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치근단낭과 육아종의 디지털방사선학적 비교연구

        진연화,이건일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1999 圓光齒醫學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radiometric analysis of radicular cysts and periapical granulomas is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 this experiment, twenty-nine periapical radiographs of the radicular cyst and those periapical granuloma were used. The periapical radiography was taken by intraoral paralleling device. The X-ray film was digitized and digitally filtered to reduce film-grain noise. We estimated density difference of the inner/outer area, roundness or circularity, bone profile or scan line of the margin and cumulative percentage frequency curve of radicular cyst & periapical granuloma.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ifferences in density between ROIs of inner and outer area of radicular cysts were smaller than those of periapical granulomas. 2. The equivalent circular diameter was over 6.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iapical cyst and periapical granuloma 3.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radicular cyst and periapical granuloma using bone profile, sensitivity, spicificity and accuracy were considerably high(0.83, 0.86, 0.86) respectively. 4. Cumulative percentage frequency curve of the radicular cyst was closer to the pseudo-pixel value of 50 than average curve, whereas periapical granuloma was closer to that of 0. Hence we conclude that digital radiometric features might be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radicular cyst and periapical granuloma.

      • KCI등재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 기법을 중심으로

        진연화,황재훈 (사) 한국도시재생학회 2022 도시재생 Vol.8 No.2

        In the recent government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the role of the urban regeneratio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is increasing in order to promote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ccordingly,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a role for the urban regeneratio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PA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operation and activation of the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o distribute 100 questionnaires and utilize 48 copies, centered on the New Deal projects. As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was analyzed by selecting the items to be improved urgently located in the second quadrant by applying the traditional IPA method and the modified IPA metho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the area of the second quadrant, first, ① the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must urgently improve so that it can demonstrate its status and ability as an urban regeneration expert in the field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such as securing social status. Second, ③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financial resources for the continuity of the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even after the priming water project is completed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 budget support in order to expand the foundation for stable financial independence such as project operation.

      • KCI등재

        Fuzzy AHP 기법을 이용한 도시재생사업의 중요도 우선순위 평가 연구 :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심으로

        진연화,황재훈 (사) 한국도시재생학회 2023 도시재생 Vol.9 No.1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raised the need to classify the main 15 general neighborhood-type New Deal projects across the country and evaluate their prior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stainability plan for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by evaluating the priority of major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experts (60 people) who are in contact with the field. As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relative importance of major projects was derived by applying the AHP method. In addition, the Fuzzy scale method was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AHP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derived that the priority was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in terms of the overall importance of the AHP method. Accordingly, as a result of supplementing the fuzzy scale method, priorities were evenly derived in the areas of regional revitalization programs, strengthening residents' competencies, and improving the street spac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rationally deriving priorities for maj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applying the Fuzzy AHP technique.

      • KCI등재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이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역자산 및 주민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연화,황재훈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5 No.2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ocal assets and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are parameters, between the priming water project and resident satisfaction. (Purpos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local assets and resident participation on resident satisfaction in the Uncheon・Shinbong priming water project in Cheongju, Chungcheongbuk-do. (Method) As a method of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and analyz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n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 based on survey data. (Results) In this study, the priming water project did not directly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but the parameters of local assets and resident participation can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Conclusion)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s support was needed to enable the utilization of local assets and active resident participation even after the priming water project period was over. (서론)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마중물사업이 종료된 사업에 대하여 지역주민들이 도시재생사업으로부터 느끼는 만족도는 지역자산의 활용, 주민참여의 정도에 따라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에서 그동안 간과하던 지역주민의 삶과 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과 주민 만족도를 향상하게 시킬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2017년에 선정된 도시재생 뉴딜사업 중 4년 차로 사업 기간이 종료되는 일반근린형 뉴딜사업을 주 대상으로 도시재생에서 지역 주민들의 삶과 사업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마중물사업은 주민만족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역자산과 주민참여의 매개변수는 주민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정부 주도의 마중물 사업이 직접적으로 주민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를 극복하고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역자산을 연계·활용하고 주민이 자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도시재생 사업을 적극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도시쇠퇴지역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관리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건축물관리법」을 중심으로

        진연화,황재훈 충북연구원 2022 지역정책연구 Vol.33 No.3

        최근에 우리나라는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노후 건축물의 안전사고에 대한 제도적 개선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20년 5월 1일부터 시행된「건축물관리법」을 중심으로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규정하고 있는 여러 관련 법령과 함께 효율적인 노후 건축물 안전관리의 활성화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효율적인 소규모 노후 건축물 유지관리를 위한 핵심 요소를 면밀히 검토한 후 이 핵심 요소가 도시쇠퇴 지역의 노후 건축물에 대한 안전관리에 미치는 중요도와 성과도를 분석하여 노후 건축물 안전관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소규모 노후 건축물 등의 점검 주체인 지자체장으로서 특히, 서울특별시와 충청북도 지자체 공무원과 안전관리 관련 전문가 등 약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안전관리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하여 회수된 72명의 유효 설문자료를 중심으로 전통적 IPA 기법과 수정된 IPA 기법을 적용하여 측정 항목의 중요도와 성과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제2사분면의 매우 중요하면서도 가장 시급하게 개선하여야 할 항목으로 공공의 안전관리 서비스 참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소규모 노후 건축물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제1사분면의 지속유지영역과 더불어 제2사분면의 중점개선영역에서 도출한 공공(공기업, 지원센터 등)기관과 마을협동조합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정부주도형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이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역자산 및 주민참여, 도시재생 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연화,황재훈 충북연구원 2023 지역정책연구 Vol.34 No.2

        정부 주도의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된 사업에 대하여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도시재생의 성과 및 주민 만족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선정된 충북 청주 운천·신봉 일반근린형 뉴딜사업이 2021년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되어 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산과 주민참여 그리고 도시재생 성과를 매개변수로 구성하여 마중물 사업과 주민 만족도 간에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중물 사업이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는 지역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319개의 유효 설문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SEM)에 적용하여 주민 만족도에 대한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을 분석한 결과, 정부 주도의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은 직접적으로 주민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개변수인 지역자산을 매개로 하여 도시재생 성과가 도출되는 경우에는 주민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도 지역자산 활용과 주민참여 그리고 도시재생 성과에 따라 주민 만족도 제고를 위한 도시재생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동산 경기침체기에 적합한 공공주택 일반분양가격 추정 방법에 대한 연구 : 성남단대 주택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진연화,유정석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0 GRI 연구논총 Vol.22 No.3

        At the end of December 2019, the outbreak of the new “Corona 19” infectious disease, which made the world uneasy, began to spread in the city of “Wuhan” in Hubei Province, China. Former US Secretary of State Henry Kissinger warned that the worst economic crisis of the Great Depression in the 1930s could come as the Corona 19 crisis limited economic activity, resulting in a sharp decline in consumption and a decline in consumption due to corporate restructuring. Accordingly, real estate experts in Korea, heavily affected by the US economic crisis, predicted a recession from the beginning of 2020 by comparing past economic crises such as the 1997 foreign exchange crisis and the 2008 financial crisis. And they predict that the real estate recession will begin in earnest from the second half of the year. During the real estate recession, a consumer-centered real estate market is formed, and there is a need to sell the general presale price to the level of the consumer.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and utilization methods of PSM and UTP models, focusing on past actual sales cases, and suggests methods for properly estimating general sales prices in preparation for the real estate recession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union and joint project operator decided the appropriate pre-sale price based on the survey data conducted three times from 2009 to 2011. In conclusion, in the real estate field, the PSM model and the UTP model can be used more widely than now as a general sale price estimation method. 2019년 12월 말 중국의 후베이성 ‘우한’ 도시에서 신종 폐렴 환자가 발병하면서 전 세계를 불안하게 만든 신종 ‘코로나19’ 범유행 사태가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전 미국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는 코로나19 사태가 경제활동을 제한하면서 소비위축과 기업 구조조정으로 해고가 급증하고 소비가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져들면서 1930년대 대공황 수준의 최악의 경제위기가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경제 위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 국내에서 부동산 전문가들은 1997년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등 과거의 경제 위기 사례를 비교하면서 2020년 초부터 경기침체를 예상하면서 부동산 경기침체는 하반기부터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기에는 수요자 중심의 부동산 시장이 형성되어 일반분양가격을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분양할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실제 분양 사례를 중심으로 PSM과 UTP 모형의 분석 결과와 활용 방법을제시하여, 향후 현업 실무부서에서 부동산 경기침체기에 대비하여 일반분양가격을 적정하게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는것이다. 본 연구에서 조합과 공동사업시행자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차례에 걸쳐 실시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적정 분양가격을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부동산 분야에서 PSM 모형과 UTP 모형들은 일반분양 가격추정 방법으로 지금보다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 지연에 대한 인식과 대응: 코로나19 확산기에 있는 중간지원조직을 중심으로

        진연화,황재훈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2 GRI 연구논총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bjective perceptions and types of responses to delays in the activation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by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argeting 15 general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nationwide selected in 2017. In order to overcome the COVID-19 situation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 customized support plan for the urban regeneration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30 questionnaires finally recovered in this study, first, the hardware business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factors).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ype 1 was named ‘COVID-19 overcoming type’, type 2 was ‘corona 19 adaptive type’, and type 3 was named ‘corona 19 avoidance type’. Second, three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software business.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ype 1 was named ‘post-corona 19-sustainable response type’, type 2 was ‘with Corona 19-economic development type’, and type 3 was named ‘corona 19 response-capacity strengthening typ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ommon features of each type of hardware business were considering ‘building anchor facilities as a space for residents’ harmony’ and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maintain the health of residents. In the software business, it was found that a resident participatory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gram is being considered in order to ‘invigorate the local economy while observing social distancing guidelines so that ‘with Corona 19’ can be realized amid the prolonged COVID-19.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prepare a system such as government guidelines to operate a resident-participatory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gram.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선정된 전국 15곳의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중간지원조직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활성화 지연에 대한 주관적 인식 및 대응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코로나19 상황을 극복하고,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의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 회수된 3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하드웨어 사업에서는 서로 다른 3개의 유형(Factor) 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그 특성에 따라 제1유형은 ‘코로나19 극복형’, 제2유형은 ‘코로나19 적응형’, 제3유형은 ‘코로나19 회피형’이라 명명하였다. 둘째, 소프트웨어 사업에서도 3개의 유형(Factor)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특성에 따라 제1 유형은 ‘포스트 코로나19-지속 가능 대응형’, 제2유형은 ‘위드 코로나19-경제 육성형’, 3유형은 ‘코로나19 대응-역량 강화형’이라 명명하였다. 결론적으로, 하드웨어 사업에서 각 유형의 공통점은 ‘주민화합 공간으로 앵커 시설 건립’과 주민의 건강 유지를 위한주거환경 개선’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사업에서는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위드 코로나19가 실현될수 있도록 ‘사회적 거리 두기 지침을 준수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주민 참여형 도시재생 활성화 프로그램을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주민 참여형 도시재생 활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침등 제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이도시재생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주민참여 및 연계사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연화,황재훈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2

        The need to review the results of urban regeneration for projects whose government-ledpriming project period has recently ended has emerged.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influenceof residents’ perception of urban regeneration priming project on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and the parameters, resident participation and linked projects, were mainly targeted at the generalneighborhood-type New Deal projects in Cheongju, Chungcheong Province, selected in 2017. It is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roject and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 As a method of this study, after securing 319 valid survey data from 500 local residents, the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of the R-based Jamovi open program was applied to determinethe direct effect between the urban regeneration priming project and urban regenerationperformance. analyzed. In addition, indirect effects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theparameter resident participation and linked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idents’ percep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imingproject was not direct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 However,when the urban regeneration priming project applies the parameter resident participationand linked pro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can be expected by completelymediating the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even after the priming project period ends, active residentparticipation and various connections are needed to resolve negativ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such as delays in the priming project, and complete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reaswhere the priming project period has ended. It was found that government support was needed tomake the project possible. 최근에 정부 주도의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된 사업에 대하여 도시재생의 성과를 검토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 선정된 충북 청주 운천·신봉 일반근린형 뉴딜사업을 주 대상으로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에 대한 주민인식이 도시재생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변수인 주민참여와 연계사업이 마중물 사업과 도시재생 성과간에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하는 타지역에 사례를 전파하고 도시재생 활성화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지역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유효설문 319개의 설문자료를 확보한 후 R 기반 Jamovi 공개프로그램의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적용하여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과 도시재생 성과 간의 직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매개변수 주민참여와 연계사업을 통하여 간접효과(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에 대한 주민인식은 직접적으로 도시재생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은 매개변수 주민참여와 연계사업을 적용하는 경우, 도시재생 성과에 완전히 매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된 지역에서 지역주민의 마중물 사업에 대한 사업지연 등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고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도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다양한 연계사업이 가능하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내 부동산 전문가들의 실물옵션 기법에 대한 인식도 조사 및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가치 평가

        진연화,유정석 한국감정평가학회 2020 감정평가학논집 Vol.19 No.2

        The government has selected and implemented 51 of the nationwide new deal projects in 2017 as a pilot project in response to urban decline, centering on the policy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In the Incheon area, three Block-unit Housing Rearrangement Projects are underway as anchor projects that will lead the project within six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selecting one street housing maintenance project and evaluating it using the traditional valuation method (DCF, etc.),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promote the project due to its low business feasibility. Therefore, as a way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traditional valuation(DCF) method, we tried to investigate the real estate experts' perception of real options and then present them as an alternative valu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real options was high because it was difficult to apply real options in practice. Therefore, in order to introduce the real-life option technique in the real estate field, more empirical research cases are needed so that the top decision makers can trust and easily understand. The empirical case of this study is that the business value(ENPV) under the Net Present Value Act(NPV) is -198 million won and the business has to be abandoned. However, among the finite expiration option opt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usiness value for the business value of ENPV by the Black-Scholes model is 1,343 million won and the business value by ENPV of the binomial-tree model is 1,316 million won. 정부는 ‘도시재생 뉴딜’ 정책을 중심으로, 도시쇠퇴에 대응하여 2017년에 전국적으 로 추진하는 뉴딜사업 중 51곳을 시범사업으로 선정하여 실시하고 있다. 인천지역 에서는 6개 도시재생 뉴딜사업 안에 사업을 주도해 나갈 앵커사업으로 3개의 가로 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에 1개의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선정하여 전통적 가치평가(DCF 등)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사업성이 낮아 사업추진 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적 가치평가방법의 단점을 해결할 방안으 로 실물옵션 기법에 대하여 국내 부동산 전문가들의 인식도를 조사한 후, 그 대안적 가치평가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 실물옵션을 실무 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로 실물옵션에 대한 이해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동산 분야에서 실물옵션 기법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최고 의사결정권자 등이 신뢰 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실증 연구 사례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실증 사례는 순현재가치법(NPV)에 의한 사업의 가치(타당성)가 –198백만 원으로 사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유한만기 실물옵션 기법 중 블랙-숄즈 모형에 의한 사 업가치(ENPV)는 1,343백만 원, 이항-트리 모형에 의한 사업가치(ENPV)는 1,316백 만 원으로 사업추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