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력산업에서 VR/AR 기술동향 및 공통 플랫폼 구성방안 연구

        채창훈,최민희,유은근,임찬욱,박진우,정남준,Chae, Changhun,Choi, Minhee,Yoo, Eungeun,Lim, Chanuk,Park, Jinwoo,Jung, Namjoon 한국전력공사 2016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2 No.3

        최근 세계적인 ICT 기업들이 가상현실 (VR)과 증강현실 (AR) 기술의 생태계 확장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기존의 엔터테인먼트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 e-커머스 등 다양한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으며, 전력, 에너지 분야 또한 예외가 아니다. 전력산업에서도 VR/AR 기술 적용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어, 관련 기술 요소들을 데이터와 프로세스 관점에서 표준화하여 재사용성을 높이고, 기존 Legacy 시스템 연동과 보안 등을 고려한 플랫폼 구성을 선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효율과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VR, AR의 기술개발 동향 및 전력산업에서의 적용가능성과 플랫폼의 필요성,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기능적으로 완성도 높고 사용이 편리한 다양한 전력 VR/AR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포켓몬고 (Pokemon GO)와 같은 전력분야의 혁명적인 킬러 어플리케이션의 도출과 플랫폼 표준을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many ICT companies are trying to expand the ecosystem of VR (Virtual Reality) and AR (Augmented Reality). They are developing a variety of industries such as entertainment, education, e-commerce and so on. There is also contains the power, energy field. And application related with VR/AR will increase in power industry. Thus, Platform is necessary because there are problems such as re-use, interface with legacy system and security. We can expect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by developing VR/AR power platform.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trends of VR/AR technologies, possibilities of VR/AR in energy field, essential elements of VR/AR power platform. In the future, we expect to lead standards of VR/AR in energy and to develop a killer application such as Pokemon GO.

      • 스마트시티 에너지 감시를 위한 CIM(Common Information Model) 프로파일 설계

        김영일,채창훈,김예리,이지훈,Youngil, Kim,Changhun, Chae,Yeri, Kim,Jihoon, Lee 한국전력공사 2022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8 No.2

        With the advent of high technologies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efforts are being made to solve urban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applying new technologies in the smart city field. In addition, as carbon neutral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due to global warming, smart city energy platform technologies such as urban energy management, efficiency improvement, and carbon reduction are in the spotlight.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urban energy, energy resource information such as electricity, water, gas, hot water, heating, etc. must be collected from the management system of various energy utilities and managed on the central platform. The centrally integrated data is delivered to external city management systems that require city energy information through an energy platform. This study developed a CIM profile for smart city energy monitoring required to provide energy data to external systems. Electric data model were designed using the CIM class of IEC 61970, and water, gas, and heat data model were designed in compliance with the UML-based design ideas of IEC 61970.

      • 맥락 정보와 물리적 속성 부여가 가능한 모바일 증강 현실 콘텐츠 조작 방법

        홍동표(Dongpyo Hong),이정규(Jeonggyu Lee),채창훈(Changhun Chae),이종원(Jongweon Lee),고광희(Kwanghee Ko),우운택(Woontack Woo)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본 논문에서는 맥락 정보와 물리적 속성 부여가 가능한 모바일 증강 현실 콘텐츠 조작 방법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의 확산과 더불어 센서와 모바일 장치의 급속한 발전은 고성능 PC에서만 가능했던 중강 현실 시스템들이 모바일 장치에서도 동작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현실 공간이나 사용자의 정보를 증강 현실 콘텐츠에 반영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들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일반 사용자들이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사실적인 증강 현실 콘텐츠를 손쉽게 저작하기위해서는 모바일 장치의 제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극대화하고,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환경의 맥락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모바일 증강 현실 저작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조작에 필요한 시각적 큐(cue)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증강된 콘텐츠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센서 정보를 콘텐츠의 속성에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 센서 조작을 통해서 증강된 콘텐츠를 직접 조작하거나 환경 정보가 증강된 콘텐츠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증강된 콘텐츠들 간의 사실적인 충돌을 위해서, 물리 속성 부여가 가능한 물리 콘텐츠 로더 (physics contents loader)를 구현하고, 증강 현실 공간과 물리 공간 간의 좌표 일치를 통해서 증강된 콘텐츠들 간의 물리 충돌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안된 방법의 유용함을 검증하기위해서 모바일 장치와 센서를 이용한 모바일 증강 현실 저작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향후 모바일 증강 현실 저작 시스템에 요구되는 맥락 정보와 물리 속성 부여가 가능한 콘텐츠 조작 방법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extual information and physics-based contents manipulation method for a mobile augmented reality authoring system. Due to prolifer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in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advances in sensor technology and mobile devices, AR systems that were only possible in PC can be now feasible on mobile devices. In addition, many AR systems have been proposed that utilize sensory data and reflect them into. Thus,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ppropriate visual cues for 3D manipulations of the augmented contents. In addition, users can manipulate the augmented contents with sensory information through the assignment of sensors to the contents. Moreover, it supports not only a physics-based contents loader that enables users to specify physics properties into the contents, but also the transform matrix between AR and physics engine coordinates.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implemented a mobile augmented reality authoring system. We believ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 key factor for context-aware mobile AR author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