산학연계 디자인 교육을 살펴보고 차세대 디자인 교육의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TED)은 2014년부터 5년간 산업부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산학연계 브랜드를 개발하여 석·박사 학생들이 개발한 기술·제품·디자인을 특허·상표권·디자인권으로 출원 후 기업에 기술이전하는 실무형 석사학위과정을 운영하였다. 산학협력브랜드의 현장실습(기업연계실무)과 캡스톤디자인(전공융합)을 통하여 상품개발의 모든 과정(기획·디자인·생산·유통)을 시행함으로써 사업화연계연구개발(R&BD)과 다학제적 디자인융합교육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통한 산학협력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다학적ㆍ범학적으로 여러 분야의 기업수요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이점도 있었지만 향후 지속가능한 제도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점도 지적되었다. 첫째, 학사일정과 기업의 상황을 조율하기 위한 상설 협의체 운영 및 제도적 보완, 둘째, 학생 보유역량 및 희망과 산업체 니즈 간의 격차 조정, 셋째, 신제품 개발 출시와 유통관리에 대한 전문적 노하우와 재정적 지원 등은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 교육기관은 산학협력 프로젝트의 강점과 개선점을 통하여 차세대 디자인 산업계가 요구하는 디자이너를 배출해야 하며, 4차 산업혁명의 특성상 디자인전문대학원뿐만 아니라 일반 타전공까지 아우를 수 있는 디자인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디자인 평생교육 방안 연구

        조안나,천애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for future design career women, and studied the design lifelong education plan. In recent years,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s been expanding, but design-related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have avoided women's employment due to household and parenting burdens, despite the number of women are higher than men in the design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and support to improve the working ability of women with career discontinuity in the design field. The educational cas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according to the delivery system and classified into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analyzed based on alternative learning theories. The direction for women with design career discontinuance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design competency should be improved by working-centered and vocational training-oriented training so that career-broken women can rehabilitate socially. Second, in line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eative convergence thinking should be improved. Third,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in on·offline, blended forms, and attached childcare facilities to be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In the future, lifelong education should operate to foster professional and integrated designers required by the design industry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so that women who have broken careers in the future can return to society smoothly. 본 연구는 향후 경력단절여성 디자인 전문인력양성의 거점이 될 평생교육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디자인 평생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되고 있으나, 디자인 분야는 타 분야보다 여성 종사자가 남성 종사자보다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관련 기관과 산업체는 임신과 육아 등을 이유로 여성고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사업체가 찾는 경력 지원자의 실무 능력에 불만족하여 디자인 인력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분야 경력단절여성의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과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디자인 평생교육을 분석하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교육론을 설명적 교육이론으로 간주하였으며, 기존의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특수성과 시대적 변화에 따라 대안적 교육이론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교육사례는 전달체제에 따라 3개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로 분류하였으며 대안적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디자인 평생교육 방안을 고찰하였다.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디자인 평생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사회복귀가 원활할 수 있도록 실무중심·직업교육훈련중심의 교육으로 전문 디자인 역량을 향상시켜야하며 더 나아가 현장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한다. 둘째, 4차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창의 융합 교육, 신기술의 이해, 다학제 간 교육으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여야 하며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특수한 환경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이나 블렌디드 형식, 그리고 부속 보육시설로 교육이 운영되어야한다. 향후 경력단절여성이 사회복귀가 원활하도록 각 교육기관의 특성과 강점을 활용하여 디자인 산업계가 요구하는 전문‧통합적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평생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 KCI등재

        제목용 한글서체 개발에 관한 연구 -디지털 폰트 ‘꽃비녀체’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조안나,천애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2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to the present day, display typeface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by drawing the attention of people, but also by being the face of the content. Typefaces carry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within the design itself. However the prolific use of Chinese and English characters has been causing a setback in the interest of Hangeul characters. In recent days the use of a particular display typeface helps emphasize a certain message or convey a strong identity, creating a new culture of communication. The need for Hangeul display typefaces has been rising, yet the amount of research on the identity and form of Hangeul characters is rather insufficient. This study record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 of ‘Flower Binyeo,’ a digital font that was awarded in the 27th Hangeul Font Design Contest, hosted by ‘King Sejong the Great Memorial Society’ and the ‘Visual Information Design Association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serif display font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Flower Binyeo’ to existing modern-day typefac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esents a new methodology in the field of Hangeul design and design in general. Also included in the study is the tight relationship between Hangeul readability and the process of optical, visual corrections, which is necessary in the creation of a typeface. ’Flower Binyeo’ is not representativ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all Hangeul display font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 proper guide to produce display typefaces and further brighten the future of Hangeul design. 과거 조선시대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제목용 서체는 본문 내용의 얼굴 역할을 하며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킴으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글자의 조형 속에 다양한 의미를 담으며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오랜 기간 동안 한자(漢字)와 영자(英字)를 제목으로 활용해왔기 때문에 한글 제목용 서체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졌다. 오늘날 제목용 서체는 사용에 따라 전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강조해주거나 정체성을 전파하기도 하여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창출하기도 한다. 최근 한글 제목용 서체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조금씩 개발되고 있으나 한글의 정체성과 조형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와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에서 개최한 제27회 한글글꼴디자인공모전 수상작 ‘꽃비녀체’의 개발과정과 결과물을 수록하였다. 제목용 서체인 ‘꽃비녀체’의 디자인 개발과정을 소개하고, 현대 기존의 제목용 바탕체와 비교·분석하여 제목용 바탕체의 특징과 효과적인 제목용 서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글의 기초 연구와 한글서체 개발 연구로서 한글조형 연구와 디자인 방향에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서체개발 과정에서 착시와 시각보정을 통해 한글의 조형요소와 가독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꽃비녀체’ 개발과정이 한글 제목용 서체 개발과정을 대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과정을 통해 밝힌 한글 제목용 바탕체 제작과정은 서체의 올바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한글서체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