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족역할과 심리사회적 자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과 취업 여부에 따른 차이

        차승은 ( Seung Eun Cha ),한경혜 ( Gyoung Hae Ha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06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quality of marital and parental role on the mental health,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 in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We used the data Successful Midlife Development: Survey on Mental health and Work/Family Life Course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2001) collected from 1696 adults (women: 49.5%) at the age of 27 to 60. In this survey, mental health were evaluated in two dimensions, depression and dependency on alcoho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 spous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men`s depression and dependency on alcohol respectively, but to women, this positive effect were found only in the dimension of depression. Especially for house wives, this positive effect was limited in the case of higher personal control level. Marital strain was, however, estimated to have more stronger negative effect on women`s health compare to men`s. Second, concerning the social conditions in association of role quality and mental health, the mechanism that social conditions reinforce or attenuate the effect of role quality of men and women were varied by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Therefore, the differences in social process can be useful arguments to explain gender dissimilarity. Third, similarities among gender were also found in this study. Especially with the parental role qualities,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of parental role similarly affected health of men and women, in terms of direction and size of the effect.

      • KCI등재

        니트 청년의 시간활용에서의 특이성과 차별성: 청년기 가족 연구에 대한 시사점

        차승은 ( Seung Eun Cha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out the daily lives of young adults who are experiencing NEET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situation. Daily time use pattern of young adults who traverse through different social role status, like student, employed individuals as well as who are in NEET statu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closer into the time use pattern within the NEET group in order to address the attribute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such status. Employing the 5,266 diaries of young adults (age range 19-29, female: 54.24%) from the original data of 2009 KTUS (Korea Time Use Survey), results showed that NEET group spend most of their time on nonworking activities, or sleep; their daily schedule was unstructured and mostly filled with free time activities. Within the NEET group, the differential in time use pattern was found in terms of age and gender; mid 20’s spent great deal of time on education, work searching and social meetings, while early 20’s and late 20’s tend to spend their time on computer game and TV watching. The female young adult was more apt to use their time on unpaid housework, like house chores or carework, compared to male counterpart. Those who experience as NEET in their 20’s showed higher education level. However, those who remain as NEET in their late 20’s were less likely drag out their family financial resources compared to those who are in employment or in education.

      • KCI등재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차승은(Seung-Eun Cha)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1

        이 연구는 시간압박의 개념을 중심으로 남녀에 따라 지각하는 시간압박수준이 어떻게 차이가 나고, 시간압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에서의 성차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2004년 생활시간자료를 활용하였다. 일하는 연령에 해당하는 25-54세의 기혼의 대상자들만을 선별하여 살펴본 분석결과, 첫째, 평균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시간압박을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여부와 성의 조합형태로 살펴본 교차분석 결과에서는 취업남녀가 유사한 시간압박 수준을 나타내는 가운데 비취업여성, 비취업남성 순으로 시간압박을 지각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시간압박을 종속으로 하는 순서화 로짓분석결과, 시간압박과 관련 있게 나타난 특성의 구성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점과 공통점이 함께 발견되었다. 남성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직업특성과 관련된 특성 및 시간활용이 그들의 시간압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에는 시간압박과의 관련요인들이 남성의 경우와 비교해 볼 때 더 다양하였다. 교육수준, 소득, 직종, 근무형태, 요일, 자녀연령을 비롯하여, 임금노동시간, 이동시간, 여가시간을 비롯하여, 돌봄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그리고 전화통화시간까지도 시간부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et answers to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o are the busy people in such a speedy society like Korea? How the daily schedules of busy people might look like? What is the priority of activity that appear in their schedules?, And what is the gender difference? The sample of study came form the 2004 Korean Time Diary Data which have been collected by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ample consisted of 11,976 married men and women, whose age range from 25-54 (women 49.7% of the sample). Dependent variable was time pressure measured in one item question with 4-likert scal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amount of time in work/family role and other relevant activities were considered as well as gend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us that men perceived more time deficit compared to women. Especially, employed men were the most time poor group, followed by employed women, unemployed women and unemployed men.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there were similarities in the impact of relevant factors, men’s time pressure were tightly linked with their work role and social status, while women’s time pressure were responsive to both their role as a mother and as a worker. Nowadays, Korean fathers appear to face new expectation that they need to be involved in family just like mothers do. However, men and women still seems to traverse through different time path, which may create both burden and conflict to either party. Policy implication and detaile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 재가돌봄 상황에서 공식돌봄서비스는 어떻게 활용되나?: 가족주돌봄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차승은(Cha, Seung-Eun)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이 노인재가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현재 공식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량은 어떤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와 활용시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2018년 한국 노인 및 아동돌봄 가족조사 자료의 499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노인의 기능제한, 주돌봄자의 돌봄기간과 돌봄선호시간량,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도움과, 다른 가족원의 돌봄분담 기여도이었다. 공식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에서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돌봄자가 여성인 경우, 나이가 어린 경우, 그리고 주돌봄자의 실제돌봄시간이 길수록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이 짧았다. 즉 가구의 돌봄가용력이 존재할 경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이 제한되는 상황이다. 그에 비해,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돌봄지원이 존재하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은 길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이 공식돌봄서비스와 공조하고 있는 가족의 맥락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인 돌봄이 공식돌봄과 조율되는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nd when families decide to utilize formal care services. This study used data of 499 family caregivers employed from 2018 Korean Elderly and Child Care Family Survey. Based o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elderly’s bad health status, the longer duration of caregiving, and the shorter hours of the preferred time of the main caregive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using formal care service and the amount of hours used for paid servi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lderly recipients’ LTCI grade, duration of care, preferred amount of care time, other family memeber’s financial and intstrumental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ormal care service utility. Tobit analysis revealed that caregiver’s sex, age, and the amount of actual care hours ar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ormal care service utility. If the caregiver was female, relatively young, and spent longer care hours, care service hours were short. However, the hours of use of care services were long if there was financial help from other family members. Results ma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context of coordinating formal care with informal family care.

      • KCI등재
      • KCI등재

        50대 남녀의 기대은퇴연령에 관한 연구

        차승은(Seung-Eun Cha)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50대 예비은퇴군을 대상으로 누가, 언제 은퇴를 단행하고자 하는지 그 은퇴시점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은퇴계획에 대한 연구들은 은퇴준비, 은퇴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 왔는데, 이 연구는 기대은퇴연령 항목을 활용하여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은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탐색하였다. 2008고령자패널(KLOSA)자료 가운데 도시거주 취업자 1,367명(여성 34.8%)에 대한 자료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기대은퇴 연령에 대한 질문에서 은퇴시점을 제한하지 않고 계속근로를 기대한 사례가 전체의 44%를 차지하였다. 은퇴시점을 65세에서 70세로 조금 늦게 인식한 경우도 전체의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통상적인 은퇴시점(60~64세)보다 더 연장해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대은퇴연령과 연계하는 사회적 특성들을 살펴본 결과, 성별과 단시간 근로여부, 임금근로자 여부는 빠른 은퇴기대와 관련이 있는 특성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신체적 건강, 경기에 대한 비교적 긍정적 전망을 하는 경우 늦은은퇴를 기대하였다. 계속근로를 예상하는 응답자들은 가계소득수준이 낮았으나 이들의 직업만족도는 다른 집단과 비교해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은퇴과정에서의 탈정형화가 은퇴시점부터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노년기 불평등성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정책적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plans for retirement by focusing on preferred retirement timing(PRT) measure. Current pension program show rather strong guideline about the timing of full-retirement. This study asked whether the middle age group are willing to retire correspond to the policy guidelines or not. Research sample came from 2008 KLOSA data, recruiting 1,367 workers who are residing in cities or in metropolitan area (women: 34.8%). I have analyzed one item question asking "In what age do you want to fully retire?",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two third of respondents declared they do not want to retire unless they have health problems, or would expect to retire no earlier than age 70. However, a third of respondents expected normal retirement coming between 60~64. Second, the determinants of timing for retirement were differ by PRT. Social determinants, such as gender, short work hours, being employed, and higher status in family income were associated with early PRT. While, good health status, positive view on the future economic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late PR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iming of retirement is getting more diverse and obscure in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후보

        농촌 노인의 지각된 건강과 신체ㆍ정신ㆍ사회적 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차승은(Seung Eun Cha),한경혜(Gyoung Hae Han),이정화(Jeong Hwa Lee)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2 No.1

        본 연구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을 지각하는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년후기, 노년 전기, 노년 후기의 연령 집단들이 스스로의 건강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각 연령 집단에 따라 신체ㆍ정신ㆍ사회적 건강 중에서 어떠한 요인이 지각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농촌노인에 관한 대표성 있는 자료로서 본 연구에서는 이중 55세 이상 응답자 1219명이 분석되었다. 각 연령집단이 스스로의 건강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노년 후기 집단이 세 집단 가운에 가장 건강상태를 나쁘게 지각하였고 반면에 중년 후기 집단은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좋다고 평가하여 연령이 증가할수륵 스스로의 건강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집단별로 어떠한 요소들이 지각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면, 연령 집단간에 따라 지각된 건강의 결정요인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중년 후기 집단에서는 신체적 건강특성이 건강을 지각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노년 후기 집단에서는 신체적 건강과 함께 경제 상태, 배우자 유무, 사회적인 활동정도 그리고 사회접촉 빈도가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고령 노인인 경우 그들의 건강을 지각하는데 사회적인 건강과 그들의 상황적 특성이 중요한 요소로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mong three distinctive age groups-the middle life, the young-old and the old-old. For that purpose, we examined how the three aged groups assessed their health status, how self-rated health reflected the multi-dimensions of health(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n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reflection pattern among three age groups. Data were gathered from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middle aged and elderly in rural Korea,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self-rated health seemed to be apparent. The respondents belong to the old-old group perceived their health more negatively than the respondents belong to the other two groups. Seco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n self-rated health among three groups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middle -aged, physical health factors were the only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However, in the old-old group, not only the physical health but social health factor, economic status and marriage statu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elf-rated health.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aving diverse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could help the old-old realize them as healthy person.

      • KCI등재

        남녀의 가족 역할 점유와 건강 문제

        차승은(Seung-Eun Cha),한경혜(Kyung-Hae Han)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2

        Jesse Bernard(1973)와 Gove(1972)등이 결혼과 부모됨이 여성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한 후, 성 차별성 관점은 극히 최근까지 서구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성과 가족 그리고 건강 문제를 바라보는 일반적인 관념으로 자리 잡아 왔다. 이후 가족 역할과 건강 그리고 성의 연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실증 연구의 부재로 남녀 차이가 무엇이며, 그 차이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차별성 관점 이외의 다양한 관점들을 함께 살펴보면서, 현재 한국 사회에서 결혼을 하고 부모가 되는 일련의 가족 역할 수행 경험이 남성과 여성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관련성에서 남녀 차이는 무엇인지, 어떠한 사회적 설명이 가능한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결혼 및 부모 지위의 점유가 남녀의 건강 문제에 갖게 되는 혜택과 비용을 알아보기 위해, 각 역할의 점유 여부의 조합 형태로 현재 수행하고 있는 가족 역할 유형을 알아보았고, 각 유형별 신체 및 정신 건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결혼 지위와 부모 지위를 함께 가지고 있는 유형은 다른 어떤 역할 유형들(역할 없는 유형, 부모 지위만 있는 유형, 결혼 지위만 있는 유형)보다 신체ㆍ정신 건강이 더 양호하였다. 성차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결혼이나 부모 지위를 점유하지 않았을 때 취약해지는 건강의 차원이 성에 따라 달랐다. 또한 건강에 특별히 더 부담이 되는 역할 조합도 성에 따라 상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of marriage and parenthood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consideration of gender differences. We have retested various theories including Gove's inequality theory to explain how marriage and parenthood affect the contemporary Korean men and women.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analyzing the data from 「Successful Midlife Development: Survey on Mental health and Work/Family Life Course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n et al., 2001)」.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1696 adults (women: 49.5% (n=839)) at the age of 27 to 60. In this survey,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re evaluated in three dimensions, respectively: depression, perceived physical health and illness symptoms. The results were that occupying both marital and parental status showed better health profile than possessing other role combinations(single parent/married but no child/never-married). Gender differences and other findings have been discussed further.

      • KCI등재

        시간일지로 살펴본 부부의 주말시간활용

        차승은(Cha, Seung-Eun)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leep hour gap among couple exists or not. This study focused on weekend time frame when paid work is less noticeable in the individual's time allocation. Research assumpt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time limit hypothesis, that argue there is a high competition between sleeping, free time and family work on weekends. Subsample of married couples (# of households=l,062, # of diary=2,120, age range 20-59) from the original 2009 KTUS (Korean Time Use Survey) was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difference in sleep was apparent on weekends, as wies were less likely to oversleep than husbands on weekends. The trade-off pattern were especially intense with the unemployed wives' case, which imply that women's leisure and weekend unpaid family work, all together is highly competitive with their sleep hours. However, employed wives showed similar pattern with employed hudsband's graph, which was less competitive among sleep and free time, even family work. For the detailed analysis, The couple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was oversleep wives group, sleep deprived wives group, and sleep equal group. Multinomial analysis revealed that, husband's weekend activities (having paid work on weekends, or have free time) was associated with wives' oversleep. However, husband's share of family work was not helping to increase their wives's weekend sleeping hours. Wives' income power did showed the protecting effect for wives to sleep more. 이 연구는 유급노동시간의 비중이 줄어드는 주말에 부부의 시간사용이 어떻게 조율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시간제약이론을 활용하여, 부부의 주말시간활용이 부부 상호간 수면시간의 잠식을 가져오는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2009시간량원자료(통계청, 2010)에서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20-59세의 기혼 부부가 작성한 시간일지를 추출01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과 아내 모두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평일보다 평균 l시간가량 잠을 더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을 한 남편이나 아내의 경우 수면시간의 증가는 자유시간 혹은 가사 및 돌봄노동 시간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반면에, 비취업 아내의 경우 지유시간이나 가사 및 돌봄시간의 증가가 주말 수면시간의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비취업 아내가 취업 아내보다 주말에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인한 수면잠식을 겪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의 주말수면시간 패턴을 세 유형, 이내가 남편보다 오래 자는 집단(27%), 두 부부의 수면시간이 유사한 집단(42%), 그리고 아내가 남편보다 수면시간이 짧은 집단(31%)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남편의 주말활동시간이 길면(유급노동이나, 자유시간) 아내는 남편보다 주말에 더 오래 잠을 잘 가능성이 컸다. 남편의 주말에 가사노동 및 돌봄시간이 길더라도 남편과 아내의 수면시간 격차를 줄이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내가 소득이 있는 경우 아내와 남편의 수면시간 양에서의 격차가 크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