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지능 학습을 통한 벼 작황정보 예측

        주현식 ( Hyun Sik Joo ),신주원 ( Joo Won Shin ),김동은 ( Dong Eum Kim ),김대철 ( Dae Cheol Kim ),김성민 ( Seong Min Kim ),이동훈 ( Dong Hun Lee ),조용진 ( Yongj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정밀한 농작물 생육상태 진단 및 수확량 예측 분석 모델을 개발을 위해서는 최적화된 분석 모델개발이 필요하다. 확보한 드론 영상으로 농업 공간정보 구축하고 벼 농작물 생육/작황 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가시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용 데이터 기반하에 AI 플랫폼 구축하는데 있다. AI 학습 데이터 구축을 위해 영상전처리 후의 필지단위 타일링 가공 데이터에 작황정보 현장조사 라벨링 데이터를 업로드하였으며 작물 필지와 그 외 지역 구분을 위한 필지 외곽선 추출작업 진행하였다. 테이블 구성 및 이미지 마스킹에 대한 메타정보를 입력하였다. 작물 및 재배면적 판독을 위한 학습 데이터 구축을 위해 각 재배/수확필지를 구분하여 태깅하였다.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에서는 75 : 25 로 비율의 Train set으로 진행하였다. 드론 영상은 일정 크기인 512 x 512픽셀로 그리드 분할하고, 태깅된 데이터는 마스킹 이미지로 변환하여 그리드 분할하였다. 그리드 분할된 이미지와 마스킹 이미지는 학습과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로 75 :25 의 비율로 분리하였다.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농작물 생육상태 진단 및 품질, 수확량 예측 분석 모델 선정하였으며, 최적 분석모델 개발을 위한 Classification & Segmentation + Regression Analysis 모델을 적용하였다.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선정된 벼 농작물 판독 및 인식 모델인 U-Net 모델 개발을 완료하였다. 딥러닝 기술 기반의 이미지 분할기술 중 Semantic Segmentation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 분할 방법 적용하여 농작물(벼)판독 및 재배면적 산출하였다. 선정된 작물의 품질 및 수확량 예측을 위한 추론 모델인 RESNET 모델을 개발할 예정에 있다.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 방문관광객의 저탄소 관광동기 분석을 통한 녹색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주현식 ( Hyun Sik Joo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法과 政策 Vol.20 No.2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방문관광객의 저탄소 관광통기 분석을 통한 녹색관광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기후변화와 저탄소 녹색관광에 대한 관광객의 이용동기(교육적 동기,신기체험동기, 가족친화동기, 사교동기)와 만족간의 영향관계, 이용동기와 재방문의도간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이들 검증결과를 통해 제주특별자치도 여건에 적합한 녹색관광 추진전략 모색을 통하여 자연환경을 살리고, 관광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여 제주도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첫째,만족수준의 우선순위는 안천요인, 서비스요인, 타관광지와의 연계성,정보제공요인, 가격요인, 접근요인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이용형태분석 결과 우선순위는 자연환경 훼손최소화, 도보나 자전거여행 선호,지역에서 생산되는 판매처 이용,탄소배출 행동지침 습득,친환경적 재료를 사용하는 식당이용, 자연환경 해설프로그램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저탄소 녹색관광 이용 동기에 대한 쌍표본 t 테스트 결과 사전기대보다는 사후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별로 기대를 하지 않았으나 저탄소 녹색관광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저탄소 녹색관광 이용동기가 만족/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은 신기체험 동기,사교동기, 가족친화동기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은 가격요인, 접근요인, 정보제공요인, 연계관광요 인이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주특별자치도의 녹색관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저탄소 녹색관광 육성은 제주특별자치도가 선택할 수 있는 전략중의 하나로 제주의 자연과 환경‘문화에 대한 아이멘티티를 유지하면서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한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저탄소 녹색관광 그 자체만으로는 고부가가치 관광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저탄소 녹색관광 프로그램과 LOHAS O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프로그랩, 신체적, 정신적,사회적. 지적,정서적인 것을 함께 즐길 수 있는 Wellness 프로그램인(숲 치유관광, 힐령 관광과 에듀태 인멘트,다운쉬프트‘ 슬로우 시티 등)연계상품 개발 등으로 제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대안이 마련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of tourists visiting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an analysis of low-carbon,green tourism tourist rnotivation has the objeetive of studying the way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ate change and low-carbα1 green motives of tourists for sightseeing (educationalmotivation. motivation to weird experience,family-friendly motives,social motives) and satisfaetion a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use intentions and revisit motives through empirical analysis,reviv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searches of the green tourism promotion strategy suitable to the condi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rough the verification result of such studies and contributing to the green growth of Jeju island by enhancing the added value of the tourism indus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the priority of the satisfaetion level was in the order of the safety faetor,service faetors,linkages with other tourist destinations,information faetors and the price factors Second,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analysis is in the order of minimization of damage of the natural environment,preference of walk or bike trip,use of sales stores which locally produce,learning of the aetion guidelines on the caron emi원ons,use of restaurants using eco-friend1y materials and participation in the commentary program on environment etc Third,according to the pair sample t-test resu1t on the use intention of low carbon green tourism,the post-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than the pre-expectation level,which indicates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did not expeeted much from the low carbon green tourism,but they are mostly satisfied with it. Fourth. regarding the effeet of use intention of the low carbon green tourism on the satisfaetion and revisits showed that the motivation to the weird experience,motiv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motivation of familiarization with the family members affeeted the satisfaetion and regarding the effeet of the satisfaetion on the re-visits it was verified that the price faetor,approach faetor,information provision faetor and linked tourism faetor etc affected the revisits. Based on these findings,the search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r .aetivating the green tourism is as follows. First. the low-carbon,green tourism development is one of the strategies tha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 Jeju can choose and has a high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natural,cultural and environmental identity for Jeju and being developed as a sustainable tourism Second,it is judged that various political alternatives should be arranged which can enhance the added value of Jeju with development of associated produets,like the low carbon green tourism program,LOHASO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program and the Wel1ness program(healing forest tourism,healing tourism and edu Healing Fountain cement,down shift,slow city,etc.l where physica!,emotional,social,intel1ectual and spiritual things can be enjoyed together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igh added value tourism effeet may not appear only with the low carbon green tourism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호텔레스토랑의 분위기가 감정반응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

        주현식(Hyun Sik Joo),이성호(Sung Ho Lee)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09 호텔경영학연구 Vol.18 No.6

        This study confirmed effect relation that get atmosphere factor of hotel restaurant to advance, customers satisfaction which 5 dimension is emotional reaction that it is view factor, layout factor, colors factor, lighting factor and furnishings factor. Took a triangular position for this through importance of hotel restaurant atmosphere and concept, emotional reaction, virtue study connected with customers satisfaction. Questionnaire period about data executed questionnaire by services sampling method to user who use and comes out hotel restaurant receiving marketing employee of each hotel`s help to customer who use luxury hotel restaurant locating in Seoul, Pusan to 25 March on February 25, 2009. Consider statistical special quality and made up a question to fit in distribution of user of each hotel to establish representative department of population. classified for atmosphere factor that it is fixture main point that is structure factor that factor of atmosphere of hotel restaurant that appear in virtue study is spectacle main point that consider special quality of hotel restaurant, that it is view factor, layout factor, colors factor, lighting factor and furnishings factor. These 5 atmosphere factors investigated each some effect whether is related in emotion reaction, customer satisfaction that is emotional reaction of customer. If direct and indirectness effect between path construed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ynthesizes, whole effect appeared by thing which effect that structure factor that is restaurant atmosphere factor gets to customers satisfaction is the highest. Next, lighting leading person, effect that layout factor, impression factor, gets in customer satisfaction, atmosphere factor that layout factor, hotel restaurant atmosphere factor, gets to impression factor, is effect that color factor, restaurant atmosphere factor, gets to customers satisfaction, impression factor get to customers satisfaction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lor factor, atmosphere factor, was expose in effect order that get to impression factor.

      • DRS를 이용한 논 토양 성분 예측 회귀 모형 성능 비교

        주현식 ( Hyun-sik Joo ),이동근 ( Dong-keun Lee ),김정길 ( Jeong-gil Kim ),조승제 ( Seung-je Cho ),조용진 ( Yong-j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토양 건강은 지속 가능한 농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건강한 농산물 생산은 건강한 토양이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농업에서 토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토양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토양 성분분석 방법은 실험실내에서 여러 가지의 화학처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실험실에서의 토양 성분분석 방법의 결과는 정확하지만 시간, 노동력, 비용 등 많은 투자로 인해 비실용적이다. 이에 대안으로 VIS-NIR을 활용한 DRS(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토양 성분을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VIS-NIR을 활용한 DRS를 이용한 토양 성분 예측 모형은 선형회귀를 기반으로 하며 주로 단계적 다중 선형회귀(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SMLR)와 부분 최소 자승회귀(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PLSR)를 사용한다. 본 연구는 국내 논 토양 성분 예측 회귀 모형을 스펙트럼에 대해 PLSR과 SMLR의 모형 성능을 비교 분석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토양 수집은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수촌리 4개의 논 필지에서 수행되었다. 토양 성분들(pH, EC, CEC, Ca<sub>+2</sub>, Mg<sub>+2</sub>, K<sub>+</sub>, SOM, TN, TOC, P<sub>2</sub>O<sub>5</sub>)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토양검정팀에서 분석되었다. 오븐건조를 통하여 건조된 토양 시료는 VIR-NIR 장비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스펙트럼 데이터와 토양 성분간의 분석 모델은 PLSR을 이용한 방법과 SMLR을 이용한 모형간의 성능 비교하였으며, PLSR 분석 모형의 B-Matrix 계수와 SMLR 분석 모형을 통해 도출된 유의미한 파장을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스펙트럼-토양 성분 예측 회귀 모형에서 PLSR 분석 모형의 성능이 SMLR 분석 모형보다 우수하게 도출되었다. PLSR 분석 모형과 SMLR 분석 모형의 유의미한 파장은 회귀 모형의 결정계수가 높을수록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 KCI등재
      •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배추수확기용 견인형 수집부 견인 고리 응력분석

        주현식 ( Hyun Sik Joo ),신주원 ( Joo Won Shin ),김대철 ( Dae Cheol Kim ),조용진 ( Yongj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국내 생산 엽채류 중 배추는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요한 작물이다. 배추는 이식, 관리, 수확의 작업에서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다. 그중 배추의 수확 작업은 7~8명이 한 조를 이루어 배추의 절단, 포장, 이송, 적재의 공정 과정을 거치며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기계화율이 매우 낮은 상태이다. 특히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수확 및 적재 과정에서 기계화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며, 배추수확기를 개발 중에 있다. 배추수확기용 수집부의 주행 및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견인형으로 설계하였으며, 견인형 수집부의 설계 단계에서 응력분석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견인형 수집부의 견인 고리 및 힌지핀의 안정성과 변형률을 분석하였다. 설계된 견인형 수집부의 견인 고리는 적절한 회전반경을 위해 사다리꼴 형태로 설계하였으며 또한 견인 고리 옆면의 가이드판으로 회전 각도범위를 90 도에서 15 도로 최소화 하여 주행 및 회전 시 배추수확기의 간섭을 줄였다. 또한 배추수확기의 최소 높이와 최대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견인형 수집부 견인 고리의 높이를 120 mm로 연장하여 설계하였다. 견인 고리의 두께는 8 mm로 설정하였으며 재료는 SS400을 사용하였다. 배추수확기와 견인형 수집부를 연결하기 위해선 힌지핀을 사용하여 연결하며, 직경 지름22 mm, 재료 SM45C 의 힌지핀을 사용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위해 단순화 작업된 설계 모델링을 하였으며, mesh 사이즈는 해석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3 mm로 설정하였다. 응력조건은 배추가 적재되지 않았을 때, 중간 적재, 최대 적재의 총 3가지의 응력조건을 주었다. 또한 견인 고리가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 중간 높이의 3가지 수준에 대해 응력분석을 실시하였다. 배추의 최대 적재 응력조건에서 견인 고리의 최대 높이일 경우 응력분포는 213.19 ~ 35.601 Mpa가 도출되었으며 변형률은 0.0018 mm ~ 0.00019 mm, 안전 계수는 1.2 ~ 6.46로 나타났다. 견인 고리가 중간높이의 경우 응력분포는 129.71 ~ 14.413 Mpa가 도출되었으며, 변형률은 0.00063 ~ 0.00014 mm, 안전 계수는 2.8 ~ 4.1로 나타났다. 견인 고리가 최소높이의 경우 응력분포는 218.39 ~ 29.795 Mpa가 도출되었으며 변형률은 0.0015~ 0.00017 mm, 안전 계수는 1.05 ~ 9.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각 재료의 항복 강도에 비해 발생한 응력의 최댓값보다 높기 때문에 적정한 설계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