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광고 활용이 청소년 미술치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단일사례를 중심으로)

        천세나,강민철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4

        This study is a single cas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s born in a third country, focusing on the use of video adverti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using video advertising as a digital media in art therapy affects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research subjects. The study participant was an 18-year-old teenager (female) born in China and moved to the country midway. Art therapy was conducted 15 times, once a week, for 60 min, and it was started after watching a 2-3 minute video advertisement selected according to the theme.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use of video advertising in art therapy helps reduce psychological defenses and easily approach psychological emotions, provides visual literacy on the subject, and becomes a media of active imagination to gain insight into inner emotions. 본 연구는 영상광고 활용이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 청소년의 미술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단일사례로 미술치료에 디지털매체인 영상광고를 활용하는 것이 연구대상자의 심리적 변화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밝히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중국에서 태어나 중도 입국한 18세 청소년(여)으로 주1회 60분 총15회기 진행되었으며, 각 회기의 주제에 맞게 선정된 2-3분 가량의 공익적 영상광고를 시청 후 미술치료를 시작하였다. 연구 결과 미술치료에 영상광고를 활용함으로 심리적 방어를 낮추어 심리정서에 쉽게 다가가도록 돕는 촉매제 역할, 주제에 대한 시각적 문해력 제공, 내면의 정서를 통찰 하는 적극적 상상의 매개체가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디지털시대를 사는 디지털세대들과 다양한 계층의 인구학적 특성에 맞추어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사례로서 미술치료에 창의적인 매체 융합의 필요성을 뒷받침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의 개인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이승정,신형미,천세나,정여주 한국미술치료학회 2024 美術治療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청소년이 개인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정신증적 특징이 있는 주요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청소년으로, 주 1회, 회기당 60분씩 총 20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자해 중지 유지 여부 점검을 위해 미술치료 종료 1년 후 사후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초기 면접지, 종합 심리검사 보고서, 녹음파일, 미술작품, 회기별 평가 기록지, 연구 참여자가 제공한 과거 그림들로, 자료 분석은 Creswell(2017)의 질적 연구 자료 분석 방법 5단계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미술치료 경험은 ‘참고 있는 고통’,‘내 마음을 드러냄’,‘생생하게 느껴지는 고통’,‘과거의 상처를 마주하고 위로함’,‘긍정적인 내 모습을 인식함’,‘내면 깊은 곳의 분노를 표출하고 해소함’,‘유연성과 대처 능력을 획득함’,‘일상의 생기를 찾은 성장한 내 모습’,‘새로운 미래로 나아감’이라는 9개의 경험이 도출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에게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부정적 정서의 표출 및 해소’, ‘자기 이해와 자기 수용’, ‘타인 이해와 타인 수용’, ‘긍정적인 자기 개념의 강화’라는 4개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an adolescent with Non-Suicidal Self-Injury(NSSI) experienced through personal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e participant was adolescent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Psychotic Features and participated in a total of 20 art therapy sessions,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To check the status of NSSI, a post-interview was conducted one year after the art therapy comple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arly interviews, Full Battery Assessments, recording files, artworks, evaluation records for each session, and artworks provided by the participant.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Creswell's 5 steps of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method(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 nine experiences were derived: ‘to endure pain,’ ‘to recognize the painful self,’ ‘to feel pain vividly,’ ‘to face and comfort the wounds of the past,’ ‘to recognize the positive self,’ ‘to express and resolve the anger of the deep place,’ ‘to acquire flexibility and coping skill,’ ‘to find the vitality of everyday life,’ ‘to move forward to a new future.’ Second,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derived four meanings: ‘expression and resolution of negative emotions,’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thers,’ ‘strengthening positive self-concep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