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erpersonal Rejection Sensitivity and Mobile Instant Messaging: Intensity, Usefulness, Stress, and Sex differences

        진보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use of mobile instant messaging (MIM). Three aspects of MIM use were assessed: use intensity, relational usefulness, and stre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Kakao Talk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for smartphones) users in South Korea. Those with higher interpersonal rejection sensitivity reported higher levels of use intensity and stress in their MIM use. However, interpersonal rejection sensitivit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lational usefulness of MIM. Also, the intensity of MIM us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lational usefulness and the stress of MI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obile messaging is more stressful for those with higher interpersonal rejection sensitivity. Sex differences were also found: Women reported spending more time using MIM, a fewer number of people with whom they interact, and higher levels of use intensity than men.

      • 친구의 문자 메시지가 상처가 될 때 : 관계 만족도의 조절 효과

        진보래 한국소통학회 2012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기존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이 친한 사람의 행동이나 말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느꼈을 때, 그 사람이 의도적으로 그러한 행동이나 말을 했다고 믿을수록 상처를 느끼는 정도가 크고, 관계 가 멀어지는 정도도 더 크다고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친구 관계에서의 문자 메 시지 이용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친구가 보낸 마음의 상처가 된 문자 메시지에 대 해 지각된 의도(perceived intent)는 상처의 크기와 관계가 멀어지는 정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관계 만족도는 지각된 의도가 관계가 멀어지는 정도에 갖는 영향력을 조절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친구 관계에서는 의도가 강하다고 느낄수록 관계가 멀어지는 정도도 컸지만, 만족도가 높은 친구 관계에서는 의도성 지각이 관계가 멀어 지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MZ는 왜 전화를 두려워하는가?: 사회 불안의 세대 차이

        진보래 한국언론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20 No.3

        본 연구는 문자를 선호하고 전화를 두려워하는 경향을 사회 불안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세대 차이를 재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화 통화는 문자메시지에 비해 면대면 상호작용에 더 가까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전화 통화를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것은 사회 불안의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고 보았다.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사회 불안이 높을수록 문자 채널의 특징인 편집가능성과 통제감을 더 선호하게 되고, 따라서 문자 선호와 전화 불안도 증가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그리고 문자 선호와 전화 불안의 세대 차이를 문자 통제감 선호와 사회 불안이 설명할 수 있는지도 탐색하였다. 20-59세 성인들(N = 640)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요인분석과 경로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문자 선호와 전화 불안은 나이와 부적 관련을 보였다. 연령대별로 분석하면, 20-30대는 40-50대 보다 문자 선호(전화 회피)와 전화 불안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문자 선호는 문자 채널이 주는 통제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는 사회 불안과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나이는 사회 불안 및 문자 통제감 선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즉, 젊은 세대는 기성세대보다 사회 불안이 높고 문자 통제감을 선호하며, 전화를 피하고 두려워하는 경향이 큰 편이었다. 사회 불안과 문자 통제감은 나이가 문자 선호 및 전화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자 선호와 전화 불안을 넘어 문자 통제감 선호와 사회 불안에서도 세대 차이가 발견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xiety,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texting, texting preference, and call anxiety, while investigating the impact of age. Call anxiety was discussed as a form of social anxiety which is characterized by a fear of evaluation and low self-efficacy. Therefore, it was hypothesized that social anxiety would be related to a preference for the increased control offered by text-based communication, thereby intensifying both texting preference and call anxiety. A survey of 640 adults aged 20 to 59 was conducted, and factor and path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scale items,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nd the influence of age. The analyses reveled significant age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of interest. Younger adults (in their 20s and 30s) exhibit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 for texting (call avoidance) and greater call anxiety compared to older adults (in their 40s and 50s). The preference for texting was strongly linked to the controllability of texting, which was further predicted by social anxiety and age. In other words, younger adults experience higher social anxiety, prefer the perceived control of texting, and are more likely to avoid and fear phone calls than older adults. Notably, generational differences were evident not only in texting preference and call anxiety but also in levels of social anxiety.

      • KCI등재

        대학생들의 경제 수준 인식과 소셜미디어 이용이 상대적 박탈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진보래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2022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7 No.1

        People use social media to enjoy the feeling of connectedness, but they may also experience envy and jealousy of others who seem to be better off than themsel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mount of social media use, relative deprivation, loneliness,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who aged from 18 to 29 (N = 300). Those who perceived they live well tended to use social media more and feel relative deprivation and loneliness to a less degree than those who reported they live worse. Social media us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relative deprivation and negatively to loneliness. Relative depr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loneliness. That is, those who used social media more were more likely to feel relative deprivation and less likely to be lonely. Finally, the relative depr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and social media use on loneliness. These findings illustrate the complex nature of social media use. 소셜미디어는 인간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편리하고 유용한 기술이다. 시대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며 진화해 왔지만, 사람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외로움을 달랠 수있다. 반면, 소셜미디어 이용은 멋지고 유능해 보이는 타인과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하게 만들어 상대적 박탈감을 일으킬 수 있다. 소셜미디어 이용의 양면적 측면에 주목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을 많이 하는 사람들은 외로움수준이 낮고 상대적 박탈감은 높을 것이라 보았다. 그리고 주관적인 경제 수준 인식이 소셜미디어 이용, 상대적 박탈감, 외로움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주관적 경제 수준, 소셜미디어이용 정도, 상대적 박탈감, 외로움을 측정하였다(N = 300). 응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기 가족의 경제적 수준은소셜미디어 이용, 상대적 박탈감, 외로움과 모두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잘 산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응답자에 비해 소셜미디어 이용을 더 많이 하였고, 상대적 박탈감과 외로움은 더 낮았다. 그리고 소셜미디어 이용을많이 하는 것은 높은 수준의 상대적 박탈감, 낮은 수준의 외로움과 관련이 있었으며, 상대적 박탈감은 외로움과 비교적 강한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상대적 박탈감은 경제 수준 인식과 소셜미디어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미디어 이용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의 일부를 밝히고, 이것이 경제 수준 인식과도 연관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외로움과 게임중독의 종단적 관계: 게임이용자 패널 데이터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분석

        진보래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e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loneliness and game addiction.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present study utilized a serie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s to early adolescent panel data (N = 346) from KOCCA’s Game User Panel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loneliness and game addiction, respectively, had relatively strong and stable autoregressive effects across four time points. Also, game addiction at a prior time increased loneliness at a later time, but lonelines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game addiction later in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me addiction may cause loneliness, not the vice versa. 게임중독은 사용자를 사회적으로 고립시킬 수 있다. 반면, 외로움으로 인해 게임에 몰두하게 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게임이용자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외로움과 게임중독 간의 종단적인 상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응답자들은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2014년부터 중학교 1학년인 2017년까지 매년 하반기 조사에 참여한 초기 청소년들(N = 346)이었고,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외로움과 게임중독은 각기 이후 시점의 외로움과 게임중독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예측하였다(자기회귀 효과). 또한, 이전 시점의 게임중독은 다음 시점의 외로움을 유의미하게 예측한 반면(교차지연 효과), 외로움은 이후 시점의 게임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즉, 게임중독 수준이 높으면 이후 시점의 외로움 수준이 높아졌으나, 외로움은 이후의 게임중독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중독이 외로움의 원인일 수 있으나 그 반대는 아님을 시사한다.

      • KCI등재

        Are Social Network Sites for Networking or Presenting? : It Depends on Loneliness

        진보래 (주)에스비에스 2013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1 No.4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ebook users’ own activities, their friends’ responses, perceived usefulness in networking, and affinity feelings toward Facebook.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loneliness was related to those variables and moderated the associations of them. Self-activities appeared more important than friends-activities in networking usefulness and affinity. However, the importance varied by loneliness. As for non-lonely people, self- and friends-activities were equally important for networking usefulness. As for lonely people, however, self-activities were strongly related to networking usefulness, while friends-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t. In addition, lonely people showed lower levels of self- and friends-activities and useful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nely people use Facebook less sociable yet more self-focusing ways.

      • KCI등재

        SNS 이용과 삶의 만족도 : 읽기, 쓰기, 공유, 반응의 차별적 관계

        진보래 한국언론정보학회 202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9 No.-

        본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21 미디어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NS 이용 시간과 행태가 성별과 나이에 따라 다른지, 안녕감의 인지적 측면인 삶의 만족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관계가성별과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SNS 이용 행태는 읽기, 쓰기, 공유하기, 반응하기로 구분했고, 만 19∼65세 SNS 이용자(N = 4,500)를 청년(19∼34세), 중년(35∼49세), 장년(50∼65세) 집단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읽기, 반응하기, 쓰기, 공유하기 순으로 SNS를 자주 이용하고있었고, 여성이 남성보다 SNS 이용 시간이 길고 읽기와 반응하기 빈도가 더 높은 편이었으나, 이러한 성차는 연령대가 높아지면 사라졌다. SNS 이용 행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는 인구학적 속성과 자아존중감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했는데, 이용 시간과 쓰기, 반응하기는 삶의 만족도와 약하지만 정적인 관련을 보였고, 읽기 활동은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 관계에서 나이와 성별이 갖는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별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여성과 남성 모두 SNS 이용 행태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는 비슷했다. 한편, 나이는 네 유형의 행태 중 공유하기와 유의미하게 상호작용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쳤다. 나이 집단별 분석에 따르면, 공유하기는 장년층에게서만 삶의 만족도와 부적인 관련이 있는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 시 활발한 쓰기 활동은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관련이 있으나, 피드 읽기에만 몰두하는 것은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삶의 만족도와 부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덧붙여, SNS 이용 빈도의 성차는 청년층에게서 주로 나타났고, 장년층의 경우 SNS에서 공유하기를 많이 하는 것은 낮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와 연관되어 있었다.

      • KCI등재

        의인화의 심리적 기제와 인공지능 의인화의 문제

        진보래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41 No.1

        이 글에서는 의인화의 심리적 기제와 불가피성을 살펴본 후 인공지능을 의인화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고찰해 보았다. 의인화는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건이나 동식물 또는 기계에 “마음”을 귀인하는 것이 의인화다. 의인화는 비인간으로부터 지각된 인간과 비슷하게 느껴지는 자극(외양, 소리, 움직임)으로 촉발될 수 있고, 주어진 상황을 이해하려는 인지적 동기와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고 싶은 사회적 동기도 의인화를 일으킨다.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컴퓨터(CASA) 이론을 포함, 미디어 테크놀로지관련 연구들은 이용자의 의인화 성향을 활용하는 것이 더 친숙하고 믿음직한미디어와 컴퓨터를 만드는 방법이라 제안한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연구개발자들이 인공지능을 의인화하는 것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판단을 대체할 수 있다고 믿게 만들고 인간중심주의를 조장하며 비과학적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또한 인간의 의인화 성향을 이용하기 위해 인간적인 인공지능을 만드는 것은 기만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마음이 없는 존재가 마음을 가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인화는 개발자의 의도와는 별개로 인공지능과 상호작용하는 이용자의 마음에서 일어난다. 주어진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우리는 인간이 아닌 상대를 인간으로 여길 수도, 인간인 상대를 인간취급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의인화는 인간의 근본적 속성이지만 이것이 점점더 인간과 비슷해지는 인공지능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떠한 의미와 문제를 가질 것인지에 대해 이용자와 개발자는 물론 연구하고 정책을 만드는 사람 모두 고민해 보아야 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psychology of anthropomorphism and some criticisms regarding the anthropomorphism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thropomorphism refers to attributing human qualities to non-human entities, that is, ascribing a “mind” to objects, plants, animals, or machines. It can be triggered by perceptual cues found in non-human entities, such as their appearance, sound, or movements. Also, cognitive motivations to comprehend a given situation and social desires to connect with others can induce anthropomorphism. Research in media technology, including the Computers Are Social Actors theory, suggests that designers should leverage anthropomorphism to create more familiar and trustworthy media and computers. However, some argue that anthropomorphism in AI developers and researchers may inadvertently nurture the belief that AI can replace human judgment and foster anthropocentrism and unscientific communication. Others contend that it is deceptive to create a human-like AI to exploit our tendency to anthropomorphize. However, whether anthropomorphism occurs—whether with humans or non-humans—depends on the context of the interaction. As anthropomorphism is an inherent human attribute, all stakeholders, including users, developers,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should reflect on its implications and challenges within the context of human-AI inte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