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공간에 대한 토지소유권의 효력범위

        차영민 ( Young Min Cha ),김유정 ( Yu Jeong Kim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法과 政策 Vol.20 No.2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로 지하에 교통시설을 만들거나 도시 이용을 위한 시설이 설치되는 등.지하공간은 용도가 다양함은 물론 이용 가능한 김이도 점점 더 갚어지고 있다.지하공간의 적극적인 사용은 지상공간의 공급부족을 해결하는 등 도시화의 가속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었다. 그런데 토지의 지하공간의 활용과 그에 따른 법 제도의 필요성은 날이 갈수 록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민법이 제212 조에서 “토지의 소유권은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 내에서 토지의 상하에 미친다”라고 규정하고 있을 뿐 이를 구체화하는 규정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토지의 지하공간의 소유권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이른바 ‘대심도 지하공간’에 대하여 토지소유자의 소유권을 배제하자는 논의가 일부 있는 정도이다. 본고에서는 토지소유권의 범위와 관련한 종래의 법 이론과 입법례를 살펴본 후 민법 제 212 조의 ‘정당한 이익’의 해석론과 판례를 검토한 후에 이른바‘대심도 지하공간’의 토지소유권의 효력의 범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 등 많은 나라에서는 대심도 지하공간에 대한 특별법을 입법하는 등 그 이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우리나라의 경우 지하부분의 토지사용에 따른 보상기준에 관한 서울시 조례와 국토교통부의 지하공공시설의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이 있을 뿐,대심도 지하공간의 이용에 관한 법률이 없음은 물론 이에 관한 지침도 없는 실정이다. 대심도 지하공간의 활용의 필요성과 그 수요는 날이 갈수록 증가할 것이므로 대심도 지하공간의 소유권에 대한 논의와 함께 이의 이용에 관한 입법도 가능한 한 빨리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As scientific technology is developed these days,use of underground space has been diversified to such an extent as to build traffic fa디lities or facilities for use of city under the ground and the depth of underground space has also been deepened. Aetive use of underground space has great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is capable of solving the acceleration phenomenon of urbanization by solving short supply of ground space Notwithstanding application of underground space of land and the necessity of the regulation for the aforementioned is growing as days go by, but the Civil Law regulates it in the Article 212 only as “Ownership of land affeet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land within the limits of a legitimate profit." without any specific regulation to materialize a legitimate profit. In addition, studies on the ownership of underground space of land have bæn done,but there has only been a discussion to exclude land owner’s ownership with respeet to so-cal1ed ‘high-depth underground space`` This manuscript looks into the conventional theory of law and legislation cases pertaining to the scope of land ownership and investigates the scope of effeet of land ownership of so-cal1ed ‘high-depth underground space`` upon completion of the examination on the interpretation theory and judicial precedent regarding ‘legitimate profit’specified in the Article 212 of the Civil Law. Many countries including Japan are grappling with preparation of countermeasures by legalizing specia! laws on high-depth underground space, whereas only ordinance of the Seoul government on compensation standard for the use of underground part of land and the rules on installation of underground public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Land,Infrastrueture and Transport exist in Korea without guidelines as well as laws on the use of high-depth underground space As the necessity of and demands for application of high-depth underground space will increase with the lapse of time,discussion on the ownership of high-depth underground space and legislation on the use of the foregoing shall be established within the earlist possible date,

      • KCI등재

        보이스피싱 범죄의 실태와 피해자의 손해보전 방법에 관한 소고

        차영민(Cha, Young-Min),송영시(Song, Young-Si)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2

        The developm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to change the daily life of a large part. In addition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also being used in new type of crime. And voice phishing is one of them. Voice phishing is identifi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First of all, Voice phishing mastermind is hard to find. And recovery of crime is difficult. And「SPECIAL ACT ON THE REFUND OF DAMAGES INCURRED FROM TELECOMMUNICATION FINANCIAL FRAUD」 practically does not compensate for damage of the victims. Because of this, the victim has a civil action against the holder of account used in fraud. There is no Supreme Court precedents, but the lower instance precedents is. The lower instance Court ruled to accept responsibility for by aiding and abetting of the holder of account used in frau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mit that foreseeability to the holder of account used in fraud. And most of the holder of account is homeless or low-income group. For that reason, victims are difficult to receive compensation. Consequently, in order to recovery of voice phishing crime, need a new policy. One of them is 'THE VOICE PHISHING FUND' for victims of crime. Thus, for the protection of the victim should make a substantial system. To eradicate voice phishing crime, requires hard work and effort. 정보통신산업의 발달은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런데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은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범죄에도 이용되고 있으며, 보이스피싱 범죄는 그 중 하나이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특성상 주범을 찾기가 쉽지 않고, 이에 따라 피해자의 피해회복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을 통한 피해금 환급 제도가 있으나 실질적으로 피해자들의 손해를 상당부분 보전하여 주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이스피싱 범죄의 손해배상은 주로 피해자가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을 상대로 한 민사소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 판례는 찾아보기 어렵고, 하급심 판례들은 주로 피해자의 과실에 의한 방조를 인정하여 일부 손해를 배상할 것을 인정하고 있다.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이 보이스피싱 사기단에게 통장을 제공할 당시 보이스피싱 범죄에 이용될 것임을 예견할 수 있었고, 나아가 범죄자의 범죄행위를 용이하게 하여 방조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에게 예견가능성을 인정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또한 현실적으로도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이 노숙자이거나 당장 급전이 필요하여 대출을 미끼로 통장을 제공하게 된 경우가 많아 법원에서 승소판결을 받는다 한들 그들을 상대로 배상을 받기란 어려운 일이다. 이처럼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은 그들의 손해를 상당부분 보전 받을 마땅한 방법이 없는 상황인데, 피해자들이 대부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계층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 정책적인 결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중 하나의 방법으로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자를 위한 기금조성이 있을 수 있다. 기금 조성 과정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경제력이 부족한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법해석적인 측면으로도, 현실적으로도 타당하지 못하다. 이처럼 피해자 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제도를 만들고, 정부ㆍ금융기관ㆍ통신사 등이 함께 보이스피싱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보이스피싱 범죄의 실태와 피해자의 손해보전 방법에 관한 소고

        차영민(Cha, Young-Min) , 송영시(Song, Young-Si)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2

        정보통신산업의 발달은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런데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은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범죄에도 이용되고 있으며, 보이스피싱 범죄는 그 중 하나이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특성상 주범을 찾기가 쉽지 않고, 이에 따라 피해자의 피해회복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을 통한 피해금 환급 제도가 있으나 실질적으로 피해자들의 손해를 상당부분 보전하여 주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이스피싱 범죄의 손해배상은 주로 피해자가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을 상대로 한 민사소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 판례는 찾아보기 어렵고, 하급심 판례들은 주로 피해자의 과실에 의한 방조를 인정하여 일부 손해를 배상할 것을 인정하고 있다.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이 보이스피싱 사기단에게 통장을 제공할 당시 보이스피싱 범죄에 이용될 것임을 예견할 수 있었고, 나아가 범죄자의 범죄행위를 용이하게 하여 방조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에게 예견가능성을 인정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또한 현실적으로도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이 노숙자이거나 당장 급전이 필요하여 대출을 미끼로 통장을 제공하게 된 경우가 많아 법원에서 승소판결을 받는다 한들 그들을 상대로 배상을 받기란 어려운 일이다. 이처럼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은 그들의 손해를 상당부분 보전 받을 마땅한 방법이 없는 상황인데, 피해자들이 대부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계층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 정책적인 결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중 하나의 방법으로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자를 위한 기금조성이 있을 수 있다. 기금 조성 과정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경제력이 부족한 사기이용계좌의 명의인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법해석적인 측면으로도, 현실적으로도 타당하지 못하다. 이처럼 피해자 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제도를 만들고, 정부ㆍ금융기관ㆍ통신사 등이 함께 보이스피싱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developm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to change the daily life of a large part. In addition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also being used in new type of crime. And voice phishing is one of them. Voice phishing is identifi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First of all, Voice phishing mastermind is hard to find. And recovery of crime is difficult. And「SPECIAL ACT ON THE REFUND OF DAMAGES INCURRED FROM TELECOMMUNICATION FINANCIAL FRAUD」 practically does not compensate for damage of the victims. Because of this, the victim has a civil action against the holder of account used in fraud. There is no Supreme Court precedents, but the lower instance precedents is. The lower instance Court ruled to accept responsibility for by aiding and abetting of the holder of account used in frau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mit that foreseeability to the holder of account used in fraud. And most of the holder of account is homeless or low-income group. For that reason, victims are difficult to receive compensation. Consequently, in order to recovery of voice phishing crime, need a new policy. One of them is 'THE VOICE PHISHING FUND' for victims of crime. Thus, for the protection of the victim should make a substantial system. To eradicate voice phishing crime, requires hard work and effort.

      • 넓은 입력전압 범위를 갖는 게이트 드라이브용 Charge Pump Voltage Regulator

        엄정민(Jeong-min Eom),김채원(Chai-won Kim),차영민(Young-min Cha)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This paper proposes a voltage source design to operate the Vgs of the power transistor of the motor driver IC at 13V. The voltage source drives the low-side and charges the bootstrap capacitor. At this time, the target voltage is sufficient to drive the Power Transistor even at a low input voltage, and even at a high input voltage, a stable voltage source is generated with low ripple and high efficiency.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because a constant 13V voltage source is created at a very wide input voltage of 5.5V-50V through a combination of charge pump, regulator, switch, etc.

      • 첨단교통정보시스템의 최적경로 알고리즘 개발

        김성수(Kim Sung Soo),차영민(Cha Young Min)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1 産業技術硏究 Vol.21 No.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optimal path algorithm for dynamic route guidance system in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ATIS). The travel time is forecasted in each path between network nodes. Floyd-Warshall algorithm is used to find the optimal route based on this forecasted travel time in dynamic traffic network. This algorithm is modified to apply the real traffic network that has left-turn restriction, U-turn, and P-turn. A big value is assigned to one of arcs in turn restriction and a virtual node is used to consider U-turn and P-turn for Floyd-Warshall algorithm.

      •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금지, U-turn, P-turn을 고려한 개선된 Dijkstra Algorithm에 관한 연구

        김성수(Kim Sung Soo),전영주(Jun Young Joo),차영민(Cha Young Min)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1 産業技術硏究 Vol.21 No.1

        U-turn and P-turn as well as left-turn restriction exist in real traffic network. the optimal route should be selected for considering these using shortest path algorithms. But, the traditional algorithms have some limitations to use for considering the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modify Dijkstra algorithm in order to find the optimal path in real traffic network. The continuous three nodes are used to check turn-restrictions and exclude these from and optimal path. A virtual connection is used to consider U-turn and P-turn

      • SODAR관측을 통해 분석한 도심지 상층의 풍력자원 특성

        이화운(Lee, Hwa-Woon),박순영(Park, Soon-Young),김동혁(Kim, Dong-Hyuk),전원배(Jeon, Won-Bae),차영민(Cha, Yeong-Min),김현구(Kim, Hyun-Go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6

        When we urgently need to develop and supply an alternative energy, wind power is growing with much interest because it has relative low cost of power and area of tower. To estimate the wind power resource, it is necessary to make an observation first. Although the large wind falm and resources are near coast and mountain area, the wind energy in urban area has the strong thing of direct access to power generator.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probability of wind energy above urban area using SODAR data, which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tall building (140m).

      • 채널할당을 위한 진화프로그램과 FEA 혼합 방법

        김성수,차영민,민승기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3 정보통신논문지 Vol.7 No.-

        There is a continuously growing demand for usable channels that are necessary for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users and the base stations of cellular radio networks. However, the number of usable channels is very limite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hybrid method of evolution program(EP) and frequency exhaustive assignment(FEA) for the NP-hard channel-assignment problems to find an optimal channel assignment for minimum interference among the channels within a limited time.

      • 첨단교통정보시스템의 최적경로 알고리즘 개발

        김성수,차영민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1 産業技術硏究 Vol.21 No.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optimal path algorithm for dynamic route guidance system in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ATIS). The travel time is forecasted in each path between network nodes. Floyd-Warshall algorithm is used to find the optimal route based on this forecasted travel time in dynamic traffic network. This algorithm is modified to apply the real traffic network that has left-turn restriction, U-turn, and P-turn. A big value is assigned to one of arcs in turn restriction and a virtual node is used to consider U-turn and P-turn for Floyd-Warshall algorithm.

      • KCI등재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주로 동산담보제도와 관련하여

        한삼인,차영민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8 No.3

        The purpose of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is to facilitate the borrowing of funds and safety in financial transactions and to contribute to the robust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by providing for matters security interests in movable property, obligation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 registration or record thereof. The core of Asset securitization are Actions to liquidate assets. And convenien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rocess of Encashment. The new system is useless, if it isn’t faster and more convenient than existing system. In addition, the new system must ensure the stability and the reliability of its asset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Asset securitization, the system must be provided with convenience and reliability. Only then we can expect a more transparent financial asset, financial accident red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However,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transaction activation to harm. For example, the law have placed a limit on the qualification of a mortgage setter. And in the law-making process, the law didn’t integrate civil law and special law. Thu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unified law-system. And making anyone to be able to set up and use, coverage of the law should be more widely recognized. Also 5 years duration needs to be revised as unnecessary legislation. And construction machinery, ships, automobiles, aircraft, etc which can be registered are governed by 「Act on mortgage on automobiles and other specific movables」. But the law take Valuable things, such as cars, to be registered with local authorities, simple movables to be registered in the registry office. That is not desirable. Thus, there is a need to integrate 「Act on mortgage on automobiles and other specific movables」 to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So that, it becomes easy to fund raising and setters can be protected. If the law-system is complex or contains unnecessary regulations, probably will not use As financial institutions. Thus,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law. Especial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unified law-system.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은 현행법상 동산과 채권의 경우 공시방법이 불완전하고, 지적재산권의 경우 「민법」상 질권의 방법으로만 담보로 제공할 수 있어 이들을 담보로 이용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동산ㆍ채권ㆍ지적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담보제도를 창설하고 이를 공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자산유동화의 활성화를 통하여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자금조달에 편의를 제공하고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려는 데에 그 입법의 목적이 있다. 한편 자산유동화의 핵심은 비유동적인 자산을 현금화 하는 행위로 정리할 수 있다. 이처럼 ‘현금화’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변경 과정의 편리함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거래관계에서 보다 빠르고 편리한 제도가 아니면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불필요한 제도가 될 뿐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특별한 제재 없이 변경을 인정하면 그 자산의 신뢰도가 낮아지므로 이 또한 문제된다. 즉 자산유동화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활용의 용이성과 안정성을 골고루 갖추어야 한다. 그래야만 보다 투명한 자산운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금융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적어지며 국민경제의 발전이라는 입법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도 살펴보겠으나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은 ‘등기’라는 공시방법을 택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거래를 확보하게 되었다. 그러나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은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민법 및 특별법상 인정되는 담보제도를 통합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이처럼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은 기존의 제도에 추가로 별개의 담보권을 추가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자산유동화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시행된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은 그 담보권설정자의 자격에 제한을 두는 등 내재적으로 거래의 활성화를 해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선 단일한 동산담보권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물론 새로운 제도가 시행되는 과도기적인 시기이므로 성급한 구제도의 철폐는 바람직하지 못하나, 민법상 제도와 현행의 신제도가 혼용하여 운용되는 과정에서 오는 혼란과 법률전문가가 보아도 해석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라도 추후 개정을 통해 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일반 개인도 동산·채권담보를 설정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적용범위를 보다 넓게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존속기간을 5년으로 설정한 것 역시 불필요한 입법으로서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등록할 수 있는 건설기계, 선박, 자동차, 항공기 등은 자동차 등 특정동산저당법에 의해 규율하고 있다. 그러나 그 재산적 가치가 높은 건설기계 등은 지방자치단체 등에의 등록으로, 단순한 동산은 등기소에의 등기로 각 그 설정방법과 내용에 차별을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등록할 수 있는 건설기계, 선박, 자동차,항공기 등을 보다 개선된 제도인 동산담보법에 의하여 규율하게 함으로써 보다 자금융통을 쉽게 하고 담보권자, 담보권설정자 및 소유자의 권익을 균형 있게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 동산담보권을 설정하여 현금을 대출하여 주는 기관은 결국 대부분 금융기관이다. 금융기관에서는 당연하게도 자산의 안정성과 그 유통성 등 가치를 면밀히 판단하여 대출 등 여신행위를 하여 줄 것이며, 이러한 거래의 활성화와 안정성 확보를 위해 동산담보법의 제정에 이른 것이다. 그러나 금융기관으로서는 그 복잡성, 그리고 불필요한 규제, 기존의 제도와의 혼용 등으로 혼란만이 가중될 뿐이라면 결국 사용되지 않는 제도가 될 뿐이다. 이를 막고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꾀하기 위해서라도 동산담보법을 보다 정교하고 거래 현실에 맞추어 개정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