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나타나는 특성 - 소재와 기법 및 제품사례중심으로 -

        차임선 ( Im-sun Cha ),한정임 ( Jung-im 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과 자연 고갈에 대한 위기의식이 부각되면서 버려지는 쓰레기들로 야기되는 환경오염을 줄이는 방법과 리사이클링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여 단순한 리사이클링에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한 단계 높은 차원인 업사이클링 디자인에 대한 고찰이다.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나타나는 소재와 기법의 특성과 제품디자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고부가 가치를 지닌 제품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인 자료와 그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과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나타나는 특성인 소재와 기법에 대한 연구는 여러 선행연구 및 서적과 관련 문헌자료를 수집하였고, 제품사례연구는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2005년 이후의 외국 디자이너들의 제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첫째, 단순히 재료가 가지는 가치만을 재활용이나 재사용하는 다운 사이클의 개념이 아니라 환경에 대한 재투자와 버려진 폐기물에 대한 디자인 요소를 더하여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업사이클링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둘째,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사용한 소재에는 일반적으로 종이, 섬유, 가죽, 비닐, 타이류, 나무, 유리, 금속 등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점차 재활용되는 소재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셋째,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사용한 기법에는 패치워크, 플레이팅, 위빙, 니팅과 크로쉐, 꼴라쥬 기법 등 주로 수공예적인 요소가 강한 기법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하여 내구성이 강한 재활용된 서로 다른 소재들의 결합과 위빙, 크로쉐, 패치워크, 플레이팅 등의 섬세한 기술을 요하는 수공예적인 기법의 사용으로 희소성과 독창성이 돋보였다고 할 수 있다. 결론 업사이클링 제품 디자인의 연구를 통하여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소재의 개발과 제작 비용저감 및 기존의 공예기법뿐 만 아니라 독특한 기법들을 연구함으로써 업사이클링의 디자인제품을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As the worldwide attention the urgency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pletion of natural wasted began receiving attention for research on how to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waste and recycling methods.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a study on the flow of these contemporary one step higher level of upcycling designs into functional, aesthetic from simple recycling.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appear in the upcycling product design, we propose a theoretical data and the problem needed to develop products with high added value and a firm grasp on upcycling product design. Methods Research on the upcycling Theoretical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appear in the upcycling products designs were collecting relevant literature and several previous studies and books, products, case studies since 2005 can be seen in upcycling products design site in. It was discussed mainly the product of foreign designers. Result Results First, simply growing interest in upcycling design to create new value to the product by adding design elements for reinvestment and abandoned waste to not concepts environment of the down cycle that only recycling or reuse value with the material. Second, the material used in the product design upcycling in general in paper, textile, leather, vinyl, Thailand Chapter, wood, glass, metal, etc. has been widely used, the area of materials recycling which has been gradually expanded. Third, the design techniques used in the product has been used up cycling a lot of patchwork, plating, weaving, knitting and Black Chevron, mainly handicraft techniques such as collage elements have a strong technique. Fourt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materials with durable recycled through the upcycling product design case study and weaving, knitting, crochet, patchwork, plating was a use scarcity and originality of handicraft techniques that require sophisticated technology stand out, such as can do. Conclusion Upcycling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through a study of the product design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 and not just lowering costs and production of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By studying the unique techniques upcycling the design of high value-added industries can develop.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5 세기 서양화 속 이탈리아 실크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차임선(Cha, Im-s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15세기 이탈리아 실크 텍스타일디자인의 특징을 동시대 회화 속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15세기의 르네상스 회화는 사물관찰을 통한 사실적인 묘사에 능하여 인물과 의상 및 실내배경의 세밀한 묘사를 원근법에 의거하여 표현하였으므로 텍스타일 패턴을 잘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본 연구 내용으로는 15세기 이탈리아 실크산업의 발달과정을 고찰하고, 동시대 유럽의 회화 속에 나타난 텍스타일디자인을 연구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과 해외저서 번역본, 그리고 인터넷 조사에 근거하였다. 도판 이미지로는 15세기 이탈리아 회화속 텍스타일 패턴이 선명하게 표현되어 디자인 특징을 분별할 수 있는 그림 위주로 선정하였으며, 시대별로 디자인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회화 제작시기의 편중됨이 없도록 고려하였다. 15세기 이탈리아 실크직물은 루카를 위시하여 베네치아, 피렌체, 제노아 등지에서 발달되었고, 다양한 실크벨벳 제직기술이 고안되었다. 15세기의 서양화를 통해 연구된 텍스타일디자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5세기의 이탈리아 실크텍스타일은 벨벳의 한 종류에 치중되었으며, 벨벳의 표면에 다양한 층을 주어 ‘컷 앤 언컷(Cut and Uncut)’의 질감과 공간감을 위한 다양한 조직이 개발되었다. 모티프로는 벨벳에 가장 이상적인 석류형태가 개발, 발전 및 변형되었다. 색상으로는 단색상이나 금을 배경으로 한 두색상 배합이 주로 사용되었다. 금색이 가장 선호된 색상이었고, 금 벨벳이 가장 선호된 직물이었으며 금색과 같이 사용된 배색으로는 진남색, 홍색, 적갈색 그리고 녹색등이다. 레이아웃으로는 1425년 이전에는 세트, 전면 레이아웃이, 그 이후에는 대칭, 전면, 세트레이아웃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탈리아 장인들은 의상과 퍼니싱용의 용도별 구분보다는 직물자체 의 종류와 패턴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이 시대의 이탈리아 직물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의 결과이며, 현재 유럽에서 고도로 발달된 혁신적 직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당시에 이룩하였던 성과가 전해 내려오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on the 15th century Italian silk textile designs seen through the contemporary western paintings. In the 15th century Renaissance paintings, nature was carefully studied and drawn realistically and the result was precise depiction of textiles for costumes and interiors based on perspective.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as follows: the Italian silk textile industry in the 15th century was research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lk textile design in contemporary italian paintings were studied and analyze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reign, domestic, and translated literatures along with web sites. As for the images taken for the research, the first criteria was to find Italian paintings that have clear depiction of textile patterns. In order to research the chronological sequence in textile design development, the dates of paintings were in consideration. It was Lucca where the silk industry was first developed in Italian peninsula, and then it had spreaded to Venice, Florence, and Genoa. Italian silk industry developed various silk techniques along with innovative velvet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k textile design shown in the 15th century western paintings are as follows; it was silk velvet that the Italian silk masters focused on making and the highly technical cut and uncut velvet having different pile heights were devised in order to impart various textures and depth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A pomegranate as an idealistic motif for velvet was devised and developed into various patterns. As for color combinations, either monochrome or bi-color combinations were used. Gold was the most prominent color and gold velvet was the most sought after textile. Gold as background, indigo, red, terracotta and greens were used on the foreground. As for layouts, before the 1425s, set and all-over were favored; and after that, symmetrical, all-over and set layouts were much used. Italian silk textile masters put all their efforts into creating various qualities of silk textiles and the most innovative patterns rather than distinguishing apparels from home furnishings. Since, they knew how to converge artistic sense into scientific technology, they were able to accomplish remarkable feat and it explains why the modern European textile industry is so innovative and creative.

      • KCI등재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본 매킨토시의 디자인관

        차임선 ( Im Sun Cha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글래스고 학파의 구성원이었던 매킨토시는 건축, 실내 디자인 및 텍스타일 디자인을 종합적 예술 개념으로 접근한 기능주의 건축가-디자이너이다. 그는 자신만의 디자인관을 통해 건물, 가구, 실내와 텍스타일 디자인의 조화와 통일성을 이루어냈다. 본 연구 목적은 모더니즘의 선구자로 알려진 찰스 르네 매킨토시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연구, 분석하여 텍스타일디자인에 표현된 그의 디자인관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으로는 매킨토시의 대표적인 건물인 글래스고 미술학교와 힐 하우스에 대해 문헌 조사를 근거로 연구하고, 글래스고 학파의 예술양식인 아르누보 양식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매킨토시의 건축, 실내 디자인과 텍스타일 디자인에 일관되게 흐르는 그의 디자인관에 대해 문헌자료를 토대로 고찰하고, 텍스타일 디자인들을 분석, 분류하였다. 매킨토시는 유기적 공간의 건물을 건축하듯이 살아 숨쉬는 독창적인 텍스타일 디자인을 만들었다. 그의 디자인은 자연으로부터 생겨났고, 그의 디자인양식은 글래스고 학파의 절제된 아르누보 양식에 기인한다. 그는 양식화 디자인과 추상 디자인의 두가지 양상을 통해 자신의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하였다. 매킨토시는 직선과 곡선의 대비, 선과 면의 대비, 색상대비 등의 대비효과를 통해 조화로움과 균형을 이루어냈다. 대비효과와 긴장감을 주는 일그러진 타원형 및 단순화한 비대칭적 형태의 사용은 매킨토시의 디자인 특징이며, 최소한으로 절제된 요소의 사용은 그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기본적 조형원리가 되었다.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본 매킨토시의 디자인관은 이상주의적 개념의 독창적인 상상력으로 요약된다. 그는 삶을 풍부하게 만들고자 하는 이상을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그의 디자인은 오늘날에도 신선함을 주고 있으며, 모던 감각의 예술성을 내포한다. As a member of the Glasgow School, Mackintosh pursued ‘gesamtkunstwerk’ concept in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and textile design. He achieved unity and harmony between his buildings, furnitures, interiors and textile designs through his unique design view. This study focuses on textile designs by Charles Rennie Mackintosh, one of the pioneers of modernism, and to examine how the background of architecture influenced his designs, and to inquire into his design view through his approach to textile design.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as follows: the research on his major architectures which are the Glasgow School of Art and the Hill House was done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materials along with the direct experience I had of these sites. And the study on the Art Nouveau style of the Glasgow School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ference materials. Lastly, his textile design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Mackintosh created imaginative textile designs in which the motifs seem moving and alive. He approached textile design in the same attitude in creating the interior space of his organic architecture. His design stemmed from nature, and his design style is based on the restrained Art Nouveau style of the Glasgow School. He expressed the inventive imagination through the stylized design and the abstract design. His designs show balanced effect through contrasts between a straight and a curved line, between a line and a shape, and between colors. The use of the contrasting design elements with the restrained oval and the simplified asymmetrical shapes is characteristic of Mackintosh’s design. The minimal and understated use of design elements became a part of his basic design principle. Mackintosh’s design view through textile design is summed up in the idealistic creative imagination. He expressed his high ideals of making human life richer through inventive textile design. His textile designs still look fresh to this day, and they contain the modern artistic sens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생명현상에서 나타나는 반복과 확산에 의한 원(圓)의 조형성 연구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김가영 ( Kim Ka Young ),차임선 ( Cha Im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생명현상의 본질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형이상학적인 생명의 본질과 에너지를 나타내는 형태로 ‘원(圓)’의 상징 기호를 통해 조형적 작업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내용 및 방법으로는 문헌과 인터넷자료 조사를 통하여 생명현상의 개념 및 구조를 고찰하고 생명현상의 형태연구로 반복과 확산을 통한 연구와 생명현상의 상징으로써 원형태를 연구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원’을 기본단위로 하여 형태의 중첩과 확산의 과정을 통해 생명에너지의 형상을 조형작업으로 표현하였다. 본 작업의 개념은 반복되고 확산되어 순환하는 생명현상의 에너지이며 작품은 총 8점의 작품으로 전개되었다. 본 작업들은 분열, 증식, 확산, 소멸, 재생의 자기조직화를 반복하는 생명현상의 과정과 에너지의 흐름을 나타낸다. 생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생명체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형이상학적인 생명의 본질을 나타내는 상징기호로서 원의 형태를 도출하였고 생명현상의 기본단위인 세포의 생명활동으로써 분열, 확산, 재생성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과 확산이라는 주제아래 생명의 순환성, 끊임없이 분열, 증식, 성장하는 동적 이미지와 광활한 우주의 에너지형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자의 작업은 중첩하여 설치하여 여러막으로 이루어져 선택적 투과를 하는 세포의 특성을 형상화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늘어짐과 겹쳐진 이미지를 왜곡시키는 효과를 통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생명체의 시간성을 형상화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유기적 형태와 생동감, 가변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명현상을 조형적 작품으로 표현 할 수 있었고, ‘원’의 형태를 통해 생명체의 무한한 연결성, 끊임없이 움직이는 생명현상의 동적인 이미지와 우주의 순환구조를 표현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oretical study about substance of life phenomenon and aims to study 8 formative art works through ``circle`` form which symbolizes substance of the life phenomenon.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a study about the definition of the life, and about structure and form of cell as a basic unit of life. Secondly, it is a study ‘circle’form which is repetition and proliferation of life energy. Thirdly, it aims to study 8 formative art works which show the repetition, proliferation and rotation of life energy and life process through ‘circle’form. These works express the processes of growth, increase, extinction and repetition of life phenomenon and life energy by using ‘circle form.’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I am able to show that ‘circle’ is the symbol of the essence of life. I also show that ‘circle’ symbolizes the energy of the universe by imitating repetition, proliferation and growth of biological cells. I determined to develop my own formative work based on this significant study in the future.

      • KCI등재

        프랭크 게리 작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김나영 ( Na Young Kim ),차임선(교신저자) ( Im Sun Cha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독특한 구조와 왜곡된 형태, 다양한 재료의 결합을 시도하는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O. Gehry)는 건축 및 디자인분야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자율성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랭크 게리 건축 프로젝트의 형태, 재료, 색상에서 보이는 조형적인 특성을 연구하고, 텍스타일 디자인의 모티프를 개발해서 다양한 소재와의 병합을 통해 홈 퍼니싱(Home Furnishing) 용도로 사용 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 아트워크(Artwork)를 제작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각종 문헌 자료를 분석해서 게리의 건축 철학과 작업 방식의 고찰을 선행한 후, 그의 작품 분석을 통해서 ‘파편화’, ‘유기적 구조’, ‘왜곡’을 키워드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파편(Fragment)’, ‘움직임(Movement)’, ‘왜곡(Distortion)’을 주제로 선정하고 주제별로 각각 2 점씩 총 6 점의 아트워크를 제작했다. 프랭크 게리는 해체와 파편화 과정을 통해서 건축물을 제작했고, 유기적인 곡선 형태로 율동감을 자아냈으며, 스케일의 과장과 형태의 왜곡으로 역동성을 담아냈다. 본 연구자는 위의 3 가지 주제를 토대로 시각적인 파편화, 자유로운 곡선의 조화, 주름의 왜곡된 형태 등 텍스타일 디자인의 다양한 모티프를 개발했고,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콜라주 등 여러 가지 기법과 소재를 적용하며 텍스타일 디자인 아트워크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프랭크 게리 건축물의 형태와 조형요소가 텍스타일 디자인의 모티프와 소재로 응용할 수 있고 이를 재해석해서 연구해 본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Frank O. Gehry is the leading architect who is known for the unique structure, distorted forms, and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Gehry pursues the freedom beyond existing framework by frequently crossing the boundaries of architecture and design. This study intended to stud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forms, materials, and colors of Gehry``s architectural projects and to develop textile design motifs and combine them with various materials to produce a textile design artwork that can be used for home furnishings. First, literatures on Gehry``s architecture were analyzed to examine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and method of work. Gehry``s works were characterized to derive three keywords such as ‘Fragmentation’, ‘Organic Structure’, and ‘Distortion.’ Themes for my textile artwork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bove keywords; ‘Fragment’, ‘Movement’, and ‘Distortion’, and two art works for each theme are developed and all together a total of 6 art pieces are created. Gehry built the buildings through the process of dissolution and fragmentation. He also created a sense of movement incorporating the organic curves and dynamics, through the exaggeration of scale, and distortion of form. Based on the above 3 themes, various textile design motifs such as visual fragmentation, free curves, and distorted forms in between creases are developed and these are combined with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The study closely examines the idea that Frank O. Gehry``s buildings’ characteristics using various materials can be applied to create textile design motifs and to inspire using the proper substrates for each art work. The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Gehry``s work is reinterpreted into textile design.

      • KCI등재

        조선시대 회화 속 은일사상이 반영된 꽃 그림 연구

        강지희(Kang Ji Hee),차임선(Cha Im Sun)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연구 목적은 은일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회화를 연구하여 꽃을 소재로 한 아트워크를 제작하는데 있다. 연구내용 및 방법으로는 조선시대 회화에 표현된 은일사상과 그 시대적 배경을 문헌, 선행연구 및 인터넷 자료를 참고하여 연구하고, 은일사상이 반영된 꽃 그림을 동양화기법으로 제작하였다. 은일사상은 자연의 이치에 순응함으로써 인간의 걱정 근심을 해소할 수 있다는 노장사상에서 비롯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 중, 후기에 정치, 사회가 혼탁하였을 때 선비들에 의해 추구되었다. 이들은 충절을 지키는 것을 의롭게 생각하였고, 자연의 섭리 속에서 심신을 수련하면서 후일의 정사를 도모하였다. 이들의 이러한 심경은 당시의 산수·화훼화에 그대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자는 현대사회의 혼탁함과 과다한 경쟁 및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각자가 자연이치의 깨달음을 통해 마음의 평화를 찾으며, 깨끗하고 정직한 사회의 실현을 현대 속의 은일사상으로 해석하고, 이를 작업 컨셉으로 정하였다. 테마는 “꽃을 통한 자연”이며, 한국전통의 미적 감성과 상징성이 담긴 모란, 목련, 나비를 모티프로 한 5점의 아트워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한국 전통 모티프와 한국화 기법을 사용하여 한국 정신과 고유미가 담긴 아트워크를 제작하였다. 둘째, 전통한지 위에 백색 안료를 사용하여 자연미가 담긴 자연친화적인 꽃 그림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여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도록 의도한, 현대사회에 필요한 은일적인 사상을 꽃 그림에 반영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floral paintings that express Eun-il philosophy contained in the Korean paintings of Joseon period. I researched on Eun-il philosophy that was expressed through the landscape and floral paintings of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based on the various literatures and web sites. Then, I developed 5 floral art works in Korean painting style that reflected Eun-il thought. Eun-il philosophy is basically based on Taoism. In Taoism, one must be united with nature to be relieved of all the anxiety and tension gotten from the world affairs. And this was pursued by the Joseon scholars when the rivalry between factions reached its peak in the middle of Joseon period. While being loyal to the country and the king, they strived hard to keep their mind and body fit and be in harmony with the natural law for the future endeavors. And they imbued their ideas of Eun-il thought in their paintings of landscape and flowers.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I have developed 5 floral paintings reflecting the contemporary Eun-il thought. It was to honor the clean and honest society, and be in harmony with nature to relieve of all the stresses from the competitive and unstable contemporary society. I have chosen peony, magnolia and butterfly as motifs for the theme of “the Nature seen through Flowers”, since they contain the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and symbols. As for color and technique, I painted with white pigment using layering technique on the natural Korean rice paper to impart the natural beauty through my work. As result, I was able to create eco-friendly art works that have the Korean aesthetics and at the same time to offer the spiritual and physical comfort and calmness, and to be charged with renewed energy and wisdom for tomorrow. And, I was able to create floral paintings imbued with the contemporary Eun-il thought as I had int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